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장조사기관 코사트 리서치(Coresight Research)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현재 미국 소비자의 약 60%가 식료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객의 59.8%는 “코로나19 펜데믹 진정된 후에도 비슷한 빈도로 온라인채널을 이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4월 여론조사에 참석한 미국 성인 1,652명 중 59%가 지난 12개월 동안 “온라인으로 의료품을 구매한 적 있다”라고 답했다. 이는 2019년 36.8%에서 2020년 52%로 증가한 수치다.
코사트 리서치의 CEO인 데보라 웨인위그(Deborah Weinswig)는 “건강 위기는 2020년과 2021년을 거치며 온라인 식료품 채널을 통한 구매를 가속화 하는데 주요한 촉매제가 됐다.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자들 오프라인 상점과 레스토랑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동안 미국의 식음료 전자상거래 매출 증가(2020년 55.5억 달러, 전년 대비 81% 성장)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으로 식품을 더 구매했거나 온라인식품구매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온라인식품 구매비율은 지난 몇 년간 두 배 상승했다.
이는 2019년 소비자의 36.8%가 온라인에서 식품을 구매한 데 비해 2020년에는 52%, 2021년에는 59%로 증가하며 팬데믹 후에도 온라인 장보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선식품의 온라인구매 비율 급증
코로나19 사태 전에는 온라인을 통해 전반적으로 부패하지 않고 보존력 뛰어난 식품의 구매가 활발한 것에 반해 코로나19 이후 매장 방문을 꺼리는 불안 심리가 확산됨에 따라 온라인으로 신선 제품을 구매하는 비율 증가가 두드러졌다.
신선과일과 야채(+13.4%), 신선유제품, 계란, 육류 및 해산물(+10.3%), 냉동식품(+9.8%), 빵과 제과(+7.8%)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경로를 살펴보면 현재까지 온라인 식료품 쇼핑객들 가장 많 용한 경로는 아마존과 월마트다. 2021년 설문 참가자 중 응답자의 53.2%가 아마존에서 온라인으로 식료품을 구매, 월마트에서 구매한 사람 50.9%였다.

그러나 이는 2020년에 비해 각각 아마존(-9.4%), 월마트(-2.6%)에서 감소한 수치로 쇼핑 경로가 다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타 업체의 경우, 타겟은 28.3%(2020년 대비 +5.4%), 코스트코 17.3%(+2.1%), 홀푸드마켓 14.5%(+1.3%) 등으로 집계됐다.
또한, 온라인 쇼핑을 통해 제품 수령방식도 택배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픽업하는 방식에 비해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응답자 중 55.5%의 “소비자가 배달을 통해 온라인으로 식료품을 주문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달방식 사용자는 지난 12개월 동안 42.7%가 당일 배송을 사용했으며, 26.1%는 2시간 내 배송을 이용했다.
제품구매 시 상품평과 구매 후기를 볼 수 있는 파워리뷰스(PowerReviews)는 소비자들이 온라인쇼핑을 선택하는 이유로 코로나19 노출을 피하려는 욕구(49%), 충동구매를 피하려는 욕구(31%)를 꼽았다. 이외에도 제품과 가격을 쉽게 비교할 수 있음(24%), 제품 정보와 리뷰를 얻을 수 있음(22%), 식료품점에 가기가 어려움(20%) 등이 차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시장으로 이동한 소비패턴은 팬더믹 사태고 끝난 이후에도 지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