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카본 네거티브 양조장 ‘브루도그, 탈탄소 프로젝트 발표

영국의 친환경 맥주기업 ‘브루도그’가 2023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35% 줄이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브루도그는 이산화탄소 배출량보다 흡수량을 늘리는 ‘카본 네거티브(Carbon Negative)’을 추진해왔다.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맥주를 만드는 미션에서 한 단계 나아가, 친환경 경영이라는 도전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2019년 브루도그는 맛있는 맥주를 계속 마시기 위한 지속가능 생태계 구축에 주목해 지구환경을 지키는 ‘BrewDog Tomorrow’라는 방안을 수립했다. 계획에 따라 2020년 세계 최초 카본 네거티브 양조장으로 전환에 성공했다.

 

 

이번에 발표한 탈탄소 프로젝트는 2023년까지 맥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9년 대비 35% 삭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맥주가 생산되고 고객에게 전달되는 운송까지 전 영역에 거쳐 온실가스를 관리해 나간다.

 

또한, 브루도그는 중장기적으로 카본 네거티브를 유지하기 위해 스코틀랜드의 남서부 지역의 토지를 매입해 광대한 숲으로 바꾸는 계획을 세웠다.

 

 

수년 동안 100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어 1500에이커(약 600만㎡)를 활엽관목 숲으로 바꾸어 나간다. 500에이커(약 200만㎡)는 이산화탄소 삭감에 효과적인 이탄지로 복원할 예정이다.

 

위 과정을 통해 감축되는 이산화탄소량은 30만 톤으로 예측되며, 이는 맥주 사업에 의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총량의 2배에 해당한다. 숲 조성 시 생물다양성 보전을 고려한 지속가능 캠핑장을 개설해 지역 경제발전에도 공헌해 나갈 계획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투명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 출시된다
생수용기 등 투명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가 출시된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투명페트병 재생원료의 수요 확대를 위해 식음료 제조업체 등과 함께 ‘올해 상반기 내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제품 출시’를 선언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투명폐트병 재생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가 나온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지난 23일 오후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 코카․콜라, 산수음료, 매일유업, 알엠, 에이치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대표들과 함께 ‘투명페트병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 이날 협약에 참여하는 한국 코카콜라, 산수음료, 매일유업, 한국수자원공사 등 4개 식음료 제조업체는 올해 상반기 내로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비율이 10%인 투명페트병 식음료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출시 이후 재생원료 사용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 및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페트병 재생원료의 사용 비율과 적용 품목을 늘릴 예정이다. 그간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투명페트병 재생원료가 식품용기용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업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식음료 제조업계와 협의를 거쳐 보다 많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동대문구, 커피박(커피찌꺼기) 자원화 사업 시동!
동대문구가 커피전문점에서 배출되는 커피박을 커피숯, 커피펠릿 등 고형연료 및 비료, 활성탄 탈취 필터 등으로 다양하게 재활용하는 ‘커피박 자원화 사업’을 추진한다. ‘커피박’이란 커피를 내리고 난 후의 커피찌꺼기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업소에서는 커피 원두의 0.2%만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99.8%는 생활폐기물로 버려져 매립⋅소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활용되지 않은 커피박이 매립되거나 소각되면 메탄 등 온실가스가 발생되어 지구온난화로 이어진다. 이에 동대문구는 관내 5개동(용신, 제기, 청량리, 전농1, 회기동)에 위치한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커피박 무상수거 사업’을 홍보하고 희망업소의 신청을 받아 ‘커피박 자원화 사업’을 추진하여 생활폐기물 배출량 및 처리비용을 줄임으로써 탄소중립 실천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커피박 자원화 사업’은 참여 커피전문점이 투명 또는 반투명 봉투에 이물질이 섞이지 않은 커피박을 담아 업소 앞에 배출하면, 수거 업체에서 ‘무상 회수’ 하여 고형연료 등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커피박 자원화 사업에 참여하길 희망하는 커피전문점은 동대문구 청소행정과로 신청하면 된다. 송영철 동대문구 청소행정과장은 “오는 5월 30일 커피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