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무(無)첨가, 저(低)첨가, 저(低)칼로리를 내세운 ‘BFY(Better for you)’ 제품이 확산되고 있다.
홍콩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저나트륨, 저당 캠페인을 실시하고, 유통업계의 BFY 마케팅 전략에 힘입어 판매량이 확대됐다. 코로나 이후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소비 트렌드와 함께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유로 모니터에 따르면, 홍콩의 2020년 BFY 포장식품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약 6.4억 홍콩 달러(한화 약 949억 원)이며, 2025년까지 연간 3.1%, 약 7억 홍콩 달러(한 화 약 1,107억원)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품명보다 강조되는 칼로리 정보

식품업계에서는 소비자의 높아진 건강 인식과 요구를 반영한 제품을 출시하고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칼로리, 설탕, 지방 함량 등 영양 정보를 제품 전면에 내세운 제품이다.

드레이어스(Dreyer's)는 2020년 무지방·생과즙 샤베트를 출시하고 제품 칼로리를 포장 전면에 표시하여 저칼로리 제품이라는 정체성을 소비자에게 각인시켰다.

파예(FAGE) 요거트는 무지방(0% FAT)과 설탕·단백질·칼로리 정보를 표기해 건강한 이미지와 신뢰감을 주었다.
강력한 셀링포인트 ‘무(無) 첨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은 동물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공중보건을 위협했는데 이로 인해 육류에 사용된 항생제와 성장 호르몬이 소비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언론을 통해 육류에 사용된 호르몬이 암과 성조숙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짐에 따 라 무(無)호르몬(hormone-free) 등 건강한 육류를 선택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최근에는 육류 진열대에서 ‘무(無)항생제 (antibiotic free)’, ‘무호르몬’ 등을 전면에 표기해 안전성을 강조한 제품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건강을 더한 자매품으로 제품군 확대
기존의 인기제품에 BFY 요소를 더한 자매품 출시도 활발하다.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하며 기존 고객+건강을 중시하는 새로운 수요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음료 소스류, 유제품, 잼 등 비교적 설탕·소금·지방 함량이 높은 카테고리에서 BFY 신제품 출시가 활발한 편이다.
홍콩의 음료 브랜드 비타(Vita)는 기존 제품에서 설탕을 줄이거나 뺀 음료 를 출시했으며, 홍콩 식품브랜드 이금기(Leekumkee) 역시 소 금 함량을 줄인 간장, 굴소스를 출시하는 등 BFY 대열에 합류 하고 있다.
고급 유통매장을 중심으로 제품 진 열대에 가격과 함께 제품의 BFY 관련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매장이 늘고 있다.
가격 정보와 함께 설탕·인공색소·호르몬·유제품·MSG 무첨가 제품은 별도로 표시하고 있어 일반 제품과 차별화하는 동시에 식품 구매 시 가격과 함께 건강 관련 정보를 중시하는 소비자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쇼핑몰 HKTV몰(HKTVmall)은 <Less Sugar Less Salt(설탕과 소금 감소 제품)>을 별도로 분류하고, 이를 온라인쇼핑몰 메인페이지에 전용 카테고리로 운영하는 등 소비자의 검색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자료.Kati 2021지구촌리포트 11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