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OOD 비즈니스]쌀 산업 위기 돌파하는 일본의 전략은?

우리나라와 같이 전통적인 쌀 소비대국인 일본의 쌀의 소비량이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정부와 기업들이 쌀 소비를 적극 장려하고 나서고 있다.

 

특히 활발한 해외 판촉과 경쟁력 있는 고품질의 브랜드 쌀을 수출하며 쌀 산업의 위기를 타개하고 있어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실례로 ‘일본농업신문’ 등 일본 매체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일본의 쌀 수출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수출량은 1만3794t으로 5년 전인 2014년과 비교해 40% 이상 증가했다.

 

해외수출과 더불어 안으로는 쌀을 이용한 식품들을 개발, 이들 식품에 대한 선호도도 점차 높아지는 추세여서 국내 업체들도 관심을 가져 볼 만하다.

 

 

日, 브랜드 쌀 개발로 해외시장 공략

세계에서 가장 비싼 쌀로 기네스북에까지 등재된 도요라이스(주)의 ‘세계최고쌀’은 140g 소포장 6개 들이로 된 840g 한 팩 가격이 1만800엔(한화 약 11만원)에 이르지만 ‘초고가’ 마케팅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으며 출시되자 품절돼 크게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처럼 일본 쌀 수출 확대를 견인하는 가장 큰 힘은 바로 ‘브랜드 쌀’이다.

아이모리현의 ‘세이텐의 헤키레키’, 도요라이스(주)의 ‘세계최고쌀’ 등의 브랜드 쌀은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특정 품종의 쌀을 말한다. 대부분 지역 농가와 지자체, 식품업계가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R&D를 통해 개발한 경우가 많다.

 

일본의 경우 지난해에만 52종류의 브랜드 쌀 신상품이 출시됐다. 2018년 기준 상표등록된 일본의 브랜드 쌀은 총 765종으로 10년 전인 2009년과 비교해 250여종이 늘었다.

 

aT 도쿄지사 관계자는 “일본 정부는 ‘쌀의 신시장 개척’이라는 명목으로 수출용 쌀 생산농가에 10아르(a)당 2만엔(한화 약 20만원)을 보조하고, 스마트 농기계를 활용한 수출용 쌀 산업단지 등을 조성하고 있다”며 “우리도 일본의 사례를 거울삼아 해외시장을 겨냥한 기능성 쌀 개발과 함께 홍보를 더욱 강화하고, 경쟁력 있는 브랜드 쌀 생산농가 육성에 적극 나서 지금의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일본과 비교해 우리의 쌀 수출 활성화는 다소 더딘 상황이다.

이천 쌀 등 일부 지역 브랜드 쌀이 해외에 수출되고 있으나 교민시장 위주로 유통되고 있다. 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는 가바(GABA)와 같은 기능성 쌀이나 향미의 경우 일부 업체들이 개발하고 있지만 수출 성과는 미약한 편이다.

 

日정부, 쌀 소비 늘리기 위한 식품개발과 캠페인 벌여

KOTRA 일본 도쿄무역관의 보고에 따르면 일본 농림수산성이 집계한 일본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1962년 하루 평균 5.4공기에서, 2016년 2.5공기까지 감소했다.

 

쌀 소비량 감소요인으로는 ▲여성의 사회진출 ▲서양식 식습관 확대 ▲쌀 가격 상승 ▲1인 세대의 증가 등 여러 요인을 들 수 있다. 특히 1인 세대의 경우 식습관이 다양해지는 데다 밥을 1인분만 조리하기엔 불편하다는 등의 이유로 간편한 파스타, 빵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쌀 소비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한 캠페인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학교와 병원에서 쌀 소비를 장려하는 한편 ‘미곡안정공급확보지원기구’를 통해 쌀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이어주는 역할도 한다.

농림수산성은 지난해 10월 쌀 소비 장려 사이트 ‘역시 쌀이죠!’를 오픈했다. 손쉽고 빠르게 쌀을 소비할 수 있는 주먹밥을 키워드로 정하고 전국의 식재료를 활용한 주먹밥을 라디오를 통해 소개하기도 했다.

 

바쁜 현대인을 겨냥한 간편식 쌀 제품도 개발이 한창이다.

일본 농협이 개발한 ‘마시는 밥’과 최근에는 건강음료처럼 마시기 좋은 ‘아마자케(단술)’도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외식기업 외에도 화학 전문 기업이나 화장품 업계에서 쌀을 사용한 제품개발에 나서고 있다.

 

한국 미숫가루· 떡볶이 日 진출 기회될 수도

도쿄무역관은 “한국에는 떡볶이나 떡 케이크 등 쌀로 만든 다양한 음식이 있어, 현재 일본 시장의 동향을 고려했을 때 진출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도 연이은 지진으로 안전지대를 벗어났다는 인식이 강해져 비상식량 및 방재대책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미숫가루처럼 곡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이 많고 비상시 물만 넣으면 영양공급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제품군이 비상식량으로 응용될 가능성이 높다.

 

도쿄무역관은 식혜, 막걸리 등 쌀을 이용한 음료 또한 다양하게 개발돼 있어 ‘마시는 쌀’처럼 쌀을 이용한 식품을 개발한다면 한국과 일본 양쪽시장의 수요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푸드&라이프

더보기
삼양식품, ‘불닭소스’ 불꽃 디자인으로 새단장
삼양식품이 '불닭소스' 디자인을 리뉴얼(새단장)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리뉴얼은 핫소스를 처음 접하는 신규 소비자 및 디지털 콘텐츠와 체험형 마케팅에 익숙한 MZ세대의 니즈를 적극 반영해 기획됐다. 국내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불닭소스의 아이덴티티를 해외 소비자들에게도 더욱 직관적으로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강렬한 매운맛을 시각적으로 강조한 비주얼과 전면적인 패키지 디자인 혁신을 통해 브랜드의 정체성을 한층 강화했다. 제품 전면에는 불닭소스의 강렬한 매운맛을 상징하는 ‘불꽃(Torch)’ 그래픽을 적용해 시각적 주목도를 높였고, 불꽃 형태의 QR 코드를 삽입해 소비자들이 재미 요소가 가득한 다양한 콘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삼양식품은 QR 코드 기반 인터랙티브 패키지를 통해 브랜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불닭 팬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소비자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과 물리적 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옴니채널 전략을 기반으로 글로벌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속으로 깊이 스며드는 브랜드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이번 리런칭을 기념해, 삼양식품은 ‘Rocket Hot Ride the Buld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