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홍콩지사에 의하면 홍콩의 면류(파스타 제외)시장은 2020년에 13% 이상 성장했다. 그 여파로 2021년 전년 대비 성장률은 저조했지만 1,926백만 홍콩 달러를 기록하여 펜데믹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11.9% 성장했다.
홍콩 면류 시장에서 인스턴트 라면이 차지하는 비중은 92% 이상이며 2026년까지 연평균 3.7%씩 성장할 예정이다. 이처럼 인스턴트 라면 소비가 많은 홍콩에서 세계 각국의 라면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외식이 줄어 집에서 간단히 요리할 수 있는 라면의 인기는 더 높아졌다. 홍콩에서는 두 가지 컵라면을 조합하여 조리하거나 컵라면 국물을 이용한 볶음밥을 만드는 등 라면을 활용한 간단한 레시피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매운맛보다 고소한 맛의 라면 선호
홍콩 매체 hk01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홍콩에서 1위를 차지한 한국 라면은 ‘보들보들 치즈라면’이다. 매운맛보다는 고소한 맛을 선호하는 홍콩 사람들의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뒤를 이어 ‘신라면’, ‘진라면 순한 맛’, ‘감자면’, ‘진짬뽕’ 등이 순위에 올랐다.

반면, 젊은 층에서 가장 핫한 라면은 ‘바지락 술찜면’인데 홍콩 사람들이 좋아하는 해물 베이스의 국물과 실제 바지락이 들어가 있다는 점에 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홍콩 소비자들은 한국 라면에서 느끼는 매력을 “탱탱한 면발”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유로모니터는 홍콩 사람들이 매운 소고기, 돼지고기 육수보다 맵지 않은 해산물과 닭고기 육수를 선호한다고 밝혔다.
매운 한국 라면을 먹을 때면 소스량 조절, 채소, 계란, 치즈 등을 추가하여 매운맛을 중화시켜 먹는 편이다.
對홍콩 한국 라면 수출 현황
한국 라면의 전체 수출액은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으로 외식 수요가 감소했던 2020년에 전년 대비 30% 성장했고, 2021년에는 약 7.7억 달러를 기록했다.
홍콩의 라면시장은 약 2,700억 원 규모의 시장이다.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수입된 라면이 치열하게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수입시장 점유율은 중국이 45%, 일본이 23%, 한국이 10%를 차지했다.
한국 라면의 홍콩 수출 실적은 펜데믹 이전과 비교해 2020년에는 약 45%, 21년에는 약 35% 성장했다. 코로나19가 안정화되면서 수출 규모가 다소 줄었지만 홍콩의 면류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돼 향후 진출을 모색해 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