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의 영향으로 중국 유제품 시장에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세계적 식음료 전문매체 푸드베브(FoodBev)에 따르면 2021년에는 ▲유제품 및 식물성혁명, ▲건강 및 면역 등이 새로운 시장트렌드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유제품에도 식물성 성분을 혼합하는 시도가 늘고 있다. Innova의 연구 조사 데이터에 의하면 36%의 소비자는 식품에 식물성과 동물성이 혼합된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2%는 동물성 성분으로만 제조된 제품, 23%는 식품성 성분으로만 제조된 제품을 선호했다.
코로나 이후 식품 성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식물 기반 제품의 수요가 더욱 올라가는 흐름이다. 혼합 제품은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유제품과 비 유제품을 혼합한 건강한 제품이 새로운 트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Silk의 두유 제품은 Non-GMO 대두로 만든 식물성 우유로 콩을 갈아서 물, 설탕, 소금 4가지 성분만으로 순수한 맛을 내는 제품이다. 색소,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콜레스테롤 0, 저당의 건강 우유다. 이외에도 Yili의 고단백이며 무성탕인 식물성 우유 등 다양한 제품이 시중에 나와 있다.

식물성 우유 시장은 2014년까지 215억 2천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10% 이상씩 성장하고 있다고 유로모니터는 전했다. 중국 음료시장에서도 2018년까지 두유 제품의 매출 성장은 더뎠으나 작년을 기점으로 음료 산업 전체의 약 24%를 두유 등 식물성 우유가 점할 전망이다.

또한, 코로나 영향으로 소비자들은 건강을 더욱 중요시하며 제품의 성분을 꼼꼼히 따지기 시작했다. 유제품 업계에서도 우유에 수면개선, 스트레스 완화 등 기능을 강조한 상품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데이터(Global Data)의 발표를 보면 소비자의 84%는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대한 고민이 있다. 코로나로 스트레스 해소를 할 마땅히 수단이 없는 상황에서 대체재를 식품으로 찾으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