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영업 엿보기]日 라면 크리에이터, 멘쇼 쇼노 토모하루 사장

도쿄를 중심으로 일본 라면을 전 세계에 전파하고 있는 회사가 있다. 주식회사 멘쇼(麺庄)는 도쿄에 8점포를 운영 중이며, 2016년에는 미국에도 진출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매장 ‘MENSHO TOKYO SF’는 2017년부터 미슐랭 가이드 샌프란시스코에 2년 연속으로 게재됐다.

 

 

멘쇼는 차별화 비결은 쇼노 토모하루 대표 손에서 나왔다. 색다른 국수를 개발하는 쇼노 대표는 라면 크리에이터이라 불린다. 일본 음식을 전 세계인이 즐길 수 있게 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고교 시절부터 라면에만 몰두했다.

 

일명 창작 국수를 간판으로 하는 ‘면과 쇼노'을 비롯해 미국 닭고기 전문 츠케멘 가게 ‘니쵸메 츠케멘 GACHI',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한 ’젓가락과 연꽃‘ 등 모든 점포를 각각 다른 컨셉으로 운영해 고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고교 시설 독학으로 라면 연구해

2005년에 오픈 한 ’면과 쇼노‘는 이후 츠케면, 기름 소바 등 다양한 컨셉으로 전개 중이다. 쇼노 대표는 이를 위해 고등학교에 다니면서 독학으로 라면을 연구했다.

 

쇼노 대표는 라면 만들기에는 ‘배움’이 필요하다고 여기며 해외로 사업을 넓히는 지금도 여전히 연구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

 

 

“라면은 시대에 따라 요구되는 스타일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너무 맛있는 돈코츠라면을 만들어 인기를 끌어도, 맛만큼 건강을 우선시하는 지금과 같은 시대에선 돈코츠라면 하나 만으론 살아남을 수 없다.”

 

시대가 변화하는 지점을 파악하는 안테나는 물론이고, 그 변화를 자신의 취향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하다. 쇼노 대표의 머릿속에는 그동안 모아온 요리 서랍이 풍부하다. 점포를 전개할 때마다 하나씩 서랍을 열어 그에 맞는 컨셉으로 바꾸고 있다.

 

 

“최근 일본 라면이 캐주얼 음식으로 해외에서도 인기지만, 품질은 결코 높지 않다. 진짜 일본인이 먹어도 맛있다고 생각될 라면을 세계에 전파하는데 사명감을 가지고 있다.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오래가기 위해선 지역에 따라 토지 특유의 재료와 맛을 잡을 수 있어야 한다."

 

일본 식문화를 전하는 현지화 전략

샌프란시스코는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고, 비건도 많은 지역이다. 쇼노 대표는 현지 사정에 맞게 짙은 맛이지만 돼지 뼈보다 건강한 ‘닭백탕(鶏白湯)’에 슈퍼푸드 중 하닌 키누아를 넣어 반죽한 국수를 메인 메뉴로 했다. 소금과 간장도 현지 식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주변 라면 가게가 일제히 멘쇼의 닭백탕 메뉴를 모방에 내놓을 정도로 성공을 거두었다.

 

 

맛은 철저히 현지에 맞췄지만 메뉴판은 일본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Tori Paitan’, ‘Shio’로 표기하고 내용은 별도로 설명하고 있다. 라면 문화 특유의 말 자체를 기억하는 것도 식문화를 전하는 일이라 생각해서다. 소금(Shio)라면을 솔티(Salt)라면 등으로 번역하면 의미가 왜곡되기 때문이다.

 

해외 인기 메뉴, 역수출로 일본 매장에 들여와

현지 멘쇼 라면의 객 단가는 평균 25달러(약 2만8천 원)내외다. 깔끔한 레스토랑에서 고급 슬로우 푸드를 먹는 다는 컨셉으로 가성비를 갖췄다. 그 중 가장 인기 있는 건 프리미엄 메뉴 ‘A5 와규 간장 라면’이다. 39 달러(약 4만 4천원)라는 가격에도 불구하고 한정 수량 20세트가 매일 영업 개시 후 1회전 만에 매진된다.

 

 

원래 소고기는 라면 재료로 사용이 적은 식자재다. 퐁 드보(송아지 고기 삶은 국물)처럼 단맛이 라면 국물과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쇼노 사장은 일식 대표 재료인 소고기를 해외에 선보이고자 연구를 거듭해 달콤함이 신경 쓰이지 않으면서 오히려 감칠맛이 나는 형태로 완성 시켰다.

 

”라면의 상식으로는 이단일 수 있다. 하지만 라면으로 다양한 표현을 해보고 싶었다.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 넣기, 제철 및 소재의 특색 살리기 또는 음식에 스토리 입히기 등도 시도할 수 있다."

 

일본에선 라면에 대한 고정적 이미지가 강하다. 멘쇼가 오랜 기간 노력한 창작 라면에 대한 반감도 있었다. 하지만 2018년 7월 신주쿠 미로드에 출점한 신규 점포는 샌프란시스코 메뉴인 ‘A5 와규 간장 라면’을 역수출로 들여오며 일본에서도 큰 화제를 모았다.

 

“세계에서 이런 라면이 유행하고, 동시에 더 자유로운 발상으로 라면을 즐겨 주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역수출로 미국 메뉴를 일본 매장에 도입했다. 앞으로도 해외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 라면은 도쿄로 가져야 유행시키는 것이 목표다.”

 

고생의 연속인 해외 진출, 얻은 열매 그만큼 커

처음 해외 진출을 할 땐 우여곡절을 많이 겪었다. 특히 영업에 필요한 등록, 허가증 신청이 어렵고, 담당자에 의해 대응이 바뀌어 혼란스러웠다. 또한, 계약과 소송 문화가 뿌리 내리고 있어 직원의 권리 주장도 강했다.

 

 

일본에선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는 매장 공사도 대기업이 다룬다 해도 연 단위로 지연될 수 있다. 멘쇼의 경우 해외에서 연구 단계부터 오픈까지 3년 가까이 걸렸다. 오픈이 늦어지면 그만큼 임대료와 공사비 등 비용도 늘어난다.

 

마지막으로 그는 "여러 번 마음이 꺾이기도 했지만, 오픈 첫날 가게 앞에 100명이 넘는 손님이 줄을 섰다. 고생한 만큼 성과가 나와 기뻤다. 일본의 라면은 전후 고도 경제 성장을 뒷받침한 서민의 맛이다. 단가를 낮춰 소득 격차가 심한 나라도 진출하는 등 진짜 라면이 없는 곳에 찾아가 일본의 맛을 전하겠다."고 전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제3회 신안세계김밥페스타, 신안정원김밥 콘테스트 접수 시작
신안군은 제3회 신안세계김밥페스타 축제 첫째 날인 4월 26일 ‘신안정원김밥 콘테스트’를 진행한다. 신안정원김밥은 사계절 꽃피는 신안의 정원을 표현한 김밥으로 작년에 개발되어 상표권 출원을 마친 신안세계김밥페스타 대표 김밥이다. 본 경연은 신안정원김밥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선착순으로 20팀 접수를 받는다. 대회는 현장에서 진행되며 신청이 미달되면 현장에서 신청자를 받을 계획이다. 경연은 주최측에서 준비한 신안정원김밥 키트로 얼마나 예쁘게 잘 만드는지 대결하고 우승팀을 선정하여 신안 특산물을 증정한다. 참가 접수는 신안군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받아 담당자 이메일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신안군 관계자는 “전국 지자체 최초 김밥축제인 신안세계김밥페스타가 벌써 3회째 개최를 앞두고 있다”라면서 “많은 분들이 참여해서 아름다운 해변에서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제3회 신안세계김밥페스타는 4월 26일부터 27일까지 2일간 자은도 해변 뮤지엄파크에서 개최되며 전년보다 확장된 공간에서 푸드쇼, 다채로운 프로그램과 전시 포토존 구성 등 먹을거리, 즐길거리, 볼거리가 가득한 축제로 진행할 예정이며, 같은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