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 ‘김밥' 한 줄도 이제 3천원 시대

 

외식물가가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김밥의 평균 가격은 3000원을 넘어섰다.

 

7일 소비자원 가격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8월 서울 기준 김밥의 평균 가격은 3046원으로 전달의 2969원보다 2.59% 올랐다. 지역별로 보면 경남 지역의 김밥 평균 가격은 3177원으로 최고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외식물가의 고공행진은 김밥 외 다른 품목에서도 이어졌다.

삼겹살(200g) 가격은 1만 8364원으로 1.7% 올랐고, 김치찌개백반 가격도 1.0% 올라 7500원으로 조사됐다. 냉면(1만 500원)과 삼계탕(1만 5462원), 칼국수(8423원) 가격 역시 0.5∼0.7% 상승했다. 비빔밥(9654원)과 자장면(6300원) 가격은 변동이 없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외식물가 상승률은 8.8%로 1992년 10월(8.8%) 이후 약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소비 가공식품 32개 품목 중에서는 시리얼(13.0%)과 탕(6.7%), 마요네즈(6.6%) 등 16개 품목의 가격이 올랐다.

한편 고추장(-11.2%)과 컵밥(-6.6%), 참기름(-4.3%) 등 14개 품목은 전달보다 가격이 내렸다.

고추장은 김치, 장류 등에 대한 부가세 면제 조치와 유통업체 할인 행사로 가격이 내렸다. 또 컵밥류는 유통업체 간 가격 경쟁과 할인 행사 등으로 가격이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식품외식업계는 농·수·축산물 가격 오름세에 인건비, 임대료, 물류비 상승과 전기·가스 요금 인상에 따른 생산비 부담이 더해지면 외식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 가격이 더욱 오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