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동향] 베트남 마가린 및 버터 시장 현황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베트남 마가린 및 버터 시장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9.1%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며, 2021년 마가린의 판매액은 28백만 불로 베트남 마가린 및 버터시장의 약 66%를 차지했다.

 

 

2021년 버터의 매출액 규모는 전체 매출액의 33%이지만 연평균 성장률 12.5%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품목이다. 마가린은 버터와 달리 팜유나 옥수수유 같은 식물성 지방을 고체화해 만들어진 것으로 버터보다 값이 저렴하며 비타민 A의 함량이 높아 버터 대체용으로도 즐겨 사용하지만, 트랜스 지방이 많다는 단점이 크다.

 

 

버터는 우유 중의 지방으로 만든 것으로 요리나 베이킹에 사용했을 때 고소한 풍미를 느낄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싼 편이다. 베트남 마가린 및 버터 시장의 상위 브랜드 중 마가린 제품은 뜨엉안(Tuong An)과 메이잔(Meizan)제품이며, 버터제품으로는 프레지덩(President)와 앵커(Anchor)가 있다.

 

베트남 마가린 시장은 현지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높으며, 특히 뜨엉 안(Tuong an) 마가린이 시장 점유율이 49.6%로 1위이며, 메이잔(Meizan) 마가린은 시장점유율 8.3%(3위)를 차지했다.

 

 

현지 제품의 점유율이 높은 마가린과 반대로, 버터 제품은 해외브랜드가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 거대 낙농기업인 TH그룹은 2017년 해외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에 버터를 출시했으나 버터는 해외제품의 인지도가 높아 TH 버터의 시장 점유율이 낮은 상황이다.

 

베트남 현지 소비자들은 아침에 간단한 빵 등으로 식사를 해결하기 때문에 마가린 및 버터를 수출 할 경우 빵과 연계한 마케팅이 효과적이며, 외국브랜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한국어를 기입하면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서울 3대 ‘삼계탕&닭한마리칼국수’ 비법 전수과정 열려
맛집 창업의 꿈을 꾸는 예비창업자, 업종변경과 메뉴, 요리기술 등의 보완을 고민 중인 자영업자를 위한 솔루션 과정이 주목받고 있다. 30년 경력의 외식전문컨설팅기업 ㈜알지엠컨설팅 산하 교육기관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의 ‘외식창업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맛집 브랜딩 전략부터 메뉴개발, 비법전수 등 외식업 경영의 핵심 노하우를 전한다. 이번 교육에서는 진한 ‘들깨삼계탕’ 하나로 '서울 3대 문파' 오른 ‘삼계탕 비법’과 동대문 ‘닭한마리칼국수’로 서민갑부 반열에 오른 식당의 비결을 전수한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 삼계탕 전문점을 비교·분석해 현장에서 직접 시연·시식하고 교육생들에게 검증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일선 요리학원과 차별화 된 현장기술 전수 프로그램으로, 기술이전 비용만으로 메인 상품부터 각종 찬류 등 한상차림까지 사업현장에서 바로 적용가능토록 몸에 익을 때까지 충분한 반복 연습을 지원한다. 2025년 복날 성수기 전, '삼계탕'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4월 17일, 전문식당 메뉴개발 전수과정, 식당 게시 바로 가능 이번 삼계탕&닭한마리칼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