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베트남의 평균 출생률은 2.09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 출산율 대비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이에 따라 베트남 영유아 식품시장의 규모는 꾸준히 성장 중이며,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여유시간이 부족한 하노이, 호치민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간편 영유아 식품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키 키는 분유’로 인기인 한국 분유 제품
2020년 대(對)베트남 영유아 식품 한국의 수출액은 약 19.2백만 달러로 일본, 싱가포르, 유럽, 호주에 이어 5위이나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다. 한국산 분유는 현지에서 안정성 및 신뢰도가 높은 프리미엄 제품으로 인식된다.
베트남에 한국의 키 성장 분유인 하이키드(HiKid)의 열풍이 불고 있다. 한류 열풍에 따른 K-푸드 식품 열기 속에서 키 성장에 관심이 많은 베트남 부모의 니즈를 집중 공략 하는 전략이 통했다.

조제분유 생산업계의 최대 위협요인 중 하나인 저출산 문제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경쟁업체의 상황과는 다르게 해당 업체는 ‘성장·발육’을 셀링 포인트로 설정한 분유를 선보였다.
이와 함께 한국 인기 가수를 광고 모델로 발탁하는 등 대대적인 마케팅을 통해 베트남 엄마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며 작년 289억 원의 매출(’19년 대비 68% 상승)을 달성했다. 베트남 시장 성공을 발판으로 인접한 캄보디아, 태국 등으로 시장 확장에 나설 예정이다.
베트남 영유아 식품 유통 현황
유로모니터의 베트남 영유아 식품 조사결과에 따르면 비나밀크(Vinamilk, 28%), 누티푸드(Nutifood, 18.7%), 애보트(Abbott, 16.9%) 등의 순으로 베트남 국영 기업인 비나밀크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영유아 식품의 경우 완제품이 베트남으로 수출되는 반면 애보트 등 다국적 기업들은 싱가포르, 태국 등 베트남 주변 동남아시아 국가에 있는 시설 및 유통 거점을 활용해 베트남으로 상품을 수출하고 있다.
베트남으로 수입된 분유 등 영유아 식품은 대형 유통매장 및 영유아용품 전문매장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상황과 더불어 제품 비교가 용이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하는 소비자도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영 유아용품 전문 판매점으로는 비보마트(BIBO MART), 꼰꿍(Con Cung) 등이 있다. 베트남 내 최다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꼰꿍 은 2011년 설립되어 전국 500여 개 매장에서 유기농 제품 및 다양한 분유를 판매한다.

최근에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현지 소비자들의 니즈에 따라 유기농 영유아 식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매장도 늘고 있다.
자료.aT지구촌리포트 11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