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으로 국내 농가와 상생! 본그룹, 지난해 ‘국산 쌀’ 6,088t 사용

프랜차이즈 전문 기업 본그룹이 지난 한해 ‘국산 쌀’ 6,088톤(t)을 사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본죽과 본도시락 등 그룹의 시초인 가맹사업부터 단체급식과 이유식·간편식까지 각 사업을 영위하는 3개 법인이 지난 1년간 사용한 총량으로, 18일 쌀의 날을 맞아 농가의 어려움에 공감하고 그 가치와 우수성 뛰어난 국산 쌀 사용으로 실질적인 농가 상생 의미를 되새기고자 발표됐다.

 

‘쌀 한톨이 결실을 맺기까지 농부의 손길을 여든 여덟 번이나 거쳐야 한다’는 의미로 제정된 날이지만 쌀값 하락 및 쌀 사용량 감소로 국내 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통계청의 ‘2021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국민 1인의 연간 쌀 소비량은 56.9kg으로 지난 2012년보다 13kg이나 줄었다. 여기에 비추어 보면, 본그룹이 지난해 사용한 쌀의 양(6088t)은 국민 10만6977명의 연간 소비량과 같다.

 

사업 법인별로 보면, 지난 21년 본아이에프가 한식 프랜차이즈 본죽·본죽&비빔밥, 본도시락, 본설렁탕, 본우리반상 브랜드에서 5,165t을 사용했다. 직전년에 비해 945t이나 더 사용한 규모다. 본푸드서비스는 본우리집밥 전국 급식 사업장에서 728t을, 순수본은 이유식 베이비본죽과 간편식(HMR) 사업을 통해 195t을 사용했다.

 

뿐만 아니라, 국산 쌀 사용을 통해 농가 판로 확보와 회사의 공급 안정성까지 확보했다. 지난해 본아이에프가 사용한 쌀 전량은 전북 익산지역 250개 농가와 계약 재배한 것으로, 농가 소득 안정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가진다. 볍씨 파종부터 재배, 산지 출하까지 전 과정에서 품질 관리 및 공급 안정성 향상에 주력을 기울여오고 있다.

 

본그룹 관계자는 “그동안 한식 프랜차이즈와 단체급식, 이유식, 간편식 등 전 사업에서 국산 쌀을 사용해 맛, 영양 뛰어난 식사를 제공해 온 만큼 최근 식습관 서구화 및 쌀값 하락으로 인한 우리 농가의 어려움에 공감한다”라며 “앞으로도 본그룹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질적인 농가 상생을 실천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GS25-정다현 작가-소상공인, 3자 협업으로 전국 김밥 맛집 IP 상품 선보인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김밥 큐레이터 정다현 작가 및 전국 김밥 맛집들과 손잡고 ‘전국 김밥 일주’ 상품을 시리즈로 선보인다. ‘전국 김밥 일주’는 전국 700여 김밥 맛집을 직접 다녀온 정다현 작가가 추천한 메뉴를 GS25가 상품화하는 프로젝트다. 첫 번째 상품은 오는 4월 23일(수)부터 출시되는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이다. ‘롤앤롤 김밥’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김밥 맛집으로 정다현 작가가 본인 저서 ‘전국김밥일주 2권’에서 소개한 곳이다. 이번에 출시하는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은 이곳 대표 메뉴인 ‘서강김밥’을 구현한 상품으로 매콤짭짤한 풍미가 일품인 잡채를 듬뿍 담고 어묵볶음, 시금치 베이컨 무침, 당근채, 단무지, 계란구이 등을 속 재료로 넣어 식감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정다현 작가는 첫 상품으로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을 제안한 이유에 대해 “김밥에 잡채가 어울린다는 점이 독특하고 신기해서 많은 분들께 소개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전국 김밥 일주’ 시리즈는 GS25가 생산과 판매를 맡고, 정다현 작가가 맛집 메뉴를 제안하며, 해당 김밥을 판매하는 맛집 사장이 출시될 상품의 맛과 품질을 평가하는 3자 협업으로 완성됐다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명시,‘업사이클 푸드’교육으로 저탄소 식문화 확산
광명시 업사이클아트센터가 오는 30일까지 기후위기 대응과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업사이클 푸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자를 모집한다. ‘업사이클 푸드’는 식품 부산물이나 못난이 채소·과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음식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절약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교육은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공유주방에서 5월 한 달간 매주 금요일 진행한다. 참가자는 쌀누룩, 못난이 멸치,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된장 등을 활용한 조미료를 직접 만들며, 이를 일상 요리에 접목하는 방법도 배운다. 교육 대상은 저탄소 식문화와 기후 미식에 관심 있는 만 19세 이상 시민 20명으로,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누리집(upcycle.gm.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김봉섭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교육이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업사이클 푸드를 쉽고 즐겁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업사이클 푸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아트센터 공유주방은 공간 대관, 공모전, 협업 프로젝트 등 기업과 시민이 함께 업사이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