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우리나라의 김치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한류콘텐츠의 영향력과 채소를 즐겨먹는 현지인들의 식습관이 맞아 떨어지며 김치를 찾는다. 특히 케이팝 아이돌 문화에 열광하는 베트남 MZ세대의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어느 때보다 높다.
코로나19 이후 면역력 강화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발효식품인 김치를 찾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증가했다. 김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빈마트(Vinmart), 쿱마트(Co.op Mart), 빅 씨(Big C), 이온 몰(Aeon Mall) 등 대형유통매장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지에스25, 빈마트 플러스와 같은 편의점 체인 및 소규모 슈퍼마켓, 식당 등에서도 판매한다. 베트남에서 유통되는 김치의 경우 현지생산품이나 한국에서 수입한 김치로 나뉜다.
현지에서 생산하는 김치는 생강, 설탕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아 쓴맛과 단맛이 강하다. 베트남 생선액젓이 들어가 강한 액젓 맛과 향으로 한국의 김치와는 차이가 크다. 현지에서는 이러한 상품을 ‘무늬만 김치’라고 부른다.
김치 섭취 문화가 익숙해지며 직접 김치는 담궈 먹기도 한다. 주로 식사로 먹는 흰 쌀밥과 라면, 고기, 채소, 샤브샤브와 같은 국물류와 김치의 궁합이 잘 맞는다는 평이 많다.
CJ제일제당은 2016년 베트남 법인을 설립 후 최근 3년간(2018~2020년) ‘비비고 김치’로 베트남 김치 시장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며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비비고 김치는 지난해 베트남 시장에서 전년 대비 25% 성장한 약 150억원 매출을 올렸다.
현지 언론은 ‘비비고 김치’의 성공 비결로 현지화 전략을 꼽았다. CJ는 6년째 베트남 현지서 김치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 김치의 맵고 자극 적인 맛을 연상시키는 빨간 색감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매운 정도 조정했으며, 현지인에게 익숙한 향신채소인 고수를 넣은 ‘고수김치’를 만들었다. 이어 종교적 신념으로 동물성 식재료를 먹지 않는 소비자를 위해 젓갈을 넣지 않은 ‘베지테리언 김치’도 출시했다.
베트남 내 유명 한식 프랜차이즈로 알려진 킹 비비큐(King BBQ)를 운영하는 현지인 레드썬은 현지인 입맛에 맞춘 고수김치, 갓김치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김치 현지 제조업체인 엔피 푸드(NP Food)는 김치를 만드는 재료인 김치 양념소스를 생산한다.
지난해 베트남 김치수출실적은 284천 달러 규모로 전년대비 42% 상승했다. 교민에 국한되지 않고 현지 소비자의 식문화에 녹아들고 있어 앞으로도 한류콘텐츠와 함께 좋은 판매 실적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