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지난해를 기점으로 UAE(아랍에미리트) 내 ‘무첨가(Free from)’ 식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유로모니터의 조사 결과 UAE의 2020년 무첨가 식품의 판매실적은 전년도 대비 10% 증가한 120.1백만 디르함(3천 3백만 달러)을 기록했다.

UAE 무첨가 식품시장은 향후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0%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제품범주와 소비규모 또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도 무첨가 식품 중 유제품이 함유되지 않은(Dairy-Free) 우유 품목이 전체 수요의 58%를 차지했으며 글루텐 프리(Gluten-Free) 제품의 수요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비건 트렌드 확산되며 식물성 유제품 소비 증가
비건식품 소비 트렌드 확산에 따라 식품 구매리스트에서 가능한 동물성 원료가 첨가된 제품을 제외하고 이를 대체할 만한 제품을 찾으려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콩, 아몬드, 코코넛, 귀리 등 식물성 재료를 사용한 우유제품이 인기를 끈다.

다국적 식음료 기업인 다논(Danone)의 알프로(Alpro) 비건우유가 현지 시장점유율 1위이며, 람 순(Lam Soon)의 소이프레시(Soyfresh) 제품도 수요가 높다. 치즈 또한 기존의 동물성 제품에서 식물성 원료로 만든 비건제품으로 대체하는 추세다.

최근 현지 조사전문기관 YouGov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기존섭취하던 유제품을 유제품 대체식품으로 바꿨다는 응답자가 전체 응답자의 약 50%에 달했다. 현재 UAE에서는 기존 우유 대체품과 유제품 대체식품의 수요가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꾸준한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육류와 생선을 모두 섭취하는 채식주의인 플렉시테리이니즘(Flexiterianism)¹ 트렌드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UAE 인구의 약 46%가 밀레니얼 세대라는 점에서 점점 더 비건 친화적인 소비성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UAE에서 증가하고 있는 식물기반 식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식물기반 식품업체 업필드(Upfield)에서는 100% 비건 및 알레르기 프리(Allergy-Free) 치즈 라인인 바이오라이프(Violife)를 출시했다.
바이오라이프(Violife) 식물성 치즈는 유제품, 방부제, 유당, 글루텐, 견과류, 대두를 포함하지 않고 코코넛오일을 베이스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이를 활용한 다양한 레시피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푸드 인톨러런스 네트워크(Food Intolerance Network)의 자료에 의하면 중동지역 인구의 60~80%가 유제품 섭취 후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나는 유당불내증을 겪고 있다.
모든 주요 대형 유통매장 및 리테일 체인에서는 락토프리 제품군이 매대를 채우고 있으며 향후 유통망 확대를 통해 락토프리 관련 제품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글루텐 과민증에 대한 우려로 인해 현지 소비자들의 글루텐 프리 식품 구매도 증가하고 있다. 식품업계에서는 통밀, 메밀, 퀴노아, 채소 등 건강에 좋은 재료를 추가하는 등 제품라인을 다양화, 세분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