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펜데믹이 종식됨에 따라 외식수요가 다소 늘었지만 식자재값 급등과 극심한 인력난으로 오히려 외식업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가뜩이나 음식점이 포화상태에 이른 데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 외식패턴이 HMR(가정대용식)이나 밀키트시장 등 가정내식으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외식물가의 상승으로 수요가 위축되어 지난해 외식업 폐업율이 10%로 지난 20여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외식업이 어렵다는 인식을 많이 하고는 있지만 먹방과 대박신화의 난무, 일부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고수익 유혹으로 나만은 잘 할 수 있겠지 하는 확신을 가진 창업희망자들은 줄지 않고 있다. 반면 정부에서는 외식업을 비롯한 한계 상황에 봉착한 소상공인들이 빠르게 늘고 있어 지난해보다 23.7% 증가한 3조 7100억원의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조성하는 등 소상공인들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골몰하고 있지만 외식 수요의 장기 저성장 추세와 미국에 비해 4배, 일본의 2배인 과당경쟁하에 있는 외식업을 구조개혁 없이 돈을 풀어 살리고자하는 지원정책은 외식산업을 더욱 악화 시킬 뿐이다. 외식업의 안정과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창업희망자들이 외식업의 어려움을 확실히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코로나 전
전 세계적으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문화 파급력이 확장되면서 K-푸드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관련 종사자들의 노력으로 ‘한식의 세계화’에서 시작한 K-푸드가 식품전반에 걸쳐 세계인이 즐기는 문화로 확산되고 있지만 최근 일련의 사태들은 K-푸드의 위상을 어둡게 하고 있다. 수많은 인파가 몰리는 지역 축제가 바가지 논란에 몸살을 알고 외국관광객들이 즐겨 이용하는 세계적 여행 사이트 마다 한국음식은 ‘가격도 양도 모두 불만족’이라는 평가가 속출하고 있다. 심지어는 ‘말도 안되게 비싸다’는 말을 하기도 한다. K-푸드가 식품전반을 아우르고 있지만 k-푸드의 위상은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접한 외식업체들의 수준에 의해 급속히 전파되고 평가 된다. 맛과 질이 아무리 출중해도 가격이 비싸고 고객만족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면 그동안 공들였던 k-푸드의 위상도 뿌리째 흔들리게 된다. 외식물가의 고공행진은 지난 5년간 급격한 최저임금의 상승과 식자재 및 에너지가격 등 근원물가의 상승에 기인하기는 하지만 경제환경이 비슷한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3국과 비교하면 터무니없이 높은 수준이다. 직장인들의 점심 평균식대가 일본을 초월한지가 오래 되었고 한국의 대표식단 중의 하나인 냉
최근 종사자수 172만명으로 전체 고용의 7.7%에 달하는 외식업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질적인 공급과잉과 구인난⋅식재료 가격상승⋅금리인상⋅배달수수료 부담 등의 구조적인 문제로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다. 외식업이 특히 문제인 것은 코로나 이전보다 사업환경이 어려워지고 진입 문턱이 낮은 식당창업에 생계형 창업희망자가 몰리기 때문이다. 외식업체의 도산은 청년실업의 고통보다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훨씬 크다. 창업에 적지 않은 자금이 소요되는데 사업부실로 투자금을 잃게 되면 실업은 물론이고 신용 불량자, 가정붕괴, 임금 체불 등 빈민층을 양산하게 된다. 이미 900조원을 넘어선 자영업자의 금융권 부채 중 51.6% 정도가 상환이 어려울 정도의 형편임을 감안할 때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다. 비대면 생활이 일상화 되면서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HMR⋅밀키트 등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 매장중심의 소비가 감소하고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에도 작업환경이 열악한 외식업의 특성상 인력난은 가중되며 과거와는 달리 빅데이트 및 푸드테크의 발전으로 직관이나 소자본 창업은 외식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무엇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