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도 ‘슬기로운 제로페이 생활’…“20만원어치 제수용품 16만원으로 사볼까?”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10%, 지역사랑상품권도 7~10% 할인
농축산물과 수산물 구매 시 각각 최대 1만원씩 쿠폰 지급
알뜰구매에 코로나19로 힘든 농가와 소상공인도 돕고 일석이조 가치소비 가능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에 거주하는 주부 A 씨는 지난해, 일가친척들이 모여 차례를 지냈지만 올해는 코로나19로 가족끼리만 간소하게 차례를 지낼 예정이다. 하지만 장기간 폭우와 태풍으로 농축산물 구매 비용이 오른다는 소식에 장 볼 엄두가 안 난다.

 

최근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발표에 따르면 올해 추석 상차림을 전통시장에서 준비하면 20% 저렴한 가격에 장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전통시장 방문 시 어떤 결제 수단을 이용해야 더 저렴하게 장을 볼 수 있을까?

 

 

전통시장 및 상점가 이용 시에는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으로 10% 할인

전국 전통시장 및 상점가의 온누리상품권 가맹점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승인한 온라인 전통시장몰을 이용할 때는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적극 활용하자. 특히 추석 차례상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과일, 육류, 생선 등에서 부담이 큰 만큼 적지 않은 할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의 장점은 소득공제와 개인 구매 할인 혜택이다. 상품권 구매 시 10% 할인 혜택으로 10만원 구매 시 9만원, 100만원 구매 시 90만원에 살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다. 이지웰 온누리전통시장몰, e경남몰 등에서 각 지역의 대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구매와 사용 방법도 간단하다. 제로페이 모바일상품권 이용이 가능한 페이 앱 및 은행 앱에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입 후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 수단을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으로 선택해 결제하면 된다.

 

또한 9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월별 개인 구매 할인한도가 기존 7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된다. 추석 전후(9월 21일∼10월 31일)에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50만원 이상 사용하면 2021년 1월, 2월 각각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월별 개인 구매 할인한도가 30만원 추가된다.

 

농축산물, 수산물 구입하고 20% 할인까지!

코로나19로 침체된 농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9월부터 ‘농축산물 소비쿠폰’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다. 농축산물 소비쿠폰 이벤트는 정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사업을 추진하며, 국내산 농축산물을 구입한 소비자에게 구입액의 20%, 최대 1만원까지 제로페이 상품권을 지급한다.

 

소비자는 농할쿠폰 결제 앱을 통해 간편하게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농할쿠폰 결제 앱 및 이벤트 가맹점은 제로페이 공식 블로그와 가맹점 찾기 앱 ‘지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 주관의 대한민국 찐 수산대전 이벤트를 통해 제철 수산물을 구입한 소비자에게 구입액의 20%, 최대 1만원까지 제로페이 상품권을 지급한다. 노량진수산시장에서는 드라이브 스루로 수산물을 최대 20%까지 할인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제로페이 직불결제와 동작사랑상품권으로도 결재가 가능하다. 동작사랑상품권은 9월 22일부터 7%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모바일 상품권 구입은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머니트리 △핀트 △페이코 △핀크 △슬배생(Android 앱만 출시) △티머니페이 △경남은행(모바일뱅킹) △광주은행(개인뱅킹) △대구은행(IM샵#) △부산은행(썸뱅크) △전북은행(뉴스마트뱅킹) △농협은행(올원뱅크) △경남지역상품권 △강원상품권 △춘천사랑상품권 △전남사랑상품권 앱 내의 제로페이 시스템에서 가능하다.

 

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은 “코로나19로 방역수칙을 지키면서 추석 명절 준비를 해야 하는 주부들은 걱정이 많으실 것”이라며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지역사랑상품권, 농할갑시다, 대한민국 찐 수산대전 이벤트 등을 활용하면 알뜰한 추석 장보기에 도움이 되고 코로나19로 힘든 농가와 소상공인도 돕는 일석이조의 가치소비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쌀과 콩으로 만든 전통 유과
부모님이 배운 한과 제조 방식은 할머니로부터 온전히 전수받은 것이었다. 한과의 본질적인 맛과 집안 고유의 제조 방식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강릉 사천면에는 130년 역사를 지닌 한과마을이 있다. 갈대가 많아 ‘갈골’이라 불리던 이 마을에 한과를 만들어온 집안들이 모여 산다. 노동리 한과마을길에 들어서면 도로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너른 농촌 마을이 펼쳐진다. 한과 집 간판이 하나 나타나면 그 옆에 또 다른 한과 집이 이어진다. 우리 나라에 한과 만드는 곳이 여기에 다 있나 싶다. ‘한과’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기름에 튀기는 유과 제조가 주를 이룬다. 한 입 베어 물면 느껴지는 폭신한 식감 때문에 고려시대 몽골인이 “구름을 먹는 것 같다”고 말했다던 유과. 그 모양과 고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도 재미있다. 평평한 직사각형으로 큼직하게 만든 것은 ‘산자’, 손가락 형태로 썰어 튀긴 것은 ‘강정’, 콩알만 한 찹쌀가루 반죽을 튀겨 엿으로 뭉친 후 각지게 썬 것은 ‘빙사과’라 부른다. 기본적인 유과 제조 방식은 모든 집이 동일하다. 발효한 찹쌀로 반죽을 만든 후 얇게 펴 건조하고, 기름에 튀겨 부풀린다. 이후 조청에 버무리고 그 위로 튀 밥, 깨 등의 고물을 입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