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동향] 고급화 전략으로 소비자 잡는 중국 젤리 시장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30년 발전 과정을 거친 중국의 젤리 업계가 최근의 저조한 성장세를 돌파하고자 고급화에 나섰다.

 

중국의 산업 연구소 중옌푸화에서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젤리 업계에는 2,000여 개의 생산업체가 있으며 관련 시장 규모는 약 250억 위안(한화 약 4조 8,155억 원)에 달한다고 나타났다.

 

생산업체는 비교적 많지만 고급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는 아직 부족해 소비자들의 실질적인 만족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제품이 적다. 실제로 현재 시장에 등장한 고급화 제품은 불과 15%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수준이 높아지며 보다 훌륭한 품질을 추구하기 시작했지만 아직까지 중국 시장의 젤리 제품은 창의적인 요소가 부족해 까다로워진 소비자의 입맛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중국의 젤리 업계는 다양해진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품의 업그레이드에 공을 들이고 있다. 그중 젤리 제품의 식감과 질감 그리고 포장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 한 고급화 전략에 나섰다. 설탕, 색소, 감미료 등을 사용하지 않거나 기능성 장점을 더하는 등 건강함을 어필해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건강과 미용을 생각하는 젊은 층 소비자가 늘어나며 흑당 젤리, 효소 젤리와 같은 젤리+기능성 식품이나 꿀, 구기자, 대추, 알로에, 비타민과 단백질 등을 첨가한 젤리+영양 보조제 등의 새로운 형태의 젤리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중국의 다이어트 식품 브랜드 두어옌소우가 선보인 SOSO JELLY는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6000억 개의 살아있는 효소’라는 기능적 장점을 상큼한 포도맛과 오렌지 맛의 젤리에 녹여내어 건강과 미용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쉽고 빠르게 다가갔다.

 

포도 맛 제품의 경우 효소 외에도 비타민 7종과 미네랄 2종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이 풍부하고 오렌지 맛 제품의 경우 타우린 성분을 포함해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준다.

 

 

‘저칼로리, 저지방, 저당’이 특징인 곤약 젤리도 급부상하고 있다. 2020년에 창립한 곤약 젤리 브랜드 주오이샤는 일본의 캐릭터 피타오와 합작하여 개성 있는 디자인의 곤약 제품을 출시했다.

 

해당 제품은 곤약 젤리의 장점을 내세워 ‘저칼로리, 과즙 함유 25%, 한 포 당 5Kcal’라는 문구로 젊은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식품Biz] 식품진흥원, 세계로 도약할 글로벌 유망 식품 선정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하 식품진흥원)은 국내 식품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유망식품 선정평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원하는 ‘통합마케팅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K-Food의 세계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략적 자리로 마련됐다. 최근 K-Food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이번 선정평가회에서는 수출전문기관, 농식품 수출 전문가, 국내외 유통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평가단이 참여해 심층평가를 통해 해외시장진출 가능성이 높은 40여개 식품기업의 제품들이 선정됐다. 식품진흥원은 이번 평가회를 기반으로 오는 6월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국제 식품박람회 ‘Summer Fancy Food Show’에 국가식품클러스터 공동관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선정된 유망 식품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을 선보이고 해외 바이어들과 직접 상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식품진흥원은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운영하고,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전라북도 등 유관기관과 협업해 수출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덕호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서울 3대 ‘삼계탕&닭한마리칼국수’ 비법 전수과정 열려
맛집 창업의 꿈을 꾸는 예비창업자, 업종변경과 메뉴, 요리기술 등의 보완을 고민 중인 자영업자를 위한 솔루션 과정이 주목받고 있다. 30년 경력의 외식전문컨설팅기업 ㈜알지엠컨설팅 산하 교육기관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의 ‘외식창업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맛집 브랜딩 전략부터 메뉴개발, 비법전수 등 외식업 경영의 핵심 노하우를 전한다. 이번 교육에서는 진한 ‘들깨삼계탕’ 하나로 '서울 3대 문파' 오른 ‘삼계탕 비법’과 동대문 ‘닭한마리칼국수’로 서민갑부 반열에 오른 식당의 비결을 전수한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 삼계탕 전문점을 비교·분석해 현장에서 직접 시연·시식하고 교육생들에게 검증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일선 요리학원과 차별화 된 현장기술 전수 프로그램으로, 기술이전 비용만으로 메인 상품부터 각종 찬류 등 한상차림까지 사업현장에서 바로 적용가능토록 몸에 익을 때까지 충분한 반복 연습을 지원한다. 2025년 복날 성수기 전, '삼계탕'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4월 17일, 전문식당 메뉴개발 전수과정, 식당 게시 바로 가능 이번 삼계탕&닭한마리칼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