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종사자수 172만명으로 전체 고용의 7.7%에 달하는 외식업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질적인 공급과잉과 구인난⋅식재료 가격상승⋅금리인상⋅배달수수료 부담 등의 구조적인 문제로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다.
외식업이 특히 문제인 것은 코로나 이전보다 사업환경이 어려워지고 진입 문턱이 낮은 식당창업에 생계형 창업희망자가 몰리기 때문이다. 외식업체의 도산은 청년실업의 고통보다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훨씬 크다.
창업에 적지 않은 자금이 소요되는데 사업부실로 투자금을 잃게 되면 실업은 물론이고 신용 불량자, 가정붕괴, 임금 체불 등 빈민층을 양산하게 된다. 이미 900조원을 넘어선 자영업자의 금융권 부채 중 51.6% 정도가 상환이 어려울 정도의 형편임을 감안할 때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다.
비대면 생활이 일상화 되면서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HMR⋅밀키트 등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 매장중심의 소비가 감소하고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에도 작업환경이 열악한 외식업의 특성상 인력난은 가중되며 과거와는 달리 빅데이트 및 푸드테크의 발전으로 직관이나 소자본 창업은 외식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무엇보다 점포 1개당 인구가 한국 80명, 일본 170명, 미국 320명이고 외식업의 1년 생존율이 62.2%, 5년 생존율이 20,2%에 불과하며, 뼈 빠지게 고생을 해도 자영업자들의 평균소득이 외식근로자의 임금 월 300만원에도 훨씬 못 미치는 182만원 임을 감안 할 떄 어설픈 창업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외식업의 생존력을 높이려면 외식업 참여자들의 인식변화와 과포화된 외식업의 적극적인 구조조정 대책이 필요하다. 외식업에 대한 확고한 비전 없이 단순히 생계를 위해 외식 창업에 나서는 것 보다 인력난에 허덕이는 외식업체에 취업하는 것이 쉽고 안정적이다.
외식 영업허가서 발급기관에서는 신고서 접수시에 과당경쟁 여부에 대한 빅데이터 자료를 제공하여 창업의 위험성을 주지시켜 과밀지역의 창업을 적극 막아야 하고 외식창업에 대한 금융지원 축소 등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예 진입장벽을 높여 조리사 자격증소지자나 외식학과 전공자, 일정기간의 외식업 근무경력자 등으로 제안하는 것도 창업억제와 인력 부족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외식업은 오랜 기간의 고객검증과 섬세한 곳에도 신경을 써야만 성공할 수 있는 시간이 걸리는 사업이다. 불확실한 창업보다는 취업이나 기존점포의 안정적인 운영과 확장을 통한 일자리 확대, 철저한 준비를 통해 해마다 수만개의 업체가 도산하고 그만큼 다시 생겨나는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