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Biz] 중국, 고령사회 진입하며 실버푸드 성장

올해 초 중국 국무원은 <2022년 국민경제 운영상황> 발표회에서 중국 인구가 61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고령화·노령화 신호가 보인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의하면 중국 인구 비중에서 ‘신중년’,‘실버족’이 많아짐에 따라 실버 경제와 실버 소비가 떠오르고 있다.

 

 

중국위생건강위원회는 작년 9월 뉴스 브리핑에서 2021년 말까지 중국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2.67억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9%를 차지했다. 2035년이면 4억 명을 돌파해 전체 인구의 30%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는 등 심각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기존 노인층과 달리 현재의 실버족은 인터넷 수용도가 높고 구매력이 강하며 소비 품목과 방식이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실버족의 식품에 대한 건강 니즈는 크게 3고(고혈압, 고혈당, 고지혈) 조절, 면역력 강화, 수면 개선, 뼈 및 위장 건강의 5가지 방향으로 세분화된다.

 

제품 유형 측면에서 현재 시장엔 단백질 파우더, 콜라겐 콘드로이틴으로 대표되는 영양 및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구기자, 인삼, 꿀과 같은 전통적인 식재료 및 약재가 실버족의 선호를 받고 있다. 요구르트, 음료, 간식 등 일반 식품에서부터 보양식품, 건강기능식품에 이르기까지 실버푸드의 활력을 확실히 느낄 수 있다.

 

 

징동 소비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8월까지 실버족의 전체 소비 중 식음료의 비중은 13.4%로 가장 높았다. 이에 발맞춰 고령 인구의 수요에 부합한 카테고리는 계속 확장되고 있다.

 

 

왕왕은 실버 시장을 겨냥해 ‘애쯔존(爱至尊)’ 시리즈를 출시, 쌀과자를 통해 중장년층 관심을 자극했다. 농푸산취안은 알츠하이머 예방을 컨셉으로 ‘리튬수(锂水)’을 출시해 실버 생수 시장 공략에 나섰다.

 

네슬레는 실버족을 위한 전문 브랜드 ‘이양(怡养)’을 런칭했고, 이리는 중장년층을 겨냥한 분유 브랜드 ‘신호(欣活)’를, 다논은 중장년층 영양 식품 브랜드 ‘간마이(敢迈)’를 각각 런칭했다.

 

 

영양 및 건강 관리 측면에서 실버푸드는 보다 전문화된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많은 글로벌 브랜드를 중심으로 중국 시장에 맞는 실버제품이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투명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 출시된다
생수용기 등 투명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가 출시된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투명페트병 재생원료의 수요 확대를 위해 식음료 제조업체 등과 함께 ‘올해 상반기 내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제품 출시’를 선언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투명폐트병 재생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가 나온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지난 23일 오후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 코카․콜라, 산수음료, 매일유업, 알엠, 에이치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대표들과 함께 ‘투명페트병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 이날 협약에 참여하는 한국 코카콜라, 산수음료, 매일유업, 한국수자원공사 등 4개 식음료 제조업체는 올해 상반기 내로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비율이 10%인 투명페트병 식음료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출시 이후 재생원료 사용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 및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페트병 재생원료의 사용 비율과 적용 품목을 늘릴 예정이다. 그간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투명페트병 재생원료가 식품용기용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업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식음료 제조업계와 협의를 거쳐 보다 많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동대문구, 커피박(커피찌꺼기) 자원화 사업 시동!
동대문구가 커피전문점에서 배출되는 커피박을 커피숯, 커피펠릿 등 고형연료 및 비료, 활성탄 탈취 필터 등으로 다양하게 재활용하는 ‘커피박 자원화 사업’을 추진한다. ‘커피박’이란 커피를 내리고 난 후의 커피찌꺼기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업소에서는 커피 원두의 0.2%만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99.8%는 생활폐기물로 버려져 매립⋅소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활용되지 않은 커피박이 매립되거나 소각되면 메탄 등 온실가스가 발생되어 지구온난화로 이어진다. 이에 동대문구는 관내 5개동(용신, 제기, 청량리, 전농1, 회기동)에 위치한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커피박 무상수거 사업’을 홍보하고 희망업소의 신청을 받아 ‘커피박 자원화 사업’을 추진하여 생활폐기물 배출량 및 처리비용을 줄임으로써 탄소중립 실천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커피박 자원화 사업’은 참여 커피전문점이 투명 또는 반투명 봉투에 이물질이 섞이지 않은 커피박을 담아 업소 앞에 배출하면, 수거 업체에서 ‘무상 회수’ 하여 고형연료 등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커피박 자원화 사업에 참여하길 희망하는 커피전문점은 동대문구 청소행정과로 신청하면 된다. 송영철 동대문구 청소행정과장은 “오는 5월 30일 커피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