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일본은]소비 위축으로 인해 폐점 급등한 ‘이키나리 스테이크’

일본의 외식기업 페퍼푸드서비스에서 운영하고 있는 스테이크 전문 체인점 ‘이키나리 스테이크’가 최근 성장에 급브레이크가 걸렸다.

 

 

‘이키나리 스테이크’는 2013년에 첫 출점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큰 인기를 끌면서 급성장하였고, 전국의 약 500개의 점포를 거느린 대형 프랜차이즈로 자리잡게 되었다. 하지만 자사의 동일 브랜드 간의 경쟁과 소비 위축 등의 이유로 작년 말 44개 점포의 폐점을 발표, 1월에는 폐점 대상 점포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급성장을 거듭하던 기업이었기에 폐점을 발표하던 당시에는 SNS안에서 큰 화제가 됐을 정도다.

 

서서먹는 시스템의 고수, 하지만 높아지는 객단가

‘이키나리 스테이크’의 단가는 2000엔 내외이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가격에 대해 갑론을박을 펼치고 있지만, 일반적인 음식점 원가율은 30% 안팎이나 이곳의 원가율은 60~70%로 알려져 있다.

 

물론 유통업계 전체를 두고 말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소비가 점점 위축되고 있는 요즘 ‘서서 먹는 시스템’을 고수하고 있는 ‘이키나리 스테이크’에서 2000엔의 가격대는 비싸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가게의 대표 메뉴인 립스테이크는 300g에 2070엔으로 가격대가 2000엔대를 넘어선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미들 립스테이크(200g, 1320엔), 와일드 스테이크(300g, 1390엔) 등 1000엔대의 메뉴도 충실하게 갖춰져 있다.

 

하지만 이것은 스테이크 단품 가격으로 스프와 라이스가 제공되는 세트메뉴 같은 경우에는 소비세 10%를 포함하면 2000엔 가까운 가격으로 올라간다. 서민에게 1인당 2000엔 이상의 외식비는 아무래도 비싼 편에 속하는데, 소비가 침체되고 있는 일본 경제를 생각하면 더욱 부담되는 가격일 수밖에 없다.

 

브랜드의 희소가치 희석과 경쟁사의 출현

‘이키나리 스테이크’는 단시간에 급성장을 이룬 탓에 매장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브랜드의 희소가치가 없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일본의 저가형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실속 있는 가격으로 스테이크를 먹을 수 있는 곳이 늘어나면서 소비자는 선택지가 늘어났고 이 또한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늘어난 선택지 중에 하나가 바로 오키나와에 등장한 스테이크 전문 프랜차이즈 ‘얏빠리 스테이크’이다. 스테이크가 200g에 1000엔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일본의 오키나와현 중심으로 급성장을 거두었고, 현재는 다른 지역으로 새로운 점포가 진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키나리 스테이크’의 대량 폐점과 맞물려 거대하게 성장하고 있는 ‘얏빠리 스테이크’의 움직임은 맛과 가격과 함께 SNS에서도 큰 화제를 몰았다.

 

소비세 증가로 인해 이어지는 소비 위축

이처럼 일본의 외식산업의 성장 둔화 원인으로 소비세 증세가 손꼽힌다. 2019년 10월 일본의 소비세가 10%로 인상되었는데, 품목에 따라 인상에 차이를 두었다. 매장 내에서 식사를 할 때는 10%이지만, 테이크 아웃을 할 경우에는 8%로 2%의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향후 일본 외식 산업에는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문가는 예측하고 있는데, 바로 테이크 아웃과 배달과 택배의 증가이다. ‘이키나리 스테이크’ 또한 갓 구워진 스테이크를 따뜻하고 맛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 배달이나 테이크 아웃이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과제를 안은 상태이다.

 

현재 ‘이키나리 스테이크’는 테이크 아웃과 배달 서비스를 점포에 따라 도입하고 있다. 또한 런치 한정으로 스테이크, 샐러드, 스프를 포함하여 1000엔대 초반으로 먹을 수 메뉴도 선보이고 있다.

 

일본에 스테이크 붐을 일으킨 선구자로서 경영 악화를 회복하기 위해 원점으로 돌아가 다양한 노력을 통해 탈출구를 모색하고 있다. 일본의 저가 스테이크 전문점 과당경쟁은 2020년에도 더욱 과열될 것으로 예상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식자재 왕국 '시즈오카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출전
일본 시즈오카현이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1일까지 , 4일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Food Week Korea2025)에 참가한다. 시즈오카현 서울사무소는 이번 식품산업전 참가를 통해 우수한 품질의 시즈오카현산 특산품을 국내에 알리고 수입을 희망하는 바이어를 생산자와 연결해 판로 확보를 지원한다. 시즈오카현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와사비는 후지산의 깨끗한 물에서 자라 맑은 향기와 맛있는 매운맛으로 유명하며, 국내 유명 일식당 셰프들도 즐겨 사용한다. 또한, 시즈오카현은 일본 내 녹차 생산량, 출하액으로 약 40%를 차지하는 일본 대표적인 녹차 생산지로써 일본의 차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따뜻한 햇볕, 깨끗한 물, 해안에서 불어오는 바람 등의 차 재배에 적합한 기후 조건과 오랜 차 재배 전통이 만나 최고급 녹차를 만들어낸다. 본전시회에서는 시즈오카산 말차를 사용하여 다양한 음식에 활용할 수 있는 말차 페이스트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시즈오카현 내 식품기업 5개사의 우수한 가공식품 약 20여종이 출전을 예정하고 있으며, 일부는 판매 및 시식도 가능하다. 특히 올해는 시즈오카현의 녹차를 사용한 말차 페이스트와 젊은이들에게 인기 있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정읍 ‘똑똑한 달빛장터와 슈퍼푸드 페스티벌’, 첫 주말 1300명 방문하며 순항
지난 주말, 정읍역 광장이 맛있는 먹거리와 흥겨운 음악, 시민들의 웃음소리로 가득 찼다. 올해 처음 선보인 ‘똑똑한 달빛장터와 함께하는 정읍 슈퍼푸드 페스티벌’이 첫 개최부터 시민과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으며, 정읍역 광장을 새로운 복합 문화공간으로 변모시켰다. 정읍시와 정읍시지역활력센터 주관으로 지난 18일과 19일 열린 1·2회차 행사에는 총 1300여 명의 방문객이 다녀갔다. 가을 관광 시즌을 맞아 처음 선보인 이번 행사는 오는 11월 9일까지 매주 토·일요일, 총 8회에 걸쳐 정읍역 광장에서 펼쳐진다. 마을기업·사회적기업·공동체 등 25개 팀이 참여한 장터에서는 신선한 농산물과 전통 장류, 수공예품 등 정읍의 특색 있는 상품들이 판매돼 방문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특히 구절초 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에게 정읍의 우수 먹거리를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됐다. 행사장에서는 떡메치기·달고나 만들기 등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큰 인기를 끈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또한, 오후 5시부터 8시 30분까지는 지역 예술가들의 버스킹 공연이 이어져 깊어가는 가을밤의 정취를 더하며 특별한 추억을 선사했다. 축제를 찾은 한 방문객은 “구절초를 보러 왔다가 정읍역에서 축제를 열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식자재 왕국 '시즈오카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출전
일본 시즈오카현이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1일까지 , 4일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Food Week Korea2025)에 참가한다. 시즈오카현 서울사무소는 이번 식품산업전 참가를 통해 우수한 품질의 시즈오카현산 특산품을 국내에 알리고 수입을 희망하는 바이어를 생산자와 연결해 판로 확보를 지원한다. 시즈오카현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와사비는 후지산의 깨끗한 물에서 자라 맑은 향기와 맛있는 매운맛으로 유명하며, 국내 유명 일식당 셰프들도 즐겨 사용한다. 또한, 시즈오카현은 일본 내 녹차 생산량, 출하액으로 약 40%를 차지하는 일본 대표적인 녹차 생산지로써 일본의 차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따뜻한 햇볕, 깨끗한 물, 해안에서 불어오는 바람 등의 차 재배에 적합한 기후 조건과 오랜 차 재배 전통이 만나 최고급 녹차를 만들어낸다. 본전시회에서는 시즈오카산 말차를 사용하여 다양한 음식에 활용할 수 있는 말차 페이스트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시즈오카현 내 식품기업 5개사의 우수한 가공식품 약 20여종이 출전을 예정하고 있으며, 일부는 판매 및 시식도 가능하다. 특히 올해는 시즈오카현의 녹차를 사용한 말차 페이스트와 젊은이들에게 인기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