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식품전시회 아누가 2023, 세계 1위 식품전시회 면모 입증하다

해외비중 94% 118개국 7,900개사 참가, 역대 최대 규모와 사상 최고 국제성
해외비중 80% 200개국 14만명의 무역 방문객 – 까르푸, 아마존, 코스트코, 쿠프 등

아누가 2023, 식품 업계에 한 획을 긋다

 

국제 식품전시회 아누가(angua) 2023이 지난 10월 11일 기록적인 성과로 막을 내렸다. 해외 비중 94%에 달하는 118개국 7,900개 참가사로, 역대 최다 참가사와 사상 최고의 국제성을 선보였다. 9만 평의 전시장을 넘어, 복도까지 참가사로 가득했다. 기라성 같은 리딩 기업부터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스타트업까지, 세계 식품 산업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기업은 전부 모였다.

 

한국에서만 1,200명 이상 방문, 많이 방문한 국가 중 하나로 손꼽혀

2025년 더욱 주목해야 할 식품산업의 지속가능성

 

아누가 2023은 전 세계 식품 제조업과 유통업이 한곳에 모이는 구심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올해 200개국 약 14만 명 해외 비중 80%의 유통 및 무역 관계자가 방문했다. 까르푸, 레베, 리들, 매트로, 메르카도나, 미그로스, 아마존, 알디, 코스트코, 쿠프, AEON 등 세계 각지의 대형 유통업계 관계자가 전부 방문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 단위 시대’에 퍼스트무버(first mover)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해외 시장 트렌드 파악은 필수다. 한국은 아누가 2023에 가장 많이 방문한 국가 중 하나로 손꼽혔다. BGF 리테일, GS 리테일, 신세계 백화점, 이마트, 코스트코 코리아, 쿠팡, 현대 그린푸드 등 대형 유통사를 비롯하여 약 1, 200명의 유통업계 관계자가 방문했다.

 

한국, 세계 시장에 제대로 나서다

 

국내 참가사의 존재감은 상당했다. 한국은 남양유업, 동원그룹, 롯데 칠성, 수협 중앙회, 오뚜기, SPC 삼립 등 국내 식품업계를 이끄는 굵직한 기업들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한국관, 충북·충남 공동관을 포함하여 100개에 달하는 기업이 활발한 마케팅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했다. SPC 삼립의 ‘케이스 약과’와 샘표의 ‘완두간장’은 아누가 혁신상에 선정돼 K-Food의 저력을 보였다.

 

케이팝 열풍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최고점에 이르렀다. 전시장 곳곳에서 한국의 라면, 과자, 음료를 앞세운 해외 유통사의 참가도 적지 않았다. 아누가 2023은 “Korea”를 강조한 마케팅 전략의 승산을 보여줬다. 혁신상을 받은 SPC 삼립은 현대식으로 해석된 국악과 한국의 전통문화가 담긴 미디어 아트, 거대한 약과 모형을 전시해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식품 유통 스타트업 루에랑은 한국어를 사용한 그래픽 이미지로 글로벌 바이어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아누가 2025,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가?

 

아누가 2023은 식물성 대체식품과 미래 먹거리 확보에 전 세계가 뛰어들었음을 보여줬다. 전 지구적 과제로 대두된 ‘지속 가능성’은 식품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2025년 개최될 차기 아누가는 보다 혁신적이고 새로운 관점으로 해석된 ‘식품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제시할 전망이다.

 

한국은 빠른 속도로 환경과 건강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대체당 시장이 물꼬를 튼 내수시장 각축전으로 인해, 한국은 제로 슈가 분야에서 우수한 제품력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와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기반한 국내 제품의 경쟁력은 아누가 2025에서 한국의 입지를 기대케 한다.

 세계 최대 국제 식품전시회 아누가 2025 참가는 라인메쎄 (02-798-4102, shyu@rmesse.co.kr)에 문의할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보는 즐거움, 먹는 재미 가득!…중구 대표 볼거리·맛거리 ‘9경 9맛’ 선정
울산 중구가 지역 대표 볼거리·맛거리 ‘9경 9맛’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9경’은 △태화강국가정원과 태화루 △달을 품은 함월루 △학성공원의 벚꽃과 동백 △입화산 자연휴양림 △울산동헌과 문화의거리 △태화연 △경상좌도 병영성과 외솔 최현배길 △황방산 맨발황톳길 △성안동 달빛누리길 야경이다. ‘9맛’은 △태화강국가정원 먹거리단지 △중앙전통시장 곰장어·통닭거리 △달빛누리길 카페거리 △병영막창특화거리 △문화의거리 커피골목 △울산큰애기 청년야시장 △장현동음식거리 △혁신도시 명품음식거리 △원유곡 맛집거리다. 중구는 앞서 지난 8월 16일부터 9월 27일까지 주민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9경 9맛’후보지 추천을 받았다. 그 결과 ‘9경’은 37건, ‘9맛’은 66건이 접수됐다. 중구는 10월 말 중구 관광진흥위원회 및 중구 위생업소 육성위원회를 열고 1차 심사를 진행해 ‘9경’은 19개, ‘9맛’은 15개로 후보지를 압축했다. 이어서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주민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조사에는 주민 2,450명이 참여했다. 중구는 1차 심사 결과와 주민 선호도 조사 결과를 종합해 순위를 매긴 뒤, 구정조정위원회의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