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푸드스토리]80년대부터 시작한 일본의 매운맛 유행 계보

일본인들은 매운맛을 즐기지 않을 거란 이미지가 있었다.

하지만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매운맛 식품에 대한 수요는 80년대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해왔다.

 

 

현재는 얼얼한 매운맛을 중심으로 ‘4차 매운맛 유행’이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일본 식품시장에서 매운 맛에 대한 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86년부터 시작한 일본의 매운맛 유행

일본에서 매운맛이 유행하던 시기를 정리해보면 1차 유행은 1986년부터 시작됐다. 이후 시대에 따라 매운맛 유행 및 상품 트렌드가 바뀌어가며 30년 이상 이어지고 있다.

 

1차 매운맛 유행(1985년 전후)

 

1980년대 중반 일본은 거품경제로 일손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었다. 회사 면접이나 사내 면담 시 “24시간 근무 가능하세요?”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였다. 당시는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를 가득 안고 노동 시간에 상관없이 일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던 시대였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대중들이 스트레스 해소 방법으로 자극적인 식품을 찾은 것이 매운맛 유행의 시작이었다. 1986년 일본에서는 아주 매운 맛을 의미하는 ‘게키카라(激辛)’가 ‘올해의 유행어’로 선정되어 큰 화제를 모았다. 고추 및 여러 향신료를 사용한 감자 칩 ‘카라무쵸’를 시작으로 각 식품업체는 매운맛 과자를 잇달아 출시했다.

 

2차 매운맛 유행(1993~1999년)

 

 

1990년대 일본에서는 도쿄를 중심으로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음식점이 증가하며 에스닉 푸드가 큰 관심을 모았다. 동남아시아 음식은 친숙하진 않았으나, 채소가 듬뿍 들어가 건강식으로 주목을 받았다. 말레이시아의 나시고렝, 미고렝 등 강한 향신료 향과 처음 느껴보는 식감의 에스닉 푸드를 많은 일본인들이 즐겼다.

 

3차 매운맛 유행(2003~2010년)

 

2000년대 초반은 2차 베이비붐 세대(1971~74년 출생)가 사회에서 활동하던 시기였다. 닷컴 버블 붕괴와 금융위기에 따른 불경기가 지속되던 상황이었다. 이때 세계에서 제일 매운 고추로 알려진 하바네로가 일본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2003년 하바네로로 만든 스낵인 ‘폭군 하바네로’가 출시되었으며, 라면 전문점 ‘모코 탄멘 나카모토’의 매운 라면 판매가 늘어나는 등 강한 매운맛 식품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 ‘모코 탄멘 나카모토’는 매운 라면 전문점으로 매운 강도가 10단계까지 있다. 우리나라의 신라면도 이 시기에 일본 수출을 시작했다.

 

 

4차 매운맛 유행(2018년~현재)

 

최근에는 단순한 매운맛보다 ‘얼얼한 매운맛’을 내는 산초, 카레, 후추, 유자후추(유자와 풋고추를 함께 갈아 숙성시킨 소스) 등의 향신료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건조·분말 향신료보다 향과 맛이 강한 생향신료 수요가 높다.

 

 

오사카에 거주하는 젊은 학생들 사이에선 향신료를 조합해 자신만의 카레를 만드는 ‘스파이스 카레’ 모임이 인기다. 주말마다 모여 서로의 카레를 평가하고 지인들을 초청해 1일 매장을 열기도 한다.

 

또한, 중국의 마라탕처럼 얼얼한 매운맛을 좋아하는 ‘마활(マー活)’이라는 유행도 있다. 인스타그램에 '마활(マー活)'을 검색하면 해시태그된 수많은 매운 음식 사진과 영상을 볼 수 있다.

 

일본인이 좋아하는 한국의 매운 맛

 

 

핫페퍼구르메 외식종합연구소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일본인이 좋아하는 매운 요리로는 1위 카레에 이어 2위 마파두부, 3위 탄탄면 순으로 나타났다.

 

한식 요리인 김치전골(4위), 김치돼지볶음(6위), 순두부찌개(9위)도 TOP 10안에 들었다. ‘언제 매운 음식을 먹고 싶습니까?’라는 질문에는 ‘자극이 필요할 때’, ‘식욕이 없을 때’ ‘기운을 내고 싶을 때’라고 응답했다.

 

 

핫페퍼구르메의 조사에 의하면 매운 요리를 통해 새로운 자극과 스트레스 해소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매운맛에 대한 취향도 세분화되어 고추뿐만 아니라 산초, 카레,  유자후추 등 개인의 취향에 맞는 향신료를 선택한다.

 

 

매운맛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향신료 시장도 확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향신료인 고추의 시장 규모는 약 47억 엔(약 528억 원)으로 5년 전과 비교해서 4% 확대됐다. 고추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수입산도 매년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다.

 

자료출처 : kati 농식품수출정보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양시 ‘K-푸드’ 김의 뿌리, 인류 최초 김 양식지 ‘광양김시식지’로 초대합니다
광양시가 인류 최초 김 양식의 현장이자 김 수출 10억 달러 시대를 연 주역인 세계 유일의 ‘광양김시식지’를 꼭 방문해 봐야 할 광양의 역사·문화 명소로 소개했다. 최근 K-콘텐츠와 K-푸드 등 한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의 뿌리를 간직한 역사적 현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곳은 400년 김 산업의 역사가 시작된 상징적 공간으로,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고안해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한 김여익 공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됐다. 김여익은 병자호란 당시 의병으로 활약했으나,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자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했다. 그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모습에서 착안해,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의 특징을 활용한 ‘섶꽂이 양식법’을 인류 최초로 창안·보급했다. 수라상에 오른 김의 맛에 감탄한 인조 임금이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을 듣고, 그의 성을 따서 ‘김’이라 부르게 됐다는 흥미로운 유래도 전해진다. 후손들은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제향을 올리며 김여익의 업적을 기리고,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 전통도 300여 년째 이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