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강술래 김진민 총괄셰프 수원식·광양식 2종 숯불양념갈비 비법 전수

한국음식관광협회 선정 '갈비 부분 제10대 식품 명인'이자 전 청와대 한식조리장을 지낸 강강술래의 '김진민 총괄 셰프’의 비법 전수 과정이 오는 10월 6일(목)이 열린다.

 

이번 비법전수 과정에서는 갈비대가 김진민 셰프의 47년 갈비 노하우를 오롯이 전달한다.

 

 

김진민 셰프는 72년 한식요리사로 입문해 서울 대표 한식당인 삼원가든에서 22년을 근무하며 총주방장을 역임, 2008년부터는 강강술래의 총괄셰프로서 소갈비 메뉴 레시피 연구 및 HMR 상품개발 등을 책임지고 있다. 2016년 한식 고수들이 대결을 펼치는 한식대첩4의 서울 대표로 출전해 준우승을 차지하며 유명세를 떨쳤다.

 

'수원식 양념갈비, 광양식 등심주물럭 '2종 비법전수

오는 6일(목), 대한민국 갈비대가의 레시피 제공

 

소갈비 메뉴는 한식당의 단품, 정식, 코스요리로 추가돼 높은 객단가를 올릴 수 있으며, 최근에는 코로나의 여파로 숯불갈비를 도시락으로 재개발해 판매하는 외식기업, 고기전문점도 늘고 있는 추세다.

 

이번 교육에서는 양념갈비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은 수원식 양념갈비와 광양식 양념갈비 2종을 비법을 전수한다.

 

자영업자, 예비창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교육은 갈비 부위별 해체 작업부터 시연을 하고 부위별 쓰임새, 양념 소스 제조법, 곁들임 음식 구성, 상차림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준다.

 

 

소갈비 해체 방법부터 특제양념소스까지,

단품/세트/코스/스페셜 판매 상품구성 및 특장점 전달

 

실전 창업용 교육으로 준비된 만큼 현장 종사자의 눈높이에 맞춰 김진민 셰프가 보유한 고기 손질 비법, 양념 소스 레시피, 상품 구성 노하우를 빠짐없이 전수한다. 또한, 교육을 참여해 배우는 요리는 g단위로 적힌 레시피북을 제공한다.

 

 

한우 아랫등심·미국산 갈비 사용법을 두 가지를 모두 터득해 갈 수 있다. 소갈비 해체 작업을 보여 준 후 꽃등심, 생등심 등 부위별 사용법을 설명해준다.

 

 

이어 소금이 베이스로 사용돼 담백한 맛이 특징인 수원식 양념갈비와 간장 베이스로 구수한 맛의 광양식 양념갈비 소스를 사용한 등심주물럭 레시피를 공유한다. 고기에 함께 곁들여 먹는 영양부추무침도 추가로 배워갈 수 있다.

 

 

비법 전수를 맡은 김진민 셰프는 “47년동안 한식 셰프로 일하며 터득한 소갈비 노하우를 외식업계를 위해 공개할 계획이다. 고기전문 브랜드의 총괄 셰프로 활동하고 있는 만큼 자영업 사장님들이 눈높이에 맞춰서 양념소스 레시피, 조리법을 자세히 알려주겠다”고 전했다.

 

교육이 끝난 후에도 그룹 대화방을 개설해 꾸준한 피드백과 정보도 공유한다.

 

‘수원식·광양식 2종 숯불양념갈비 비법전수’ 과정은 10월 6일(목) 하루 동안 진행되며, 10명에 한정해 사전예약을 받는다.

 

교육 참가비는 90만원(부가세별도)이다. 교육은 서울 강남구 학동역에 위치한 전문 조리실습장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에서 진행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02-3444-7339)로 문의 가능하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피플인사이트] 전통 육포의 세계를 확장하다
전통에 질문을 던지면 새로운 전통이 탄생한다. 홍두깨살 외에 다른 부위로 만들면? 간장 외에 다른 장에 재우면? 오랜 지혜와 관습을 존중하면서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전통적으로 육포는 혼례, 환갑 등 잔칫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었다. 신라시대부터 폐백 음식에 포함됐다고 전해지며, 고려시대 문헌 「고려도경」에는 귀한 손님에게 대접하는 술상에 육포를 올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최근 결혼 문화의 간소화로 폐백 문화가 없어지면서 육포도 점차 사라 지고 있다. 김지윤 정육포 대표가 폐백 · 이바지 음식 전문가 어머니의 육포를 지키기 위해 현대화를 꾀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육포의 시작은 어머니 김정자 여사의 ‘손맛’이었다. 서촌에서 대대로 살아 온 집안에서 태어나 친정어머니의 서울식 음식을 먹고 자란 김정자 여사는 타 고난 손맛이 좋았다. 어머니의 음식을 떠올리며 남편의 손님을 위해 준비한 상차림은 이내 입소문을 탔고, 그중에는 친정어머니의 전통 방식으로 만든 육포도 있었다. 1990년대 초반, 대물림한 외가의 음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 고자 조선왕조 궁중음식 기능 보유자였던 고 황혜성 선생의 궁중음식 강좌를 이수하던 중 지인들의 부탁으로 선물했던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