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한 커피 소비 시장보다 중국인들에게 치즈는 인지 향상과 소비 증가의 '이륙' 단계에 있다. 관련 업계 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치즈 1인당 소비는 0.51kg으로 일본 2.56kg 및 한국 3.14kg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에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중국인의 소비 증가 및 치즈 소비에 대한 인지 기초가 생기면서 중국 치즈 소비 시장은 급성장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유로모니터 데이터를 보면 2020년 중국 치즈 시장 규모는 88.43억 위안(약 1조6천억 원)에 달해 2019년 동기 대비 22.7% 성장, 2006~2020년 기간 치즈 시장의 연간 복합성장률이 20%를 넘었다.

중국의 유제품 가공 브랜드들은 영양 수요가 많은 유아, 청소년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있다. 중국 유명 치즈 브랜드 ‘밀크라운드(MILKGROUND)’는 산하 핵심 제품인 어린이용 치즈바는 미국, 일본 등 어린이 애니메이션의 유명 IP와 손잡고 어린이의 소비 심리를 성공적으로 공략했다.
올해 8월 발표한 영업실적 보고서에서 순이익이 1억1,200만 위안을 기록해 작년 동기 대비 247.1% 증가하여 기대 이상의 실적을 냈다.

그 이외에 어린이 치즈 시장에 진입한 브랜드로는 Milkfly 및 JUNLEBAO, CHEERSTON, 신예 브랜드 치즈박사(奶酪博士)등이 있다. 해당 기업들은 어린이 치즈 소비를 시작으로 제품의 포지셔닝을 넓혀 성인화, 간식화, 기능화로 발전하고 있다.

MIUFO는 중국 내 최초 100% 신선 치즈 Kvarg cheese를 출시하였다. 무가당, 무첨가, 1컵당(120g/컵) 9.6g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12억 LGG 프로바이오틱을 첨가한 건강 치즈다.

Yili(伊利) 산하 치즈 브랜드 묘즈(妙芝)는 치즈를 간식화 시키며 견과류를 추가한 새로운 치즈 제품인 카즈추이(咔芝脆)를 출시했다. 치즈(동물성 단백질)+견과류(식물성 단백질)의 이중 단백 영양 효과를 달성하는 동시에 냉장 필요 없이 상온보관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