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제과전시회 ISM 2024, "약과 유행" 이어갈 디저트 선보이다

국제 제과전시회 ISM 2024, 내년 1월 28~31일 세계 최대 규모로 개최
새로운 해석과 트렌드를 제시할 ISM 어워즈와 신제품 쇼케이스

국제 제과전시회 ISM이 2024년 1월 28일부터 31일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다. ISM은 세계 최대 식품전시회로 알려진 아누가(anuga)의 자매전시회로, 제과제빵류와 스낵류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는 전시회다.

 

ISM은 업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개최되며, 2024년에도 70개국 1,350개사가 약 3만 평이 넘는 전시장에 가득할 예정이다. 베이커리, 쿠키, 젤리, 초콜릿, 아이스크림, 간편 간식 등 전 세계의 ‘주전부리’가 한곳에 모인다.

 

상상하던 달콤함을 보여주다

 

ISM 어워즈와 신제품 쇼케이스는 제과업계의 트렌드 바로미터로 인식된다. 스타트업부터 글로벌 리딩 기업, 장인정신으로 이어져 온 프리미엄 브랜드까지 참가하는 ISM 어워즈는 한 해를 이끌어 갈 소비 트렌드를 기준으로 주목해야 할 제품을 선정한다.

 

ISM 신제품 쇼케이스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각축전이다. 신제품 쇼케이스는 최근 식품업계의 이슈와 소비 동향을 다각적으로 반영해, 익숙한 제품에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지난해 1위를 차지한 Sweet Stories의 설탕 없는 솜사탕은 제로-슈가 제품의 스펙트럼을 한층 확장하기도 했다.

 

한국, ISM에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 중 하나

 

ISM 개최 소식에 국내 유통업계의 기대감이 상당하다. 국내 간식·디저트 유행이 초 단위로 변화하고, SNS로 인해 ‘이색 간식’이 더욱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탕후루, 일본의 소금빵, 영국의 베이글, 튀르키예의 카이막, 그전에는 미국의 도넛이 있었다. 약과, 흑임자, 붕어빵 등 매우 한국적인 것의 양면으로, 오히려 ‘해외 현지의 맛’에 대한 호기심이 급증하고 있다.

 

‘현지의 맛 그대로’, 해외 이색 간식에 주목하는 국내 소비자

글로벌 트렌드인 저당·저칼로리에 관한 아이디어 발굴 기회

 

ISM은 90%에 가까운 참가사 해외 비중에 더하여, 35개 국가관을 통해 “이국적인 달콤함”을 돋보이게 할 방침이다. 빵과 디저트에 국가적 자부심을 지닌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벨기에뿐만 아니라, 알바니아, 알제리, 요르단, 사이프러스 등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낯선 국가들의 전통 간식까지 비중 있게 다뤄질 예정이다.

 

국내 제과 트렌드의 또 다른 키워드는 “설탕 대체재”다. 저칼로리와 저당은 향후 식품업계를 이끌 주요 키워드로 손꼽힌다. 이미 저당·저칼로리 제품의 시장 지배력은 최고점을 찍었으며, 대체 감미료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저당·저칼로리가 글로벌 트렌드인 만큼, ISM 2024는 제로슈가에 관한 다양한 접근을 살펴보고, 신선한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국제 제과전시회 ISM 2024 방문 및 티켓 구매에 관한 사항은 주최사 쾰른메쎄의 공식 한국 대표부 라인메쎄㈜ (02-798-4105, claire@rmesse.co.kr)에 문의할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쌀과 콩으로 만든 전통 유과
부모님이 배운 한과 제조 방식은 할머니로부터 온전히 전수받은 것이었다. 한과의 본질적인 맛과 집안 고유의 제조 방식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강릉 사천면에는 130년 역사를 지닌 한과마을이 있다. 갈대가 많아 ‘갈골’이라 불리던 이 마을에 한과를 만들어온 집안들이 모여 산다. 노동리 한과마을길에 들어서면 도로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너른 농촌 마을이 펼쳐진다. 한과 집 간판이 하나 나타나면 그 옆에 또 다른 한과 집이 이어진다. 우리 나라에 한과 만드는 곳이 여기에 다 있나 싶다. ‘한과’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기름에 튀기는 유과 제조가 주를 이룬다. 한 입 베어 물면 느껴지는 폭신한 식감 때문에 고려시대 몽골인이 “구름을 먹는 것 같다”고 말했다던 유과. 그 모양과 고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도 재미있다. 평평한 직사각형으로 큼직하게 만든 것은 ‘산자’, 손가락 형태로 썰어 튀긴 것은 ‘강정’, 콩알만 한 찹쌀가루 반죽을 튀겨 엿으로 뭉친 후 각지게 썬 것은 ‘빙사과’라 부른다. 기본적인 유과 제조 방식은 모든 집이 동일하다. 발효한 찹쌀로 반죽을 만든 후 얇게 펴 건조하고, 기름에 튀겨 부풀린다. 이후 조청에 버무리고 그 위로 튀 밥, 깨 등의 고물을 입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