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식품기업의 가장 큰 화두는 친환경 소재를 도입하고 불필요한 쓰레기 발생을 최소로 줄이는 ‘제로웨이스트(zero waste)’이다. Kati농식품수출정보에 의하면 코로나 이후 소비자들이 친환경과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상품 선택의 주요 선택 기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미국의 포장업체 쇼어 패키징(Schorr Packaging)이 팬데믹 당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의 58%가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포장지에 분명하게 기재된 식품의 구입을 원한다고 답했다.
또한, 글로벌 컨설팅기업 커니(Kearney)는 지난해 4월 팬데믹 기간 동안 식품 구매시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다고 밝힌 소비자는 83%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일기간 대비 12% 증가한 수치다.
식품기업 제너럴밀스(General Mills)는 자사 제품인 ‘네이처 밸리크런치 그래놀라 바(Nature Valley Crunchy Granola Bars)’를 올해부터 재활용 가능한 포장지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포장지에 상점 회수가 가능한 제품인지를 표기해 두었다.

적용 포장지는 독특한 폴리에틸렌 고분자를 사용하는 첨단 가공기술로 만들어졌다. 기존의 일회용 포장지와 비교했을 때 모양과 감촉이 약간 다르다. 새로운 포장지는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충분한 유통 수명을 확보하는 가능성을 갖췄다.

가까운 매장을 검색한 다음 포장지를 반납하면 되며, 다른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 포장지를 함께 가지고 와도 무방하다. 2025년까지 100% 재활용 가능한 포장을 상품에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네슬레(Nestle) 역시 플라스틱 오염 감소를 위한 투자를 늘려가고 있다. 자사 브랜드인 매기(Maggi)에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 포장지를 도입했으며, 제품 포장지의 재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단일 소재로 구성된 파우치를 사용하고 있다.

네스프레소 커피 캡슐의 80%가 재활용 알루미늄이 사용되었으며 무료 재활용 수거 프로그램 등 재활용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식음료 제조업체 레블(Rebbl)은 재활용 플라스틱 병을 도입한 최초의 기업 중 한 곳으로 자사 제품을 100%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생산하고 있다. 연간 2천만 개의 레블 병을 재활용함으로써 약 922톤의 온실가스 배출양을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