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중국 사회 소비품 리테일 총액은 전년 대비 3.93% 떨어진 반면, 조미료 제품업계에서 기업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6.26% 증가하였다. 중국조미품협회 바이옌은 중국 조미료 제품업계 현황과 추세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소비행위와 소비패턴의 변화에 조미료 제품업계의 유통채널 체계도 따라서 업데이트되고 있지만 조미품의 소비는 여전히 외식업, 일반 가정으로 유입되는 유통채널과 식품 가공 세 분야에서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2020년 외식 소비금액은 전년 대비 15% 적어졌지만 2021년 1월~5월 외식업 소비액은 전체적으로 회복됐다. 2019년 동기 대비 1.3% 초과해 외식업에서의 조미료 제품 시장침투의 기반을 마련했다.
중국 GDP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유통업은 최초의 농촌 재래시장에서 백화점 상권, 대형 유통매장, 쇼핑센터와 더불어 편의점, 동네 마트, 전문 체인점, 전자상거래 플랫폼, 뉴리테일 등 판매 경로를 확장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볼 때, 티몰, 징동 등 전통적인 플랫폼 외에, 최근 2년간 핀둬둬 등 공동구매 플랫폼도 조미료 제품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채널 중의 하나로 빠르게 성장해왔다.
이외에 타오바오 라이브, 틱톡, 콰이를 위주로 하는 라이브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전자상거래 플랫폼 채널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새로운 형식이다.
오프라인을 볼 때, 신선 식자재와 밀키트 즉시 배송, 샤브샤브 식자재 전문점 등 각종 오프라인 전문 체인점은 조미료 제품의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내고 있다.
소비자가 식품 소비 시 더욱 다양한 관능적, 높은 단계의 건강과 다차원적인 감정 수요에 관심을 기울이며 ‘혁신과 업그레이트’s는 식품 브랜드가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간식, 식사 대체 라이트 푸드, 인스턴트 식품, 밀키트 등 유형의 식품에서 조미료 제품에 대한 수요가 가장 뚜렷하고 조미품의 영향을 직접 받는다.
저염, 저당, 저지방, 저칼로리, 풍부한 식이섬유 위주의 라이트 식사 대용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샐러드와 드레싱 등이 주요 라이트식품류 맛의 핵심으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 외에도 코로나19 사태는 인스턴트 식품의 수요를 자극했다. 중국의 주요 온라인몰인 티몰의 2020년 인스턴트 식품의 누적 매출액 증가는 2019년 대비 26배를 기록했고 이는 인스턴트 라면 수프의 수요도 이끌었다.
동시에 홈코노미의 흥행으로 즉석조리식품, 즉석섭취식품이 B2B에서 B2C로도 점차 일반 소비자에게도 침투하고 있다. 작년 티몰에서 관련 제품의 매출은 동기 대비 111%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