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오늘] 한국 스마트팜 딸기 사우디 식탁에 오른다

한국 스마트팜 기업 컨소시엄, 사우디 농업 기업과 딸기 생산
사우디 비전 2030 정책 수요 연계 ‘사우디 시장진출 모범 사례’

사우디에서도 한국 스마트팜 기술로 재배된 딸기를 맛볼 수 있게 됐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와 KOTRA(사장 유정열)가 지원한 한국 스마트팜 기업 컨소시엄이 12일 사우디 리야드에서 현지 기업과 한국 딸기 연중 재배를 위한 합작법인(Joint Venture) 설립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 기업 컨소시엄은 포미트, 농심, 아그로솔루션코리아, 엠에스 등 스마트팜 관련 중소중견기업이다. 한국 컨소시엄은 사우디 시장에서 스마트팜 수요에 주목하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현지 진출을 추진해왔다.

 

 

사우디 그린하우스 기업은 1987년 설립된 사우디 농산물 재배와 유통 분야의 대표적인 기업이다.

이 기업은 사우디 전역에 9개 농장에서 80헥타르의 그린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서 토마토, 오이, 상추, 가지, 허브 등 다양한 농산물을 재배해 슈퍼마켓 체인, 호텔, 레스토랑 등에 공급하고 있다.

 

양측은 지난해 10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고 KOTRA가 개최한 ‘한-중동 스마트팜 이니셔티브’를 통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으며, 올해 중 리야드에 쇼케이스팜 구축 및 딸기 시범생산을 시작한다. 또한 2024년 하반기부터는 리야드 인근지역에 최소 5개의 상업용 딸기 스마트팜을 건설해 월 30톤 규모의 한국 딸기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유통할 계획이다.

 

 

한국 기업 컨소시엄은 딸기 재배를 위한 스마트팜 기자재와 운영에 강점을 가지고 있고, 사우디 현지 기업의 사우디 시장정보, 농산물 재배경험, 자금력, 유통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어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양측은 딸기 외에 고급 농산물의 스마트팜 재배를 위한 비즈니스 기회도 함께 개발해 프로젝트 규모를 1억 달러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 사례는 최근 국내기업의 관심이 높은 중동 및 사우디 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의 시장진출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 사우디 정부는 자국 산업기반 육성을 위한 비전 2030 정책에 따라 해외기업에 단순 상품 수출을 넘어선 현지 진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에서 우리 기업들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적합한 사우디 기업과 협력해 성공적으로 사우디의 유망 분야 시장에 진출할 수 있었다.

 

KOTRA 양기모 중동지역본부장은 “본 합작법인 설립이 우리 스마트팜 기업의 본격적인 중동 진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농림축산식품부, 유관 부처 및 기관과의 원활한 협력을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 기회를 발굴하고 현장의 애로를 적극적으로 해소함으로써 정부의 수출플러스 달성에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오오히라 야마비코’ 장어타래·장어덮밥 상품화 기술전수
‘일본식 장어덮밥’(히츠마부시)전문점의 기술을 오롯이 전수받을 수 있는 교육과정이 오는 3월 23일(목)에 열린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장어’ 요리. 최근 줄서는 맛집 등 유명 방송프로그램에 일본식 장어덮밥 전문점이 소개되면서 고급 스테미너 음식인 ‘히츠마부시’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대중에게 인지도가 높아진 장어요리지만, 국내에서 정통 장어덮밥을 즐길 수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히츠마부시는 한 그릇으로 3가지 다른 맛으로 즐길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즐거움이자 특징이다. 내어진 히츠마부시를 나무수저로 장어가 부서지지 않을 만큼 가볍게 비벼낸 후 앞 접시에 3번에 걸쳐 덜어내 재료를 더해가며 본인 취향에 따라 맛을 달리 즐기는 것이 히츠마부시만의 스타일이다. 바삭하지만 속은 부드러운 장어의 식감과 고소한 맛이 어떤 방식으로 먹어도 일품이다. 국내 최초 300년 응축된 장인의 장어타래 레시피 전 과정을 공개 일본 5대 장어덮밥 전문점 분석 최고의 맛 전해 “굽기가 첫 번째 관건이다. 또 깊은 풍미와 맛을 결정짓는 장어타래를 입혀내 윤기와 색감이 어우러져야 진정한 히츠마부시가 탄생한다. 쫄깃한 첫입에 이어지는 부드러운 식감을 극대화하는 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