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닭볶음면, 신라면, 팔도자장면, 안성탕면, 육개장’ 등 라면은 많은 중국 소비자가 익숙한 한국 라면 제품이다. 중국에서의 한국산 라면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
전 세계 라면 연간 소비량 1위, ‘중국’
세계인스턴트라면협회(WINA)의 통계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 라면 판매총량은 1,064억 개이고 이 중 중국이 차지한 비율은 38.9%이다.
비록 1인당 라면 소비량은 한국보다 적지만 중국에서 하루에 평균 2.8억 개의 라면이 판매되고 있고 이는 2위를 차지하는 인도네시아의 3배 되는 수치이다.
중국의 한국산 라면 수입액은 2014년의 1,515만 달러(약 180억 원)에서 2018년에는 1억 달러(약 1187억 원)로 6.6배 가까이 늘어났다. 한국산 라면은 대만산 라면을 제쳐 중국 수입 라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불닭볶음면’부터 ‘짜파구리’까지, K-라면 인기 이유는
이처럼 중국 사람들이 한국 라면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 KATI농식품수출정보는 “라면산업의 발전은 한국이 중국보다 앞서 가고 있고 품질이 보장되어 있으며 한국 라면 특유의 매운 맛은 중국 소비자에게 너무나도 새로운 맛이 선호의 이유.”라고 분석했다.
또한, 한국 라면은 중국 젊은 층을 타깃으로 중국 시장에 점유하는 기회를 잡았다.
한국 라면은 최근 다양화, 고급화, 소포장의 라면 발전 추세를 맞추었으며,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틱톡(Tik Tok), 샤오홍수(小红书) 등 소셜 미디어에 한국 라면을 먹는 모습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공유하면서 중국 젊은 층은 한국 라면을 익숙하게 느끼고 있다.
또한 소득과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인스턴트 식품인 라면이지만도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는 중국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보통 하나에 2~3위안(약 350~520원)이 중국 라면의 평균 가격대인데, 한국라면의 경우 현재 10위안(약 1740원)이상의 라면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가격에 비해 원료, 맛, 포장이 모두 괜찮다면 비싼 가격에도 상관하지 않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한류의 문화수출도 라면 수출에 큰 힘이 되었다.
가령 영화 ‘기생충’으로 중국 소비자는 짜파구리 요리법을, 예능 프로그램 라끼남을 통해 다양한 한국 라면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다. 한류 열풍에 라면은 한국의 대표적인 맛 중의 하나로 부상하였다.
KATI농식품수출정보는 “한국 라면의 호조세는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라면에 비해 ‘건강하고, 새로운’ 다양한 맛의 한국라면은 최근 다시 불고 있는 한류의 영향과 함께 중국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