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 중국, 코로나 이후 메가트렌드로 자리잡은 ‘발열식품’

중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1인가구가 늘어나며 등장한 ‘발열식품’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발열식품(自热食品)은 전기나 가스 등의 가열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포장된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을 말한다.

 

 

2015년 용기가 두 층으로 분리된 발열 샤브샤브 제품이 처음 시장에 등장했으며, 2018년 광군제(알리바바에서 2009년부터 시작한 11월 11일 대규모 쇼핑 행사) 당일 관련 제품 453만개가 팔렸다. 매해 꾸준한 성장을 보이다 2020년 들어서며 코로나19 방역으로 인해 식당 이용에 제한이 생기자 발열식품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혼밥부터 캠핑까지 어디서나 즐기는 발열식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회식, 식사 모임 등이 급격하게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 혼밥이 일상화되며 집에서도 별도의 준비 없이 훠궈, 샤브샤브, 바비큐 등 중국 요리를 먹을 수 있는 발열식품의 수요가 늘었다.

 

 

발열식품은 용기 안에 있는 발열체에 찬물을 부어주면 물이 끓기 시작한다. 포장된 식재료를 10~20분 가열하면 간편하게 요리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포장돼 유통기한 9개월 정도로 길기 때문에 저장식품 혹은 캠핑식품으로도 유용하다.

 

 

2019년 티몰 통계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발열식품의 주요 고객은 대학생, 사무직 근로자 위주이며 18~29세 연령의 소비자가 전체 구매고객의 67.3%를 차지하고 있다. 발열식품 브랜드는 300개 넘어섰고 통일, 캉 스푸, 싼 쵄 등 식품 기업들도 시장에 진출한 상황이다.

 

온라인 매출 TOP 10 중 6개가 발열식품

쳰잔산업연구원에서 정리한 중국식품공업네트워크 자료에 의하면 2019년에 중국 발열식품 시장 규모는 35억 위안(약 6천억 원) 규모였다. 올해 중국 발열식품 시장 규모는 42억 위안(약 7천 3백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된다.

 

발열식품의 주요 유통경로는 온라인쇼핑 시장이다. 티몰, 진동 등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나 위챗샵(메신저 앱 안 온라인 상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오프라인 시장에선 대리점, 편의점, 공항, 기차역 등의 자동판매기 채널로 유통된다.

 

 

알리바바 보고서에 의하면 2019년 간편 식품 온라인 매출 TOP 10 브랜드 중 6개가 발열식품 제품이었다. ▲모샤오셴 발열훠궈 ▲하이디라오 발열훠궈 뷔페마라고육채판 ▲지하이궈 마라소고기 발열훠궈 ▲지오쯔팬더 발열훠궈 ▲더좡 발열훠궈 ▲유추이 발열훠궈가 이름을 올렸다.

 

발열식품 시장에서도 SNS 인플루언서 왕홍(网红)의 영향력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1위를 차지한 ‘모샤오셴 발열훠궈’의 경우 중국의 왕홍 모샤오셴이 2017년 처음 출시한 제품이다. 넓은 국수(꽈면), 연근, 미역, 죽순 등이 들어가 있는 훠궈로 가격은 약 6천 원이다. 작년에만 800만 상자를 판매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푸드&라이프] "약용버섯, 이제 맛있게 즐긴다" 활용 요리법 공개
농촌진흥청은 약용버섯의 가치를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평소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약용버섯 요리법을 공개했다. 약용버섯은 면역력 강화, 항암, 항산화 등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버섯을 말한다. 우리나라 대표 약용버섯으로는 상황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등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차로 마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건강식품처럼 섭취하는 약용버섯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버섯 종류별로 10개씩 총 30종류의 요리 방법을 제안했다. 상황버섯은 참나무나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서 자생하며, 황금빛 색감과 단단한 목질 구조가 특징이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세포 노화 방지와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상황버섯 우린 물에 닭과 삼계탕용 약재, 마늘, 대추를 넣고 끓이면 부드러운 육질에 고단백, 탄수화물 식단 ‘상황버섯 누룽지 삼계탕’이 완성된다. 잎새버섯은 밤나무, 느릅나무에서 자생하며, 잎사귀처럼 펼쳐진 갓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항암, 염증성 질환 예방, 장 건강 개선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잎새버섯을 먹기 좋은 크기로 찢은 뒤, 대파, 양파, 통조림 햄, 양념장을 넣어 끓이면 매콤하면서 진한 ‘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달서구,‘대구로 달서데이’운영…골목상권에 활력 더한다
대구 달서구는 지역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도모하고 침체된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대구로 달서데이(Dalseo Day)’를 운영한다 ‘달서데이’는 지역 소비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으로, 매주 토요일 시민생활종합플랫폼 ‘대구로’ 앱을 통해 1만 원 이상 주문 시 3천 원의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쿠폰은 4월 5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매주 발급되며, 달서구 소재 ‘대구로’ 입점 업소에서 사용 가능하다. 달서구는 골목상권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병행 추진 중이다. 지난 1월에는 장기동 먹거리상가와 성서계대 로데오거리 상가를, 3월에는 삼성명가상가를 각각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지역 내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구청 구내식당의 ‘외식의 날’을 주 1회로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6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또한 ‘대구로’ 가맹 소상공인 매장에서 1만 원 이상 구매 후 인증 시, 추첨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는 SNS 참여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 상권 활성화 아이디어도 달서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상시 접수하고 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이번 ‘대구로 달서데이’가 지역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전수창업] 갈비대가 ‘소갈비찜·갈비탕’ 전수한다
30년 경력의 갈비대가이자 조리기능장을 보유한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메뉴개발 과정이 오는 4월 10일(목)에 열린다. 이번 과정에서는 '소양념갈비찜'과 '갈비탕'을 중심으로 전수가 진행된다. 갈비찜, 갈비탕에 사용하는 비법양념과 만능육장은 물론 갈비와 어울리는 상차림(깍두기/겉저리/궁채·삼채나물무침)까지 갈비탕 창업에 필요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교육을 맡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청와대에서도 근무, 특히 국가에서 조리에 관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자격인 조리기능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전수 대한민국 갈비대가의 레시피 제공 교육에 참여하면 박종록 셰프가 직접 개발해 메뉴로 출시한 소갈비찜·갈비탕의 레시피와 기술을 배울 수 있다. 독자적으로 터득한 만능육장, 비법앙념 제조법 등을 상세하게 알려줄 예정​이다. 또한, 한우, 수입산(미국, 호주, 뉴질랜드)에 따라 고기를 삶는 최적의 시간 등 갈비탕 전문점 운영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