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히스토리] 우리나라 음식 배달의 역사

2021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시켜 먹은 음식이 약 26조 원어치나 된다. 그만큼 음식점에 가지 않고, 배달을 시켜 먹는 사람들이 많다. 전 세계에서 음식 배달문화가 가장 발달한 나라가 대한민국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의 음식 배달문화는 언제부터 시작이 되었고,

또 최초의 배달음식은 무엇일까.

 

최초의 배달음식이 ‘냉면’이라는 설도 있고, 해장국인 ‘효종갱’이라는 설도 있다. 최초의 배달음식이 냉면이라면 음식 배달문화는 18세기에 이미 시작이 되었고, 효종갱을 최초의 배달음식으로 본다면 20세기가 되어서 음식 배달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판단의 기준은 배달의 정의에 따라 달라질 것이기에 판단은 독자의 몫이다.

 

사전적 의미의 ‘배달음식’은 음식점에서 집까지 가져다주는 음식이다. 의미를 그대로 해석하면 음식을 판매하는 매장에서 음식을 소비하는 구매자의 집(또는 특정 장소)으로 음식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그런데 18세기의 기록으로 남아있는 냉면의 경우 배달인지 포장해서 가져가는 테이크아웃인지 명확하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첫 번째 기록, 1768년 <이재난고(頤齋亂藁)>에 등장하는 냉면

 

배달인 듯한 첫 번째 기록은 이렇다. 조선시대 실학자인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이재 황윤석이 쓴 ‘이재난고(頤齋亂藁)’라는 일기형태의 기록물에 보면, 1768년 7월 7일 일기에 “과거시험을 본 다음날 점심에 일행과 함께 냉면을 시켜 먹었다.”라고 기록돼 있다.

 

이재 황윤석이 실제 과거시험을 본 시점은 이런 일기를 기록한 시점보다 9년 전인 1759년이기 때문에 본인의 추억을 기록했거나, 아니면 당시 유생들의 풍속을 기록한 것이 아닌가 싶다. 아무튼 “시켜 먹었다”는 표현 때문에 냉면을 배달시켜 먹은 것으로 해석을 하는데, 냉면집 주인에게 배달을 시켰는지, 아니면 데리고 간 종들에게 냉면을 사오라고 시켰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전자, 즉 냉면집 주인에게 시킨 것이라면 배달이 맞지만, 후자, 즉 종들에게 사오라고 시킨 것이라면 배달이 아니라 요즘 말로 하면 테이크아웃이 되는 것이다.

 

두 번째 기록, 1871년 <임하필기(林下筆記>에 등장하는 냉면

 

두 번째 기록은 조선말기 고종과 순조 때 문신이었던 이유원이 쓴 ‘임하필기(林下筆記)’에도 냉면 배달 이야기가 나온다. 임하필기는 1871년에 탈고한 책인데, 여기에 보면 고종이 신하에게 명하여 문틈으로 냉면을 사오게 하며, “너희들과 함께 냉면을 먹고 싶다”고 했다는 기록이 있고, 또 순조도 즉위 초에 달구경을 하다가 신하를 불러 냉면을 사오라고 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이 경우도 신하들이 냄면집 주인에게 냉면을 만들어 가져오라고 했다면 배달이지만, 신하가 직접 들고 왔다면 테이크아웃인 셈이다.

 

세 번째 기록, 1921년 <해동죽지(海東竹枝)>에 등장하는 효종갱

 

세 번째 기록은 조선말기 문신이자 시인인 최영년이 1921년에 쓴 ‘해동죽지海東竹枝)’라는 시집에 나온다. 이 시집은 세시풍속과 지역 명물 음식을 시로 소개한 책인데, 여기에 보면 지역의 명물 음식 중 경기도 광주 남한산성의 유명 음식 효종갱(曉鐘羹)이 등장한다.

 

효종갱은 배추속대, 콩나물, 송이, 표고, 소갈비, 해삼, 전복을 넣고 토장, 즉 된장에 푹 끓인 국이다. 이 국을 저녁에 항아리에 담아 솜에 싸서 경성으로 보내면 새벽종이 울릴 때쯤 재상의 집, 요즘으로 치면 장관급 국무위원 집에 도착하는데, 국 항아리가 따뜻하고 해장에 더없이 좋다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새벽종이 울릴 때 오는 국이라서 이름을 새벽 ‘효’, 종 ‘종’ 자를 쓴 효종갱이다.

 

음식배달 첫 광고, 1906년 7월 14일 일간신문 ‘만세보’

 

“각 단체의 회식이나 시내·외 관광, 회갑연과 관·혼례연 등 필요한 분량을 요청하시면 가까운 곳, 먼 곳을 가리지 않고 특별히 싼 가격으로 모시겠습니다.”

광고주는 최초의 조선음식 전문점 명월관이었다. 당시에 고급 요릿집의 대명사였던 명월관은 음식을 각각 그릇에 담아서 교자상까지 차려 배달하기도 했다. 일종의 한정식 출장 뷔페였다고 할 수 있다.

 

1900년대 자전거 도입으로 음식 배달 대중화

 

배달이 대중화된 건 1900년대에 자전거가 보급되면서부터다. 우리나라에 자전거가 처음 도입된 시점은 1883년인지 1895년인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개화기에 윤치호가 미국에서 가져온 걸로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1900년대 일제강점기에 많이 보급이 되면서 음식배달이 본격적으로 이뤄졌던 걸로 평가할 수 있다.

 

 

우리민족을 배달민족이라고 한다. 이때 배달은 단군을 의미하기 때문에, 배달민족이라고 하면 단군의 후손이라는 의미지만, 요즘은 ‘배달의 민족’이라는 배달앱 때문에 배달음식을 많이 먹어서 딜리버리 개념의 배달민족이 되어 버려서 씁쓸한 기분도 든다. 배달음식이 새로운 식문화로 자리잡았지만, 장점이 많은 만큼 단점도 많으니까 형편대로 잘 이용하면 좋겠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전주의 맛과 색 담은 ‘전주 비빔빙수’ 출시
전국 랜드마크 호텔로 자리잡은 라한호텔이 전통과 미식의 도시인 전주의 매력을 살린 프리미엄 이색 디저트 ‘전주 비빔빙수’를 선보였다. 지역 대표 음식이자 다양한 재료가 조화를 이루는 비빔밥을 재해석해 자체 개발한 여름 한정 메뉴다. ‘전주 비빔빙수’는 놋그릇에 수박, 망고, 키위 등 신선한 과일을 아낌없이 올린 과일빙수를 고급 한정식 한 상 차림처럼 즐길 수 있다. 곱게 간 우유얼음과 팥, 딸기시럽, 복숭아 찹쌀떡 등 갖가지 토핑이 반찬처럼 담겨 있어 원하는 대로 얹어 비벼 먹는 재미를 선사한다. 여기에 노란 빛깔의 호박식혜도 곁들여져 시원하고 달콤한 여름 별미를 완성할 수 있다. 가격은 2인 기준 2만9000원이다. 벌써부터 고객들 반응이 뜨겁다. ‘전주 비빔빙수’는 알록달록한 색감과 고급스러운 담음새로 인증샷 남기기에 좋을 뿐 아니라 취향에 따라 토핑을 조합할 수 있어 연일 재료가 조기 소진될 정도로 출시와 동시에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전주 비빔빙수’는 9월 30일까지 라한호텔 전주 내 카페&라운지 ‘하녹당’에서 만날 수 있다. 한편 라한호텔은 핸디캡 트윈 객실 1박과 ‘전주 비빔빙수’가 구성된 ‘여름한정 핸디캡룸 패키지’ 상품을 특가로 선보인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