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외식문화가 변화하며 중국 내의 HMR(가정간편식)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됐다.
2021년 티몰(T-MALL)에서 발표한 ‘춘절식품 TOP10’ 데이터에 따르면 HMR 관련 식품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16배로 증가했다. 징둥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1~2인소포장 반제품 식품의 거래액은 동기대비 3.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HMR의 주요 소비그룹은 80~90년 출생의 젊은 소비자들로 요리를 잘하지 못해도 집에서 간단하게 근사한 식사를 만들 수 있는 장점 때문에 HMR 식품을 선호한다.
최근 HMR 전문기업인 웨이즈시앙은 중국 1호 HMR식품 상장기업이 됐다. 중국 훠궈(샤브샤브) 전문 레스토랑 체인점인 하이디라오는 ‘카이반라 HMR’ 시리즈 제품을 선보였으며, 딩둥마이차이의 샤오롱샤 HMR 제품은 출시 45일 만에 매출액 170억 원을 돌파했다.

‘중국식품보망’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HMR 시장에서 B2B 및 B2C 비율은 약 8:2다. 레스토랑, 배달업이 HMR 소비의 80%를 차지한다. 특히 프랜차이즈 식당에서 선보이는 요리의 60% 이상은 냉동 HMR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업소용 HMR 식품’을 검색하면 대부분 냉동보관 상태에서 유통기한이 365일 이상이라고 고지돼 있어 안정성을 불안하게 보는 시선도 존재한다.
일부 소비자들은 HMR이 실제 요리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받아들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미리 가공해 놓은 상태로 인해 전통요리의 색, 향, 맛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도 말한다.
이러한 논쟁을 종결하기 위해 HMR업계에서는 식품안전 및 영양부족 등에 있이 전문가의 의견을 제공했다. 광시식품안전전문위원회의 전문가 류샤 오링은 “영양 측면에서 식재료 원산지, 영양성분, 가공방식 등 다양한 요소와 관련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제조한 요리가 HMR보다 더 영양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라고 밝혔다.
또한 “식품에 별도의 방부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과학적 포장, 급속냉동기술(-18°C), 콜드체인 등 기술을 활용하면 운송과정에서 최대한 식재료의 신선도와 영양을 보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그는 “HMR의 생산자가 식품생산허가를 보유하고 시장 감독관리 방식에 따라 집중적으로 식재료 구입, 제조,포장, 운송을 하므로 식품안전 관련기관에서는 HMR을 통해 식품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