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출생율은 지난 몇 년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0~6세 영유아 수는 9839만 명에 달하며, 소비자의 생활수준 향상 등의 영향으로 2020년 중국의 영유아시장규모는 400억 위안(약 6조 8400억 원)을 넘어섰다.

중국의 영유아 식품은 주로 곡물, 영양보충상품, 보조 반찬, 보조 간식으로 나뉜다. 중국 식품 공업협회 전망산업연구원의 데이터에 따르면 곡물 보조식품의 시장 점유율은 55%이며, 영양보충상품, 보조 반찬, 보조 간식은 각 25%, 10%, 10%로 나타났다.
온라인·오프라인 구매채널 동반 성장

시장조사기관 iResearch 전망산업연구원에 의하면 올해 영유아 상품 구매 중 온라인을 통한 구매 비율 중 영아식품은 66%를 차지했다. 또한, 2020년 중국인터넷 영유아 신세대 연구보고 자료를 보면 코로나19 전후 영아식품의 구매 수요는 3위에서 2위로 한 단계 올라갔다.

전문매장, 백화점 및 슈퍼 등 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소비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어린 자녀가 먹는 음식인 만큼 전문 판매원의 상담을 받고 직접 보고 구매하길 원한다. iResearch 설문조사에 따르면 44.4%의 소비자가 영유아 전문매장에서 영유아 간식을 구매, 42.4%는 백화점, 슈퍼에서 곡물류 영유아 식품을 구매한다고 답했다.
코로나로 무역길 막히며 기회 생긴 중국 브랜드
중국 부모 소비자 사이에서는 하인즈(HEINZ), 네슬레(Nestlé), 카리케어(Karicare) 등 해외 브랜드의 인기가 가장 높았다. 2019 중국 영유아식품 브랜드 영향력 탑10 중 7개가 해외브랜드였으며, 가장 영향력이 있는 브랜드는 하인즈, 네슬레, 카리케어였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수출입무역이 제한되며 해외 영유아식품 브랜드 생산 및 수출에 차질을 빚으며, 중국 브랜드에게 기회가 찾아왔다. 1분기 중국산 영유아식품의 판매량이 전년대비 상승했다. 세분화 시장에서도 50% 이상의 네티즌이 중국산 영유아 식품을 구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66%의 네티즌은 중국산 곡물류 영유아 식품을 구매했다.
중국 영유아 식품 업계에서 상품 품질 불합격 문제가 자주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은 영유아식품을 구매 시 상품 안전문제를 가능 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 iResearch 전망산업연구원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61.3%의 중국 네티즌은 영유아 식품을 구매 시 상품 안전 문제를 가장 우선으로 고려한다고 밝혔다.
프리미엄 제품 선호하는 바링·지우링허우 부모
바링허우(80년대생), 지우링허우(90년대생) 등 젊은 연령대의 부모들은 식품 안전, 영양 성분을 더 꼼꼼히 따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품도 고품질, 유기농 재료를 사용한 프리미엄급 제품을 선호했다. 특히 네슬레와 리틀 프레디(Little Freddie)가 중국 프리미엄 영유아 시장을 선도하는 중으로, 2019년 두 기업은 동년대비 각각 28%, 50% 판매증가율을 보였다.

중국 정부의 영유아식품에 대한 감독 및 관리가 엄격해지고 젊은 부모들이 영유아의 영양건강을 더욱 중요시하게 되면서 미래 중국 영유아식품 시장은 프리미엄 및 유기농 상품군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자료참조 : kati 농식품수출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