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FC연구기구 리포트5탄] 서울3대 냉면브랜드 <유천냉면>

지난 10월 5일~8일, 나흘간 일본의 프랜차이즈 연구기구단이 해외 진출 유망 외식기업 발굴을 위해 한국을 찾았다.  한·일 외식컨설팅전문기업 (주)알지엠컨설팅은 FC 연구기구단(유키 야마오카 회장, 토시타다 타카하시 부회장, ㈜푸드페스타 송기보 대표)과 함께 선정한 외식 브랜드 탐방을 진행했다. 

 

마포나루, 바우네나주곰탕, 신의주찹쌀순대, 유천냉면, 직구삼, 강릉초당짬뽕순두부 총 6개 브랜드 관계자들과 미팅을 가졌으며, 점포를 찾아 인테리어, 서비스, 매뉴얼, 메뉴 등을 분석해 일본 진출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한 후 브랜드별 리포트를 제공했다. 

 

[Report(5). 서울 3대냉면 ‘유천냉면’]

 

 

브랜드 개요

 

 

1982년 서울 풍납동에서 창업해 40년간 영업을 이어오며 지역 3대 냉면브랜드로 자리잡았다.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식감의 칡냉면으로 살얼음 육수에 물·비빔 각각 다른 양념장이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냉면 외에도 들기름 메밀면, 소고기 수육, 부추전, 만두(고기, 김치) 등 다양한 한식 메뉴를 선보인다. 2020년 한국 정부기관인 중소벤처기업부의 백년가게 인증을 받았다. 

 

방문 후 브랜드평가

 

 

매장 입구쪽에 배치된 창업 당시 사진이나 연표 등을 통해 브랜드의 스토리와 철학이 느껴졌다. 어머니인 우화자 창업자의 뒤를 이어 현장을 지키며 전통을 이어가는 최도현 대표의 모습이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냉면전문점으로 높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 여름에는 하루종일 매장 앞을 손님이 기다릴 정도로 성업 중이다.

 

 

메뉴의 차림새, 맛의 전체적인 완성도가 높아서 오감을 만족시켰다. 특히 냉면의 경우 보기에도 큼지막하고 두툼한 배 조각이 올라가 있어서 고객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 판단했다. 들기름메미면은고소한 들기름의 향과 쫄깃한 면발, 아삭한 식감의 궁채나물이 어우러져 풍성한 느낌을 줬다. 

 

일본 전개 가능성

여름철 면류로 일본에서는 예전부터 소바나 소면에 더해 냉중화나 중화채반 같은 중화계 냉면이 일반화되어 있다. 한국식 냉면은 단품 업태보다 불고기가게의 사이드 메뉴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은 메뉴이다. 또 현지 면류 식품으로는 후지미야 야키소바, 요코테야키 소바, 미토시 등이 있으며 냉면으로는 '모리오카 냉면'이 있다.

 

모리오카 냉면은 한국식 냉면이 원조지만 면은 소바가루 대신 밀가루를 사용한 흰 면이고, 식기나 젓가락은 한국식  금속제가 아닌 일본 도자기나 나무젓가락을 사용해 제공한다. 모리오카 냉면은 모리오카 시내에 있는 한 가게로부터 탄생했으나 현재는 현지 맛집으로서 사랑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지명도를 확립했다.

 

 

모리오카 냉면의 경우 냉면의 특별한 장점으로 ‘커다란 배’ 토핑에 초점을 맞춰 배의 생산지로 유명한 돗토리현(또는 돗토리현의 기업)과 협업해 현지냉면 B급 맛집으로 브랜드화 하는 방향성을 생각했다. 돗토리현은 쇼와시기 유통한 ’20세기’ 배 브랜드를 품종개량해 현재 ‘신칸센’ 브랜드의 보급에 힘을 쏟고 있다

 

유천냉면이 일본에 사업 진출할 경우 음식점포를 전개하는 방법과 상품 수출(유천냉면 제조의 레토르트 상품)을 생각할 수 있다. 언제라도 유천냉면의 Yucheon 브랜드를 사용할 경우 일본에 이미 유사 상표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호칭이 아닌 마크로 상표를 등록하는 선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일본에서의 상표등록에 관해서는 전문 변리사에 조사 및 등록을 의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상표를 사용한 점포는 긴자 음식빌딩의 11층에 위채, 냉면 전문점이라기보다는 한식당, 또는 한국 야키니쿠 업태라고 할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거창군 김정오 땅강아지 사과밭 대표, 30년 노하우 담긴 사과 품질향상 기술 특허등록
거창군은 30년 경력 사과 농업인이 자체 개발한 기술로 특허를 획득하며, 지역 과수산업에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고 밝혔다. ‘땅강아지 사과밭’의 김정오 대표는 1990년부터 사과농사를 시작해 36년째 현장을 지키고 있는 장인 농업인으로, 사과 명인, 사과 마이스터, 사과 신지식인 등 정부에서 수여하는 인증 3개를 모두 취득하며 ‘사과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거창의 대표 장인 농업인이다. 최근에는 사과의 당도와 착색을 향상시키는 시비기술을 개발해 특허등록(특허 제10-2799786호)까지 성공하며, 기술기반 농업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해당 기술은 생육 단계별 수세 진단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시비 체계로, 비료 성분의 시기별 조절을 통해 착색불량과 당도 편차 문제를 해결한 것이 특징이다. 현장 적용 결과 사과 평균 당도는 1.5브릭스 이상 상승하고 착색율은 20% 이상 개선되는 등 뚜렷한 품질향상 효과가 입증됐다. 현재 농장규모는 과거보다 줄었지만, 김 대표는 고품질 소량생산체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후배 농업인들에게 아낌없이 전수하고 있다. 현장실습, 품질 진단 멘토링, 수형 개선 교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후진 양성에도 열정을 쏟고 있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