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시행한 중국 제7회 전국 인구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60세 이상의 인구는 18.7%를 차지하며 2010년에 비해 5.4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 65세 이상 인구는 13.5%를 차지하며 지속적인 고령화 추이를 보이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중·노년 인구의 증가로 실버경제가 성장하는 가운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성인용 분유 시장의 전망이 밝다고 전했다. 아시아권에서는 일찍이 고령화를 맞이한 일본이 성인용 분유 상품이 가장 먼저 출시됐고, 최근 한국에서도 매일유업, 일동후디스 등 기업이 관련 제품을 선보이는 추세다.
중국식품보 데이터를 보면 2019년 중국 실버경제 관련 사업 규모는 3.7만억 위안(한화 약 651조 2000억 원)이며, 올해는 5.7만억 위안(한화 약 1000조 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의 소비 수준이 향상되면서 중·노년층 소비자의 영양에 대한 인식도 향상되고, 음식을 통한 신체 관리를 더욱 중요시 여기고 있다.
식품음료기업 관계자는 “영유아 분유에 비해 성인 분유 시장은 규모 또는 소비 줄기 방면에서 더욱 큰 시장 잠재력을 보이고 있어 시장개발 및 확장을 해나가야 하는 분야다”고 말했다.
중국의 성인용 분유 시장은 2019년에 비해 2020년의 소비 증가율이 98%에 도달했으며, 그중에서 중·노년의 분유 소비 증가율은 142%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에 출시된 제품으로는 유제품 기업 멍니우(蒙牛)의 프리미엄 성인 분유 브랜드 ‘이우루이’시리즈, 이리(伊利)의 ‘신후어 중노년 분유’ 등이 있다.

이리는 10년 전부터 일찌감치 성인용 분유 시장에 진출해 시장 1위 점유율을 유지 중이다. 혈당지수(GI)가 낮아 고연령층에 맞춘 분유로 개발됐으며, 100그램당 6.5그램의 식이섬유를 포함했으며 비타민 B2, 엽산 등 15가지 보충 영양소가 들어갔다.

2019년 출시된 멍니우의 성인용 분유 ’이우루이‘ 시리즈 4종은 1년간 수요 조사를 걸친 끝에 강력한 항산화력을 지녀 노화를 지연시키는 셀레늄이 풍부히 들어있는 제품이다. 네덜란드의 염소 분유에 효모를 첨가하고 칼슘과 다양한 비타민을 더했다.
아직까지는 제품의 기술력이 떨어져 일반 분유와 큰 차이가 없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동질화 현상이 심하고 주로 칼슘, 비타민, 철분 등 영양보충 제품 위주이다. 중·노년층 신체 건강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제품은 부족하다.
향후에는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중·노년층이 관심 있는 키워드인 면역력 강화, 심혈관 보호, 장 건강 등 기능성을 유제품에 부여한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