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 관광트렌드에 맞춘 ‘여행콘텐츠 기획가’ 양성

모집 : 8월 25일 ~ 8월 31일 / 동해시민 25명 / 평생교육센터

 

 

동해시가 관광산업의 변화에 대응, 여행을 통한 지역사회 경제적 기여를 높이기 위해 여행콘텐츠 기획가를 양성한다.

 

이를 위해 오는 9월 20일부터 10월 27일까지 진행되는 '여행콘텐츠 기획가 양성과정' 학습자 25명을 모집할 계획이다.

 

이번 교육과정은 관광산업의 질적 성장, 생태계육성, 융·복합 고부가가치화 등 관광트렌드 및 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지역관광 기획자 양성으로, 지역관광자원의 체계적인 보전·관리·활용, 관광객 유치 및 관광 소비지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운영된다.

 

프로그램은 △ 관광 및 여행 비즈니스 트렌드 분석 △ 문화 콘텐츠 및 여행 콘텐츠 기획 △ 홍보·마케팅 비즈니스·영업 전략 분석 △ 나만의 여행 콘텐츠 기획사 설립(실습) 등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교육으로 80%이상 출석할 경우 수료증이 발급된다.

 

교육을 원하는 동해시민은 이번달 25일부터 31일까지 동해시평생학습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하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평생교육센터 평생교육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피플인사이트] 전통 육포의 세계를 확장하다
전통에 질문을 던지면 새로운 전통이 탄생한다. 홍두깨살 외에 다른 부위로 만들면? 간장 외에 다른 장에 재우면? 오랜 지혜와 관습을 존중하면서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전통적으로 육포는 혼례, 환갑 등 잔칫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었다. 신라시대부터 폐백 음식에 포함됐다고 전해지며, 고려시대 문헌 「고려도경」에는 귀한 손님에게 대접하는 술상에 육포를 올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최근 결혼 문화의 간소화로 폐백 문화가 없어지면서 육포도 점차 사라 지고 있다. 김지윤 정육포 대표가 폐백 · 이바지 음식 전문가 어머니의 육포를 지키기 위해 현대화를 꾀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육포의 시작은 어머니 김정자 여사의 ‘손맛’이었다. 서촌에서 대대로 살아 온 집안에서 태어나 친정어머니의 서울식 음식을 먹고 자란 김정자 여사는 타 고난 손맛이 좋았다. 어머니의 음식을 떠올리며 남편의 손님을 위해 준비한 상차림은 이내 입소문을 탔고, 그중에는 친정어머니의 전통 방식으로 만든 육포도 있었다. 1990년대 초반, 대물림한 외가의 음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 고자 조선왕조 궁중음식 기능 보유자였던 고 황혜성 선생의 궁중음식 강좌를 이수하던 중 지인들의 부탁으로 선물했던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