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2019년 사회적문제로 커진 식품폐기률 낮추고자 <식품 폐기삭감 추진법> 시행에 들어갔다.
식품·외식기업들도 식품폐기율 감소를 향후 기업의 주요 비전에 포함시키며 적극적인 방안 모색에 나서고 있다.
이전이라면 생산 과정에서 가공 후 버려지던 식재료들이 다시 쓰임을 찾기 시작했다. 크러스트 재팬은 폐기될 빵 부스러기, 과일과 그 껍질을 사용한 음료를 생산한다. 버려지는 빵을 회수한 다음 일본 알프스(히다·기소·아카이시 산맥)의 천연수를 사용한 ‘크러스트 맥주’, 과일 공장에서 버려지는 과일의 껍질을 활용한 음료 ‘크롭(CROP)’이 있다.
또한, 일본 내 농축산업은 한국과 유사하게 이농과 후계자 부족으로 인해 인재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어, 농가 가구 수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고기의 등급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편중적인 판매가 늘어나고 있어 가치는 있지만 유통되지 않고 폐기되는 고기도 많다
이를 해결하고자 일본 정부는 ‘일본 와규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생산, 제조과정에서 판매가 어려운 등급 외의 고기, 야채, 생선을 브랜드로 개발하는 과정이다.
생산, 가공제조, 판매(소매, 외식, 제조업자) 등 생산자의 지속적인 생산 경영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로 음식 공급망, 식산업의 다양한 과제를 해소 및 해결하기 위해 여러 농식품 산업의 이해 관계자가 참여한다.
이 프로젝트의 오리지널 상품 중 하나인 ‘파인애플 햄버거’에 사용되는 고기는 딱딱해지기 쉬워 폐기되어 온 경산우를 독자적인 조리법을 사용해 감칠맛을 충분히 살렸다. 홍콩의 파인애플빵을 벤치마킹한 후 수제로 구워낸다.
한국, 식품외식업계 친환경 경영 강화 행보 주목
우리나라 또한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지속 가능한 미래가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았으며, 친환경 활동은 기업 경영의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됐다.
남은 음식을 최소화하거나, 포장재를 지속가능한 것으로 변경하는 등 식사 전부터 끝까지 전 과정에서 환경을 고려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식사이클링’은 2023년 외식업 트렌드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의 친환경 실천 의지를 높이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한국리서치조사에 따르면 2030세대 조사자 중 56%가 ‘가격이 비싸더라도 친환경 제품이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제품이라면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무엇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요구가 높아지면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거나 분리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친환경 패키지를 적용하는 등 환경을 위한 자체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먼저 풀무원샘물은 소비자와 함께하는 친환경 캠페인 ‘띵크 그린(Think Green)’의 일환으로 업사이클 브랜드 ‘플라스틱 베이커리’와 병뚜껑을 재활용한 친환경 클래스를 진행했다.
띵크 그린 캠페인의 두 번째 프로그램 ‘Re-에코캡 클래스 with 플라스틱 베이커리’에서는 풀무원샘물 소비자 100명이 수거한 뚜껑을 활용해 타르트 트레이 오브제로 재탄생됐다.
풀무원샘물은 추첨을 통해 초청된 소비자와 함께 플라스틱 베이킹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클래스도 진행한다.
한국 코카-콜라는 국내에서 사용된 음료 페트병으로 안전하게 만들어진 재생 플라스틱이 10% 사용된 재생페트(r-PET) 제품 ‘코카-콜라 재생 보틀’을 기존 코카-콜라와 코카-콜라 제로 1.25L 제품에 적용해 선보였다.
'코카콜라 재생 보틀'은 투명 음료 페트병을 재활용한 재생원료를 사용해 만든 재생 페트 제품이다. 치킨과 피자 등 배달음식과 함께 제공되는 업소 전용 제품으로 선보인다.
재생 페트병은 국내에서 분리배출된 투명 페트병을 환경부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세척과 분쇄, 열을 가열해 액체 상태로 녹이는 물리적 가공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식품용기 제조 사용을 허가받았다.
패키지 경량화를 통해 기존 41g의 패키지 무게를 36g로 낮춰 제품 1병 당 사용되는 신생 플라스틱 양을 기존 대비 21% 줄였다.
그동안 버려지던 음식물과 패키지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 기업도 눈에 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한국환경공단, 인천서구지역자활센터와 손잡고 인천시 서구 소재 한국환경공단 본사 내 ‘카페 지구별’을 개점했다. ‘카페 지구별’은 스타벅스가 민·관 협력으로 운영하는 국내 최초 커피찌꺼기 재활용 시범 매장이다.
매장 내부 인테리어도 스타벅스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해 꾸몄다. 테이블, 전등갓, 아트월, 화분, 쟁반 등에 커피찌꺼기 56.73㎏(커피 3782잔 분량)을 사용했다. ‘카페 지구별’에서 배출되는 커피찌꺼기는 전량 회수되어 재활용될 예정이며 탄소 저감을 위해 일회용 컵 없는 매장으로 운영된다.
음식 부산물을 제품으로 활용하는 기업도 주목받고 있다.
CJ제일제당은 ‘푸드 업사이클링’ 제품인 ‘익사이클(Excycle) 바삭칩’을 편의점에서도 판매하기 시작했다. ‘익사이클 바삭칩’은 CJ제일제당 식품 사내벤처 프로그램 ‘이노백(INNO 100)’을 통해 발굴한 ESG경영 관점의 고단백 영양 스낵이다. 이 제품은 깨진 조각쌀과 콩 비지 등 식품 부산물을 30%가량 함유하고 있다.
한 봉지에 계란 한 개 분량의 단백질과 바나나 두 개 분량의 식이섬유를 채웠다. 포장재는 쓰고 버린 페트병을 재활용해 친환경적 가치도 높였다.
잘 썩지 않는 플라스틱 대신 다회용 용기를 도입한 곳도 있다.
본도시락은 환경의 날을 맞아 단계별 플라스틱 감축 전략을 발표했다. 오는 7월 신메뉴 출시 시점부터 덮밥과 샐러드 용기를 기존 종이에서, 펄프 소재로 전국 가맹점이 순차 교체할 계획이다.
올해 8월 말까지는 삼성직영점에서 덮밥·샐러드류 주문 시 제공하는 다회용기 시범 운영을 거친다. 이후 점차 다회용기 가맹점을 늘려 나간다는 방침이다. 올 하반기에는 기존 포장 김을 플라스틱 트레이 없앤 김으로 대체한다.
2025년에는 배달·포장 비닐과 수저 패키지를, 2026년에는 밥·국 용기 등을 친환경 소재로 각각 변경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