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엿보기] 동네빵집의 달콤한 반란, 업계 다크호스로 등극

대형 프랜차이즈 베이커리가 ‘절대 강자’였던 제과점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유명 베이커리 프랜차이즈로 인해 자취를 감췄던 골목마다 하나씩 있던 동네빵집이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하게 성장하며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해 발표한 ‘2018 가공식품 세분 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제과점업 시장에서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차지하던 비중은 2013년 71.4%에서 2016년 60.7%로 10.7%p 감소한 반면, 비프랜차이즈 브랜드는 같은 기간 28.6%에서 39.3%로 10.7%p 늘었다.

 

비프랜차이즈 베이커리의 성장 배경으로는 빵이 간식은 물론, 식사 대용식으로도 자리잡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국민 1인당 연간 빵 소비량이 90개에 달할 정도로 빵을 밥처럼 소비하는 ‘빵식’ 문화가 퍼지며, 자연스레 프랜차이즈 브랜드와는 다른 독특한 개성을 자랑하는 비프랜차이즈 베이커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라졌던 동네빵집들, 제품에 대한 철학 담은 창의적인 빵으로 인기몰이

골목 곳곳에서 낯선 이름의 동네빵집이 각종 SNS 상에서 ‘죽기 전에 먹어야 할 빵’으로 유명세를 타며 주목받고 있다.

탄탄한 지역 기반의 지역 명물 빵집, 본고장의 맛을 선보이는 해외 베이커리 브랜드, 제빵사 개인의 명성을 앞세운 유명 제과점 등이 비프랜차이즈 베이커리의 대표적인 유형이다.

‘대구근대골목단팥빵’은 옛날식 단팥빵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현한 모단단팥빵과 젊은 세대를 겨냥한 생크림 단팥빵 등으로 인기몰이 중인 대구 명물 빵집이다.

매일 직접 팥을 끓여 만든 신선한 팥소에서 느껴지는 은은한 단맛과 단팥빵 속을 가득 채운 팥 알갱이 및 호두의 뛰어난 식감 등이 인기 요인이다.

대구근대골목단팥빵은 ‘대구를 대표하는 먹거리 관광상품 개발’을 목표로 2015년 3월 대구 남성로에 1호점을 개점했으며, 입소문을 타고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대구 3대 빵집’에 이름을 올렸다.

대구근대골목단팥빵을 운영 중인 정성휘 홍두당 대표는 “이색 빵집을 찾아 전국으로 발품을 파는 ‘빵지순례족’ 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로부터도 비프랜차이즈 베이커리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면서, “프랜차이즈 브랜드와는 다른 특별함이 비프랜차이즈 베이커리의 강점인 만큼, 꾸준하게 차별화된 맛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옵스베이커리’는 부산을 대표하는 명물 빵집이다.

1989년 남천동의 작은 동네 빵집으로 시작한 옵스베이커리는 오래 전 가게 옆에 생긴 대형 프랜차이즈와 승부를 벌여 꿋꿋이 살아남았다는 무용담까지 넘기며 지역 대표 베이커리로 성장했다.

현재는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등 전국 각지에 총 12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대표 메뉴는 빅사이즈 슈크림빵과 ‘학원전’이라는 이름의 진한 카스텔라빵이다.

슈크림빵은 일반 빵집에서 파는 슈크림빵 2~3개를 합쳐놓은 듯한 거대한 사이즈가 특징으로, 고소하게 구워낸 슈 안에 최상급 바닐라빈을 사용한 부드러운 바닐라 커스터드 크림을 듬뿍 넣어 만든다.

‘학원전’은 아이들이 학원 가기 전에 먹는 빵이라는 뜻으로, 계란과 경주산 토함꿀을 넣어 깊은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이 돋보인다.

 

‘타르틴 베이커리’는 지난해 1월 서울 한남동에 1호점을 오픈한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명물 베이커리 브랜드로 허핑턴포스트는 ‘죽기 전에 꼭 먹어봐야 할 25가지 음식’ 중 하나로 선정했으며, 뉴욕타임스가 ‘세계 최고의 빵’이라 극찬하기도 한 곳이다.

 

지난해 4월과 12월에는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서울 마포구 라이즈 호텔과 도곡동 타워팰리스 지하 SSG프리미엄 푸드마켓에 각각 2호점과 3호점을 개점했다.

오리지널 샌프란시스코식 빵을 현지 맛 그대로 느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시큼한 산미가 느껴지는 천연 발효 반죽 '사워도'로 만든 ‘컨트리 브레드’가 대표 메뉴다.

 

컨트리 브레드는 유럽 농가의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사빵으로, 이름처럼 외양은 투박하지만 빵 안쪽은 부드럽고 촉촉하다. 발효빵 특유의 시큼한 맛과 쫀득한 식감은 한국의 술빵과도 비슷하다.

 

‘김영모과자점’은 한국 베이커리 시장의 살아 있는 전설이자 대부로 칭송 받는 ‘명장’ 김영모 대표가 운영하는 제과점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총 8개 매장을 운영하며 성공한 동네빵집의 대표주자로 꼽히고 있다.

 

1982년 문을 연 이래 맛에 대한 꾸준한 혁신을 시도한 것이 인기 비결이다. 요즘은 어느 빵집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는 '천연 발효 빵'이나 '유기농 밀가루'를 국내에서 가장 먼저 선보인 것이 대표적인 예다. 자메이카 럼 바탕의 시럽을 사용해 개발한 몽블랑은 국내 소비자는 물론, 베이커리 선진국인 프랑스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보성군 ‘제로슈가 보성말차’, ‘2024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서울푸드어워즈’ 수상
보성군은 킨텍스에서 열린 ‘2024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서울푸드어워즈’에 참여한 마녀의부엌의 ‘제로슈가 보성말차’ 제품이 기호식품 부문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올해 42회를 맞은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서울푸드어워즈’는 코트라(KOTRA)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식품산업전시회로 식품업계의 트렌드에 부합하는 국내외 우수한 상품을 발굴해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선정 부문은 ▲힐링, ▲이노베이션, ▲푸드테크, ▲기호식품 총 4개로 나뉘며, 각 부문의 우수한 제품은 전문 자문단의 4단계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이날 특유의 맛과 향으로 ‘기호식품’ 부문에 이름을 올린 마녀의부엌 ‘제로슈가 보성말차’는 2023년 보성차생산자조합과 마녀의부엌이 업무협약(MOU)을 통해 출시한 제품이다. 특히, 대체당인 에리스리톨과 스테비아로 단맛을 내 당 함량 0g과 국내산 유기농 보성 말차 원료를 사용해 26kcal의 저칼로리를 자랑하며, 당과 칼로리에 민감한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이번 선정으로 인해 마녀의부엌 ‘제로슈가 보성말차’는 홍보 기회와 함께 인증서와 인증 로고를 제공받고 국내 바이어 상담을 지원받는 등 비즈니스 판로를 확대할 수 있는 다방면의 혜택이 주어진다. 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지금 일본은] 도쿄 스카이트리 타운에서 ‘여름방학 이벤트 2024’ 개최
도쿄관광한국사무소는 여름 방학 기간 도쿄 스카이트리 타운에서 개최되는 이벤트 ‘도쿄 스카이트리 타운 여름방학 이벤트 2024(東京スカイツリータウン® 夏休みイベント2024)’를 소개했다. 도쿄스카이트리의 절경과 함께 여름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일본의 마츠리 기분을 즐길 수 있는 이번 이벤트는 어린이 동반 가족부터 커플까지 폭넓은 세대로부터 호평받아 왔다. 올해도 부모와 자녀가 함께 자연스럽게 교감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들이 개최될 예정이다. 타워 아래의 잔디밭에서 즐기는 ‘비어 가든’ 매년 호평을 받고 있는 ‘도쿄 스카이트리 타운 비어 페스타 2024(東京スカイツリータウン®BeerFesta 2024)’는 도쿄 스카이트리 타운 4층 스카이 아레나에서 6월 14일부터 개최 중에 있다. 올해는 ‘타워의 아래에서 즐기는 잔디밭의 BBQ 파크’를 콘셉트로 맥주와 바비큐를 맛보며 잔디밭 위에서 즐겁게 노는 공간을 제공한다. 7가지 생맥주를 비롯해 칵테일과 다양한 음료, 고기 메뉴와 술안주, 천연 얼음으로 만든 빙수 등 다양한 메뉴로 운영한다. 또한 가든 체어와 피크닉 공간, 어린이용 장난감 등을 마련하는 등 방문객들이 쾌적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