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역 공구’ 식품전자상거래 시장 트렌드로 떠올라

중국에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끼리 온·오프라인의 신선식품 정보를 공유하고 구매하는 ‘지역공동구매’ 시장이 성장 중이다. 신선제품판매 플랫폼을 만들어 거주 지역 단위로 입소문을 통해 고객을 모으는 방식으로 2018년부터 발전한 판매모델이다.

 

 

코로나로 다시 성장전환점 맞은 지역 공구 플랫폼

지금은 대부분 자금, 운영 문제로 인해 문을 닫았지만 2018년 말 중국 전역에서는 200개가 넘는 ‘지역 공동구매 플랫폼’이 출시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모바일 소설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뚜워뚜워(Pinduoduo)이 출시한 커뮤니티 그룹 'Neighbor One' 등이 있다.

 

 

성장세가 꺾인 듯 보였으나 올해 초부터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며 지역 공동구매 모델이 다시 전환점을 맞이했다.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지역 공공구매는 주민들에게 필수적인 식료품 구매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아이미디어리서치(iiMedia Research)에서 발표한 <2020년 상반기 중국의 지역 공동구매 업계 전문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2020년 지역 공동구매 시장이 빠르게 발전, 시장규모는 약 720억 위안(약 12조 24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한, 2022년 중국의 지역 공동구매 시장규모는 천억 위안(약17조원) 이상을 돌파할 것 예측했는데, 지역 공구는 비대면 배달이 가능하고 그 규모 또한 적지 않아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소비습관으로 정착했다.

 

중국 기업정보 플랫폼 티엔옌차(天眼查)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지역 공동구매 및 신선식품 전자상거래에 융자한 금액은 백억 위안(약1조7000억 원)을 초과했다. 설문조사 전문기관인 IDG는 지역 공동구매는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시장 중 유일하게 오프라인 매장보다 가격이 더욱 저렴하면서도 수익이 발생하는 영업구조라 밝혔다.

 

소비자의 주문 건마다 배송하는 것이 아닌 거주지역의 고객들이 공동구매한 주문을 한 번에 거주지에 배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배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운송과 시간이 중요한 신선제품의 문제점도 보완이 가능하다.

 

 

2017년부터 500명 규모의 지역 공동구매 그룹채팅방 2개를 운영해 온 중국 여성은 “그룹채팅 구성원 모두 지역 주민이다. 매일 저녁 그룹채팅방의 지역 주민들에게 음식 이미지 및 먹방 동영상을 업로드해 식품을 판매한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 온라인 분석가 위빈(于斌)은 지역 공동구매 시장에 점차 거대한 자금이 투입되면서 지역 공동구매도 규모화 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동범위가 제한된 현재 지역 공동구매는 효율적인 구매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푸드&라이프] "약용버섯, 이제 맛있게 즐긴다" 활용 요리법 공개
농촌진흥청은 약용버섯의 가치를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평소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약용버섯 요리법을 공개했다. 약용버섯은 면역력 강화, 항암, 항산화 등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버섯을 말한다. 우리나라 대표 약용버섯으로는 상황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등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차로 마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건강식품처럼 섭취하는 약용버섯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버섯 종류별로 10개씩 총 30종류의 요리 방법을 제안했다. 상황버섯은 참나무나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서 자생하며, 황금빛 색감과 단단한 목질 구조가 특징이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세포 노화 방지와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상황버섯 우린 물에 닭과 삼계탕용 약재, 마늘, 대추를 넣고 끓이면 부드러운 육질에 고단백, 탄수화물 식단 ‘상황버섯 누룽지 삼계탕’이 완성된다. 잎새버섯은 밤나무, 느릅나무에서 자생하며, 잎사귀처럼 펼쳐진 갓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항암, 염증성 질환 예방, 장 건강 개선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잎새버섯을 먹기 좋은 크기로 찢은 뒤, 대파, 양파, 통조림 햄, 양념장을 넣어 끓이면 매콤하면서 진한 ‘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달서구,‘대구로 달서데이’운영…골목상권에 활력 더한다
대구 달서구는 지역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도모하고 침체된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대구로 달서데이(Dalseo Day)’를 운영한다 ‘달서데이’는 지역 소비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으로, 매주 토요일 시민생활종합플랫폼 ‘대구로’ 앱을 통해 1만 원 이상 주문 시 3천 원의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쿠폰은 4월 5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매주 발급되며, 달서구 소재 ‘대구로’ 입점 업소에서 사용 가능하다. 달서구는 골목상권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병행 추진 중이다. 지난 1월에는 장기동 먹거리상가와 성서계대 로데오거리 상가를, 3월에는 삼성명가상가를 각각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지역 내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구청 구내식당의 ‘외식의 날’을 주 1회로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6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또한 ‘대구로’ 가맹 소상공인 매장에서 1만 원 이상 구매 후 인증 시, 추첨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는 SNS 참여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 상권 활성화 아이디어도 달서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상시 접수하고 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이번 ‘대구로 달서데이’가 지역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전수창업] 갈비대가 ‘소갈비찜·갈비탕’ 전수한다
30년 경력의 갈비대가이자 조리기능장을 보유한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메뉴개발 과정이 오는 4월 10일(목)에 열린다. 이번 과정에서는 '소양념갈비찜'과 '갈비탕'을 중심으로 전수가 진행된다. 갈비찜, 갈비탕에 사용하는 비법양념과 만능육장은 물론 갈비와 어울리는 상차림(깍두기/겉저리/궁채·삼채나물무침)까지 갈비탕 창업에 필요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교육을 맡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청와대에서도 근무, 특히 국가에서 조리에 관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자격인 조리기능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전수 대한민국 갈비대가의 레시피 제공 교육에 참여하면 박종록 셰프가 직접 개발해 메뉴로 출시한 소갈비찜·갈비탕의 레시피와 기술을 배울 수 있다. 독자적으로 터득한 만능육장, 비법앙념 제조법 등을 상세하게 알려줄 예정​이다. 또한, 한우, 수입산(미국, 호주, 뉴질랜드)에 따라 고기를 삶는 최적의 시간 등 갈비탕 전문점 운영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