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텔(Mintel)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5월 기준, 전 세계 히알루론산나트륨 함유 식품은 총 2,000개 이상의 품목이 있고 이중 일반식품은 554개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히알루론산나트륨 원료 제조·판매국이다.
글로벌시장 조사기관 프로스트앤설리번은 2024년이면 전 세계 히알루론산나트륨 식품 시장규모는 약 31억달러(약 3.5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 안신연구원(安信研究院)은 향후 중국 히알루론산나트륨 함유 식품 시장규모는 154억위안(약 2.68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중국에서는 해당 법규에 따라 보건식품에만 제한적으로 히알루론산나트륨이 사용돼 일반소비자가 접하기는 쉽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 1월 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음료, 주류를 포함한 5가지 유형의 일반식품에 히알루론산나트륨 사용을 허가하며 빠르게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위 내용을 담은 신식품원료 공고 발표가 있은지 몇 개월이 채 지나지 않아 히알루론산나트륨을 셀링포인트로 삼은 식품들이 시중에 등장했다.
유명 히알루론산나트륨 원료 제조기업 화시생물은 히알루론산 식품브랜드 헤이링을 론칭했다. 히알루론산&흰강낭콩 츄잉 태블릿, 히알루론산&GABA 수면캔디, 히알루론산&서양삼 음료, 히알루론산&콜라겐 물광 음료 등이 있다.
히알루론산과 건강에 이로운 기타 원료와 결합해 건강·다이어트, 수면 개선, 스트레스 해소, 미백 등 다양한 기능을 내세운다. 중국의 미용식품 시장은 2022년까지 239억위안(약 4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돼 히알루론산과 미용 기능 성분을 결합한 식품이 인기를 끌 전망이다.

식사대용 식품 브랜드 원더랩은 올해 2월, 중국 최대 온라인 몰인 티몰의 자사 플래그샵에 히알루론산나트륨 젤리 제품을 출시했다. 젤리 한 알에 12mg의 히알루론산나트륨을 첨가한 과일맛 젤리로 손 쉽게 피부 수분을 보충할 수 있다. 패키지는 젊은 층이 선호하는 클랭블루 색상을 적용했다.

텐즈워줘는 자체 연구·개발한 첫 히알루론산나트륨음료제품을 출시하며 미용식품시장에 진입했다. 다중분자량과 고농도 히알루론산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어 이너뷰티를 추구하는 소비자 수요에 부합한다. 이외에도 요거트나 초콜릿에 히알루론산나트륨 등 성분을 첨가한 상품들도 등장하고 있다.
히알루론산나트륨이란
보습, 조직적합성 등 특징을 가진 물질로 일상생활과 임상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섭취를 통한 히알루론산나트륨 보충은 피부 보습과 탄력 유지에 도움이 되는 미용효과 외에 관절액 증가, 연골 회복에 도움이 되고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알코올 또는 매운 음식으로 인한 자극을 완화해주는 등 기능으로 영양보충제나 일반식품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