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만의 RTD(Ready to drink) 차 음료 시장은 코로나19로 호텔 및 외식업계의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소매업 판매량이 상승하며 전년 대비 2.8% 증가한 10억 리터 규모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소비자들은 탄산음료보다는 건강한 즉석 차 음료를 더욱 찾았다. 주요 업체들은 새로운 트렌드에 따라 신상품을 출시하거나 건강을 강조한 마케팅을 펼쳤다.
예스광천수는 20~29세 여성 소비자를 타겟으로 6가지 강화 성분을 포함한 ‘육차(六茶)’를 출시했다. 목이버섯, 표고버섯, 샐러리, 로젤, 호손베리, 청자두 등 6가지 천연 재료로 만든 기능성 차다.

육차는 일반 차와 달리 전용추출법을 사용해 6가지 천연 원료의 원액을 추출한다. 100% 샐러리즙을 사용하며, 4시간 동안 버섯을 끓이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청자두를 3일 동안 끓여 50kg당 청매실 주스 1kg를 뽑아내 음료의 원료로 사용한다.
대만의 식품기업 유니 프레지던트의 음료 브랜드 ‘차리왕(茶裏王)’은 보존료·향료 혼합물 무첨가 및 무설탕을 강조한 건강 차 음료를 선보였다. 차 본연의 맛으로 입안에 쓴맛이 사라질 때 생성되는 단맛을 소구포인트로 잡았다.

즉석 차 음료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는 무설탕 제품과 일본식 차 제품에 집중돼 있다. 설탕 섭취를 피하기 위해 무설탕 제품을 택하고, 일본 음식은 건강하다는 현지 소비자의 인식이 제품 판매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최근 차 제품에서는 ‘향’을 셀링포인트로 활용하는 추세다. 볶음 차, 자스민 차는 편안한 차 향기로 인기를 끌며, 차 본연의 향기뿐만 아니라 꽃향, 과일향을 접목한 제품도 있다. 천연향은 소비자에게 고품질이라는 인식을 함께 준다.

일본의 차 음료 회사 이토엔(伊藤園)은 ‘찻잎 본연의 향기를 즐길 수 있는 차’를 추구하며 지난해 7월 신제품 우롱차를 출시했다. 우롱차 생잎을 활용해 풍부하고 달콤한 향기와 상쾌한 떫은맛 등 우롱차 본연의 풍미를 담아 즉석 차 음료 제품을 마시는 동안 소비자가 차향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포카삿포로는 훗카이도 지방에서 생산된 후라노 라벤더의 상쾌한 향을 볶은 녹차에 접목한 ‘후라노 라벤더 향 녹차’를 판매하고 있다. 산뜻한 녹차와 풍부한 라벤더 향으로 차를 마시는 순간 진정작용과 편안함을 준다.

이토엔의 생오렌지 홍차는 과일향 차로 신선한 오렌지의 향기를 느낄 수 있다. 갓 수확한 오렌지를 특허받은 새로운 제조 방법을 사용해 향료, 첨가물 없이 생오렌지 향을 홍차에 담은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