경북도 온라인 쇼핑몰 ‘사이소’ 역대 최대 매출 달성

지난해 250억원 매출, 전년 대비 53% 증가

 

코로나19 장기화에도 경북 대표 온라인 쇼핑몰 ‘사이소’가 온라인·비대면 마케팅 성과에 힘입어 역대급 매출을 달성했다.

지난해 사이소 운영실적을 살펴보면 입점 농가수는 2020년 대비 29% 증가한 1385농가, 회원수는 94% 증가한 6만6000명, 입점상품수는 75%증가한 8631종, 매출액은 53% 증가한 250억 원으로 눈에 띈 성장세를 보였다.

 

이번 성과의 주요요인은 ▷신규회원 가입 배가 캠페인 추진 ▷월별 테마 이벤트 및 유통피해 특판전 전개 ▷우체국몰·네이버·마켓컬리 등 사이소 제휴몰 확대 운영 ▷농활갑시다, 대한민국 동행세일 등 유관기관과 연계행사 대대적 전개 ▷상주 등 7개 시군 쇼핑몰과의 통합 등 소비자 맞춤형 타깃 마케팅이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대기업·공공기관 임직원 복지몰(이지웰, 투게더웰) 사이소 입점 확대 ▷포인트 시스템 도입 및 구독경제 서비스 추진 ▷수요특가, 기획전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한 신규고객 확보 ▷시·군 쇼핑몰과 추가 통합을 통한 통합 마케팅 기반 마련 등 농특산물 유통생태계 외연을 확장해나갈 방침이다.

 

사이소몰 내 연간 통계를 살펴본 결과 시군별 농특산물 판매액 순위는 영주, 안동, 상주 순이며, 상품군별 매출은 가공식품이 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과일, 쌀, 축산물 순으로 분석됐다.

 

또 사이소 입점업체 중 연매출액 1억 이상 업체는 사과를 판매하고 있는 C농장(청송군) 등 47개소로 나타났다.

 

한편, C농장 대표는 “잘 지은 농산물을 제값을 받지 못해 어려움이 많았는데 사이소를 통해 판매함으로 마케팅 활동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고, 소비자와 온라인을 통한 직거래로 오롯이 생산에만 집중할 수 있어 좋았다”라며 만족감을 표했다.

 

특히, 올해는 경북 고향장터 사이소 매출 500억원, 회원수 12만명과 입점 2000농가 목표 달성을 위해 쇼핑몰 고객관리 콜센터 확대운영, 홍보‧마케팅 지원강화, 입점농가와 농산물 품질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좋은 상품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의 가치는 고객이 창출한다”라면서, “항상 고객의 작은 소리에도 귀 기울여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제값 받고 판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통계청의 ‘연간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농축수산물의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2019년 3조 5342억원에서 2020년 6조 563억원으로 코로나19 여파로 오프라인 소비가 감소하고, 비대면 소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무려 1년 사이에 71.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한식창업 선호도 1위 ‘국밥’의 모든 것, '한우국밥&미나리곰탕' 비법전수
잘 팔리는 강력한 상품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외식사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번 메뉴개발 아이템은 점심 한 끼 식사로도 저녁 장사로도 접근성이 좋은 ‘국밥’이다. 한식 창업 선호도 1위인 ‘국밥’은 계절을 타지 않는 꾸준한 수요와 최근엔 배달 창업 아이템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오는 11월 18일(화) ‘한우국밥’, ‘미나리곰탕’ 비법 레시피 전수 ‘국밥’은 다양한 종류만큼 특색 있는 맛과 각기 다른 매력으로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음식으로 꼽힌다. 그중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들과 유명 국밥맛집을 비교·분석, 국밥계의 베스트셀러인 명품 ‘한우국밥’과 떠오르는 신예 ‘미나리곰탕’ 비법을 전수하는 교육과정이 오는 11월 18일(화) 진행된다. 먼저 대파와 무. 그리고 양지, 사태 등 소고기가 한 솥에 어우러져 시원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는 원조 한우국밥 비법을 전수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칼칼하고 매운 국물을 위해 돼지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기름을 넣어 텁텁하지 않고 깔끔하게 매운맛을 가미했다. 또한 최근 국밥전문점에서 매출 견인의 효자메뉴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미나리곰탕’ 레시피도 함께 전수한다.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