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리포트]2019 타이베이국제식품전 성료

타이베이국제식품전’, 한국 식품기업 49개사 참여 농식품 수출
K-푸드 영토 확장 아직 갈 길 멀어

지난달 19일부터 22일까지 개최된 ‘타이베이국제식품전’은 높아진 한국 식품 인지도를 체감하는 자리였다.

 

‘타이베이국제식품전’(이하 대만 식품전)은 올해로 30회째를 맞았으며 타이베이 국제무역센터(TWTC), TaiNEX 제1전시장에서 열렸다.

 

 

이 전시회는 식품가공설비·바이오/제약기계전, 포장공업전, 호텔식료설비용품전, 할랄제품전이 동시에 열리는 5 in 1 행사로 식품 관련 기계설비 전시회는 TaiNEX 제2전시장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5개 전시회를 합친 참가기업 수는 1757개로, 이중 식품 전에만 1052개사가 참가했다. 나라별로는 38개 국가의 기업이 참가(5개 전시회 합산 기준)한 가운데 개별 국가관도 다수 개설됐다.

 

한식 저변 넓히기 위해 총 49개사 참여

국가관 중에는 기업 수 기준으로 일본관이 140개사로 최대 규모를 선보였으며, 대만관은 117개사였다.

 

한국관은 4위로 49개사가 참가해 가공식품, 간편식, 농수산물, 조미료,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을 선보였다.

 

개별 참가기업 가운데 최대 전시 규모를 자랑한 테코 그룹은 그룹 내 외식 프랜차이즈 계열사를 비롯해 한국 오뚜기를 포함한 외국 인기식품업체와 공동으로 대형 테마관을 꾸려 눈길을 끌었다.

 

한국관에 참여한 기업은 100년 이상된 마산 소재 간장 제조사 ‘몽고식품’, 밤뜨래 영농조합법인, 들깨 기름을 생산하는 코메가, 화인에프티, 코파 등이 있었다.

 

 

참여한 국내 기업의 분위기를 전하면 몽고식품의 경우 성분 문제로 잠깐 거래가 중단됐다가 신제품을 출시하며 홍보자 처음으로 대만 식품 전에 참여했다.

 

밤뜨래 영농조합법인은 충남 부여에서 재배한 밤을 연간 2만 톤 정도 생산하는 곳이다. 대만에도 수출하고 있지만 판매량이 낮아 제품을 알리고자 참가했다.

 

들깨기름을 생산하는 코메가의 경우 10년째 대만 식품 전에 참여해 제품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아직 대만에서는 생소한 제품이나 중화권 시장으로 요리에 기름이 많이 사용되는 만큼 기회가 있을 것이라 판단해 매년 오고 있다. 외에도 한류를 계기로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발판 삼아 시장 개척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제품을 알리고자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했다.

 

한류로 한국음식 관심 커졌으나 아직 갈 길 멀어

대만 내 한류가 연예인들이 주도하는 문화콘텐츠뿐만 아니라 농식품 분야로 확산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나 아직은 부족하다.

 

일본에 비하면 참가 기업수가 절반도 채 되지 못하고 다른 국가관에 비해 한국관 참관객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참관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과 충분한 마케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의 대만 식품 수출액(농/수/축산물, 조제 식료품, 음료 포함)은 연간 2억4천만 달러를 상회한다. 2018년 기준 품목별 수출 비중은 조제 식료품(42.9%, 1억 344만 달러), 농산물(33.9%, 8168만 달러), 수산물(19.9%, 4787만 달러) 순이었다.

 

2019년 1~5월 실적은 966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6.2% 감소. 품목별로 농산물(3522만 달러/전년 동기대비 +13.6%), 축산물(143만 달러/+4.4%), 음료(188만 달러/+12.2%) 수출은 증가, 수산물(2029만 달러/-19.7%), 조제 식료품(3788만 달러/-19.7%)은 감소했다.

 

한류 문화콘텐츠(영화, 드라마, 요리 예능 프로그램), 관광을 통해 대만인들이 한국 음식과 식문화를 접할 기회가 증가하며 점차 인지도가 올라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식문화의 차이가 있으므로 현지 바이어·소비자로부터 반응을 이끌어 내려면 성분, 조리법, 응용 레시피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성북구-카카오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업무협약 체결
서울 성북구가 7월 3일 성북구청에서 ㈜카카오,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승로 성북구청장, 권대열 ㈜카카오 CA 협의체 ESG 위원장, 김용덕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 이사장, 이정욱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지역본부장, 장위전통시장과 정릉시장, 정릉서경대길 골목형상점가, 월곡달빛오거리 골목형상점가, 성북동길 로컬브랜드 육성상권 상인회장 등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들은 전통시장과 골목형상점가의 디지털 활성화와 지역상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은 ㈜카카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 등이 공동으로 2025년부터 추진하는 신규 지역상생형 사업이다. 서울시 자치구 중에서는 성북구가 유일하게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본 사업의 대상지는 장위전통시장, 정릉시장, 정릉서경대길 골목형상점가, 월곡달빛오거리 골목형상점가, 성북동길 로컬브랜드 육성상권 내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점포이며, 2025년 7월부터 하반기 내 운영될 예정이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