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키자니아 서울에 첫 체험시설 '수산식품연구소' 선보여

수협중앙회가 어린이를 대상으로 수산물을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을 처음으로 운영한다.

 

수산물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 이들을 소비 주도층으로 끌어들이겠다는 목적으로, 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인 키자니아 서울에서 이날 '수산식품연구소' 개소식도 가졌다.

 

 

키자니아 어린이 의회가 시연하는 체험 프로그램엔 노동진 수협중앙회장과 전국 수협조합장도 함꼐 참관했다. 수산물이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1분 안팎 영상으로 소개하는 걸 시작으로 동·서·남해 대표 수산물 지도를 완성하는 교육이 진행됐다.

 

수협중앙회는 수산식품연구소 오픈을 기념해 체험 어린이 1000명에게 반찬으로 인기 있는 김자반볶음을 무료로 증정한다.

또한 여름방학 기간에는 체험에 참여한 어린이가 수산식품연구소 유니폼을 입고 찍은 인증샷을 부모가 SNS 계정에 게시하면 추첨을 통해 기념품을 나눠주는 이벤트도 열린다.

 

아울러 하반기 중으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수산물 식생활 교육도 추진할 계획이다. '찾아가는 수산물 식생활 교육'은 어려서부터 수산물을 섭취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중점 사업이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바다의 산물인 수산물이 몸에 어떤 이로운 작용을 하는지, 밥상을 얼마나 풍요롭게 해주는지와 같은 것을 적극 알림으로써 새로운 미래 잠재 고객을 적극 발굴해 수산물 소비 저변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경상북도 ‘저동커피’, ‘기안장’ 타고 울릉 바다 너머 넷플릭스까지
경북 로컬 크리에이터 기업 ‘저동커피’가 글로벌 OTT 넷플릭스의 화제 예능 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의 촬영지로 등장했다. ‘대환장 기안장’은 울릉도 바다 위에 띄운 기상천외한 숙소를 설계자 기안84와 글로벌 톱스타 BTS 진, 예능 샛별 지예은이 함께 운영하는 신개념 민박 예능 프로그램으로 8일 첫 방영 이후 글로벌 TOP10 상위권에 오르는 등 전 세계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22일 공개된 마지막 회차에서는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을 통해 성장한 울릉 대표 로컬 브랜드인 ‘저동커피’가 촬영장으로 등장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2023년 경북 로컬 체인지업 우수기업으로 선발된 ‘저동커피’는 특산물인 호박과 심층수 소금을 활용하여 캐러멜을 개발, 울릉도 대표 기념품이자 주요 관광코스로 자리 잡았다. 이외에도 저동커피는 ‘오징어 먹물 아이스크림’과 독도 굿즈 개발 등 지속적인 로컬 자원 발굴과 콘텐츠 기획으로 관광객의 호응을 얻으며 울릉도의 콘텐츠 사업을 선도하는 지역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은 ‘지역다움’을 살린 콘텐츠를 발굴, 현대적인 브랜드로 재해석하는 동시에 지역 문제를 인식하고 지역 구성원과의 협업을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명시,‘업사이클 푸드’교육으로 저탄소 식문화 확산
광명시 업사이클아트센터가 오는 30일까지 기후위기 대응과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업사이클 푸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자를 모집한다. ‘업사이클 푸드’는 식품 부산물이나 못난이 채소·과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음식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절약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교육은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공유주방에서 5월 한 달간 매주 금요일 진행한다. 참가자는 쌀누룩, 못난이 멸치,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된장 등을 활용한 조미료를 직접 만들며, 이를 일상 요리에 접목하는 방법도 배운다. 교육 대상은 저탄소 식문화와 기후 미식에 관심 있는 만 19세 이상 시민 20명으로,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누리집(upcycle.gm.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김봉섭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교육이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업사이클 푸드를 쉽고 즐겁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업사이클 푸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아트센터 공유주방은 공간 대관, 공모전, 협업 프로젝트 등 기업과 시민이 함께 업사이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