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테크와 맞춤형 식품'의 미래, 제34회 농림식품산업 미래성장포럼 개최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이하 '농기평') 주관하는 '제34회 농림식품산업 미래성장포럼'이 '푸드테크와 맞춤형 식품를 주제로 15일에 열렸다.

 

이번 포럼은 유튜브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됐으며, 사전 참가 접수를 통한 현장 참여도 활발히 진행됐다. 특히 현장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적극적인 질의와 답변이 이뤄졌다. 전문가의 발표는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됐으며, 발표 내용과 현장 참여자 및 온라인 시청자의 질의를 기반으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발표를 진행한 한국식품연구원 박재호 단장은 "개인맞춤형 식품 관련 분야에 급격한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며 "빅데이터, AI 등 4차산업 혁명 시대에 걸맞는 국제적인 네트워크와 대응체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또 메디쏠라 이돈구 대표는 개인별 정밀영양, 맞춤영양으로의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개인의 질환정보, 영양소, 식품 성분 등의 데이터 기반 맞춤형 메디푸드를 생산하고, 이와 함께 지속적인 식사관리 플랫폼을 통한 4세대형 메디푸드 공급체계 형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기평 노수현 원장은 "이번 포럼은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한 만큼 열린 논의의 장이 됐기를 바란다"며 "미래성장포럼이 개인맞춤형 식품과 푸드테크의 발전의 초석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식품오늘] RTD 보리차도 '무라벨'이 대세!
생수시장에서 시작된 ‘무(無)라벨’ 바람이 음료업계 전체로 퍼지고 있다. 최근 MZ세대에게 환경을 생각하는 가치소비 실천이 화두인데다 2020년 12월부터 전면 시행된 투명페트병∙폐비닐 별도 분리배출제도로 페트병 분리배출이 편리한 무라벨 제품이 선호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한상공회의소가 MZ세대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1.1%가 무라벨 페트병을 지구에 영향을 가장 덜 끼치는 품목(친환경)이라고 꼽았다. 이 같은 무라벨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음료업체에서는 라벨 없는 제품군을 늘려가고 있다. 특히 물 대용으로 소비가 높은 RTD차음료에서 무라벨 선호 트렌드가 뚜렷해지자 관련 브랜드들은 상표띠 없애기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하이트진로음료는 지난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라벨을 제거한 무라벨 검정보리 차음료 ‘블랙보리’를 선보였다. 무라벨 블랙보리는 520mL, 1.5L 제품으로 페트병 몸체에 라벨을 없애 비닐 사용량을 줄이고, 분리배출 편의성과 재활용 용이성을 높였다. 라벨을 없앤 대신 제품 필수 정보는 묶음 포장 측면에 기재했다. 하이트진로음료는 생수 대용으로 가정 소비가 많은 블랙보리도 환경 친화적인 소비가 가능하도록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한가위는 하동에서 茶와 함께‘치유 여행 茶소풍’
1200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우리나라 차(茶) 시배지이자 세계중요농업유산인 하동 화개면 일원에는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아름다운 다원길이 조성돼 있다. 아름다운 야생차밭을 걸으며 차 생산 농가와 다원의 연계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천년다향길’은 두 개의 코스로 준비돼 있어 가족․친구․연인 등과 부담 없이 걸을 수 있다. 제1코스는 차시배지∼쌍계초등학교∼목압마을∼조태연가∼모암마을∼만수제다 전통차밭∼관아다원 전통차밭, 제2코스는 정금마을 차밭∼도심마을∼신촌마을∼혜림농원∼차시배지 각각 4㎞로 1시간 가량 소요된다. 코스를 걷다보면 야외 찻자리, 벤치 등 편의 시설이 조성돼 있어 야생차밭을 배경으로 야외 찻자리를 즐길 수 있어 하동에서만 즐길 수 있는 눈과 입이 즐거운 경험을 선사한다. 또한 걷기 여행과 결합해 아름다운 차밭 18개소를 선정해 스마트태그(QR)를 설치했으며 휴대폰으로 QR코드를 찍으면 차밭 소개, 다원, 다실 안내와 차 판매기능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화개면 운수리 664에 위치한 하동야생차박물관에서는 추석 당일을 제외한 연휴 기간 세계차 체험, 윷놀이, 투호놀이, 야외 찻자리 등 차와 함께 힐링 공간을 마련한다. 차는 사람과 사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