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푸드테크 계약학과 운영대학 선정으로 전문인력 양성 ‘탄력’

농식품부 주관 푸드테크 계약학과 운영대학 공모에 포스텍 선정 쾌거

 

 

포항시는 포스텍이 농림축산식품부가 올해 공모한 푸드테크 계약학과 운영대학에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푸드테크 계약학과는 대학에서 석사과정으로 기업과 연계해 산업체 맞춤형 업체 종사자를 전문인력으로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며, 이번 공모에서는 포스텍 외에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 등 4개 대학이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포스텍은 로봇 기반 식품과 AI 융합, 스마트팩토리, 개발 기술 등 푸드테크 분야 이론 및 실습 교육뿐 아니라 기업 애로 기술 과제 해결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

 

입학생에게는 등록금의 65%를 지원하며, 대학에는 연간 운영비 7,000만 원, 기업에는 연간 6,000만 원 규모를 각각 지원하는 등 학교당 최대 2억 8,000만 원이 지원된다.

 

포스텍은 오는 7월 말까지 교육생 모집 등 학과 개설 준비를 완료하고, 9월부터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포항시는 푸드테크 산업을 미래성장 동력산업으로 선도하기 위해 경상북도와 함께 K-키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푸드테크 기업과 400억 원의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또한, 올해부터 경상북도와 함께 푸드테크 기술 상용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중앙동 꿈틀로에 도시재생사업과 연계, 푸드테크 기업, 포스텍과 협력해 푸드테크 로봇카페 및 교육센터를 조성한다.

 

이와 함께 향후 협동로봇, 서비스로봇 등 AI 기반의 푸드테크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푸드테크 융복합지원센터 구축과 산·관·학 연계를 통해 푸드테크 산업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고원학 환경국장은 “포스텍의 푸드테크 학과 개설로 푸드테크 산업의 성장 산업화를 견인할 기틀이 마련됐다”며, “푸드테크 산업 육성으로 신산업 생태계 조성과 외식산업 대전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포항 도시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투명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 출시된다
생수용기 등 투명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가 출시된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투명페트병 재생원료의 수요 확대를 위해 식음료 제조업체 등과 함께 ‘올해 상반기 내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제품 출시’를 선언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투명폐트병 재생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가 나온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지난 23일 오후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 코카․콜라, 산수음료, 매일유업, 알엠, 에이치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대표들과 함께 ‘투명페트병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 이날 협약에 참여하는 한국 코카콜라, 산수음료, 매일유업, 한국수자원공사 등 4개 식음료 제조업체는 올해 상반기 내로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비율이 10%인 투명페트병 식음료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출시 이후 재생원료 사용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 및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페트병 재생원료의 사용 비율과 적용 품목을 늘릴 예정이다. 그간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투명페트병 재생원료가 식품용기용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업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식음료 제조업계와 협의를 거쳐 보다 많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동대문구, 커피박(커피찌꺼기) 자원화 사업 시동!
동대문구가 커피전문점에서 배출되는 커피박을 커피숯, 커피펠릿 등 고형연료 및 비료, 활성탄 탈취 필터 등으로 다양하게 재활용하는 ‘커피박 자원화 사업’을 추진한다. ‘커피박’이란 커피를 내리고 난 후의 커피찌꺼기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업소에서는 커피 원두의 0.2%만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99.8%는 생활폐기물로 버려져 매립⋅소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활용되지 않은 커피박이 매립되거나 소각되면 메탄 등 온실가스가 발생되어 지구온난화로 이어진다. 이에 동대문구는 관내 5개동(용신, 제기, 청량리, 전농1, 회기동)에 위치한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커피박 무상수거 사업’을 홍보하고 희망업소의 신청을 받아 ‘커피박 자원화 사업’을 추진하여 생활폐기물 배출량 및 처리비용을 줄임으로써 탄소중립 실천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커피박 자원화 사업’은 참여 커피전문점이 투명 또는 반투명 봉투에 이물질이 섞이지 않은 커피박을 담아 업소 앞에 배출하면, 수거 업체에서 ‘무상 회수’ 하여 고형연료 등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커피박 자원화 사업에 참여하길 희망하는 커피전문점은 동대문구 청소행정과로 신청하면 된다. 송영철 동대문구 청소행정과장은 “오는 5월 30일 커피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