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하다 힙해!’ 고길동 맥주부터 전원일기 막걸리까지! '뉴트로' 감성에 ‘풍덩’

뉴트로 즐기는 소비자 겨냥한 다양한 제품 출시 잇따라

최근 복고(Retro)를 새롭게(New) 즐기는 뉴트로 열풍이 확산하면서, 뉴트로 감성을 담은 다양한 제품이 유통업계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추억을 자극하는 콘텐츠를 활용해 복고 감성은 유지하면서, 새롭고 특별한 해석을 가미한 신제품들은 중장년층에게는 향수를, MZ세대에게는 색다른 즐길 거리를 선사하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이에 식음료 업계는 아기공룡둘리, 포켓몬스터 등 추억의 만화를 비롯해 한 시대를 풍미한 드라마 전원일기, 학창시절의 추억을 담은 싸이월드 등 추억을 자극하는 복고 콘텐츠에 새롭고 특별한 해석을 가미한 신제품을 출시하며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수제맥주 스타트업 더쎄를라잇브루잉은 만화 <아기공룡 둘리>의 등장인물 고길동을 모티프로 한 ‘고길동에일’을 출시했다. 고길동은 방영 당시 둘리를 혼내는 나쁜 아저씨로만 비쳤으나, 주 시청자인 어린이들이 고길동 나이로 성장하면서 차츰 인정 넘치고 마음 넓은 어른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고길동이 불쌍해 보인다면 어른이 된 것이다’라는 공감을 바탕으로 밈(meme, 인터넷 유행 콘텐츠)으로 발전하면서, 유튜브 등 SNS에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더쎄를라잇브루잉은 이에 아이디어를 얻어 서울의 감성을 담은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서울메이드, <아기공룡 둘리>를 만든 둘리나라와 협업으로 고길동 스토리를 담은 ‘고길동에일’을 선보였다. ‘고길동에일’은 힘든 일과를 보낸 '어른이'들이 힐링할 수 있도록 기분 좋은 트로피컬 향을 담았으며, 일반적인 에일 맥주보다 씁쓸한 맛을 낮춰 퇴근 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더쎄를라잇브루잉 마케팅 담당자는 “최근 인터넷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되며 인기를 얻은 고길동의 스토리를 맥주에 담아 ‘고길동에일’을 출시하게 되었다”라며 “고길동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 3040세대뿐 아니라 뉴트로를 즐기는 MZ세대에게도 색다른 즐거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탁주제조업체 이동주조1957은 지난 4월 MBC 드라마 ‘전원일기’와 컬래버한 막걸리 ‘전원일기 이동 막걸리’를 출시했다.

 

‘전원일기’는 1980년부터 2002년까지 방송된 MBC드라마로 22년이라는 역대 최장수 방영 기록으로 최불암, 김혜자, 김수미 등 걸출한 국민 배우들을 내놓으며 시대를 풍미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컬래버레이션은 최근 ‘전원일기’가 옛날 드라마 다시보기를 통해 재조명받는 현상에서 출발했다. 전원일기는 MZ세대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며, 지난해 4회 편성 다큐 플렉스 특집이 방영되기도 했다.

 

 

풀무원식품은 이달 싸이월드와 협업해 식물성 떡볶이 ‘풀무원과 일촌했떡볶이’를 출시했다. 패키지에는 2000년대 초중반 온라인은 강타했던 ‘싸이월드 감성’을 담았다. 떡볶이를 형상화한 캐릭터 ‘미니미’, ‘일촌 신청 메시지’ 등 레트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디자인으로 친숙함을 더했다.

 

SPC삼립은 올해 2월 1990년대 인기를 끌었던 ‘포켓몬빵’을 재출시해 뉴트로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SPC그룹의 전신인 제빵회사 샤니는 1998년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를 제작하는 일본 기업과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포켓몬 스티커 띠부씰이 들어있는 포켓몬빵을 선보여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후 2006년 단종되었으나, 당시 포켓몬 열풍을 이끌던 어린이들이 구매력을 갖춘 MZ세대로 성장하면서 ‘포켓몬빵’ 재출시를 SPC삼립에 지속적으로 요청했고, 이에 화답하기 위해 ‘포켓몬빵’이 다시 출시된 것이다.

 

‘포켓몬빵’은 재출시 이후 40여 일 만에 1000만개가 판매되었을 뿐 아니라, 띠부씰을 높은 가격에 재판매 하는 리셀러까지 등장하는 등 뜨거운 인기를 얻고 있다. SPC삼립은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포켓몬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으로 MZ세대의 레트로 감성을 자극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지난 2019년 원조 ‘진로’ 소주인 두꺼비소주를 젊은 감성으로 재해석해 출시했으며, 출시 3년 만에 누적 판매량 10억병을 돌파했다.

 

 

1950년대 처음 적용한 진로의 상징 두꺼비를 레트로 감성에 맞춰 둥글고 귀여운 모습의 캐릭터로 개발했으며, 병 모양, 라벨 등도 과거 디자인을 복원하는 동시에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새로움을 더했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하이트진로는 업계 최초로 두꺼비를 활용한 캐릭터 마케팅을 통해 다양한 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국내 최초 주류 캐릭터샵 ‘두껍상회’는 누적 방문객 18만 명을 넘어섰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완주 9품×청년 셰프’ 로 2025 K-미식관광 시동
완주군이 ‘완주 9품’에 삼례 청년 셰프들의 이야기를 더해 새로운 미식관광 프로젝트를 열었다. 단순한 먹거리 행사를 넘어, 완주를 ‘머무는 관광지’로 만드는 체류형 K-미식관광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본격적인 시동이다. 완주군은 올해 전북특별자치도의 ‘2025년 전북형 미식관광 활성화 공모사업’에 선정되며 지역 미식자원을 관광 콘텐츠로 발전시키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 사업의 첫 시작이 바로 지난 9월 ‘완주 와일드&로컬푸드 축제’에서 운영된 ‘완주 ON세계 미식여행’ 팝업스토어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단순한 음식 판매가 아니라, 완주 농산물·청년 셰프·미식 전문가가 함께 만든 실험의 장이었다. 완주군은 사업 초기부터 푸디온 김태현 대표를 미식컨설턴트로 초빙해 삼례권역 청년 셰프들(홍식당, 텐플러스, 커피한잔)과 협력했고, 그 결과 ‘완주 토마토 크림 새우’, ‘고산 한우 소보로 라이스’, ‘봉동 생강 파워 레몬에이드’ 등 완주 9품 기반 메뉴 9종이 모두 완판되며 현장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 셰프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우리 식재료가 가진 힘을 다시 느꼈다”, “축제 반응 덕분에 더 도전해보고 싶다” 등 현장에서 확인한 가능성으로 청년 셰프들의 자신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한식창업 선호도 1위 ‘국밥’의 모든 것, '한우국밥&미나리곰탕' 비법전수
잘 팔리는 강력한 상품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외식사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번 메뉴개발 아이템은 점심 한 끼 식사로도 저녁 장사로도 접근성이 좋은 ‘국밥’이다. 한식 창업 선호도 1위인 ‘국밥’은 계절을 타지 않는 꾸준한 수요와 최근엔 배달 창업 아이템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오는 11월 27일(목) ‘한우국밥’, ‘미나리곰탕’ 비법 레시피 전수 ‘국밥’은 다양한 종류만큼 특색 있는 맛과 각기 다른 매력으로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음식으로 꼽힌다. 그중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들과 유명 국밥맛집을 비교·분석, 국밥계의 베스트셀러인 명품 ‘한우국밥’과 떠오르는 신예 ‘미나리곰탕’ 비법을 전수하는 교육과정이 오는 11월 27일(목) 진행된다. 먼저 대파와 무. 그리고 양지, 사태 등 소고기가 한 솥에 어우러져 시원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는 원조 한우국밥 비법을 전수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칼칼하고 매운 국물을 위해 소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기름을 넣어 텁텁하지 않고 깔끔하게 매운맛을 가미했다. 또한 최근 국밥전문점에서 매출 견인의 효자메뉴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미나리곰탕’ 레시피도 함께 전수한다.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