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베트남 마가린 및 버터 시장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9.1%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며, 2021년 마가린의 판매액은 28백만 불로 베트남 마가린 및 버터시장의 약 66%를 차지했다.
2021년 버터의 매출액 규모는 전체 매출액의 33%이지만 연평균 성장률 12.5%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품목이다. 마가린은 버터와 달리 팜유나 옥수수유 같은 식물성 지방을 고체화해 만들어진 것으로 버터보다 값이 저렴하며 비타민 A의 함량이 높아 버터 대체용으로도 즐겨 사용하지만, 트랜스 지방이 많다는 단점이 크다.

버터는 우유 중의 지방으로 만든 것으로 요리나 베이킹에 사용했을 때 고소한 풍미를 느낄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싼 편이다. 베트남 마가린 및 버터 시장의 상위 브랜드 중 마가린 제품은 뜨엉안(Tuong An)과 메이잔(Meizan)제품이며, 버터제품으로는 프레지덩(President)와 앵커(Anchor)가 있다.
베트남 마가린 시장은 현지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높으며, 특히 뜨엉 안(Tuong an) 마가린이 시장 점유율이 49.6%로 1위이며, 메이잔(Meizan) 마가린은 시장점유율 8.3%(3위)를 차지했다.

현지 제품의 점유율이 높은 마가린과 반대로, 버터 제품은 해외브랜드가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 거대 낙농기업인 TH그룹은 2017년 해외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에 버터를 출시했으나 버터는 해외제품의 인지도가 높아 TH 버터의 시장 점유율이 낮은 상황이다.
베트남 현지 소비자들은 아침에 간단한 빵 등으로 식사를 해결하기 때문에 마가린 및 버터를 수출 할 경우 빵과 연계한 마케팅이 효과적이며, 외국브랜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한국어를 기입하면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