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인사이트] 비거노믹스가 온다, 글로벌 비건 식품 동향

환경보호, 가치소비가 식품 소비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잡으며 비건식품, 대체육 시장이 코로나19 기간동안 빠르게 성장해왔다. aT에 따르면 세계 식물성 대체육 시장규모는 2020년 60.7억 달러였으며, 2025까지 110.3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 맞춤 식품에 대한 요구 증대와 함께 동물복지, 환경 지속성에 대한 관심사는 갈수록 커지고 있어 비거노믹스(Veganomics)는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식품외식 업계의 주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1년에 발표한 ‘대체 단백질 식품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대체육 시장은 2030년 전 세계 육류시장의 30%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대륙별 식품성 대체육 시장 점유율을 보면 유럽(37.4%), 북미(27.3%), 아시아·태평양(22.7%)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북미가 유럽보다 높은 점유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의 비건 인구는 약 100만 명 추산되나 비건 식단을 선호하는 인구는 970만 명으로 조사됐다. 나아가 미국인의 39%가 건강을 이유로 비건식을 실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기준 비건 전문 음식점은 1천 474개이며, 소비자 수요에 맞춰 비건 메뉴를 추가해 판매하는 곳이 늘었다. 미국의 주요 식물성 대체식품 기업으로는 타인슨 푸즈, 비욘드 미트, 켈로그, 데이야 등이 있다. 초기 육고기를 대체하는 상품군에서 시리얼, 치즈케이크, 피자 등으로 다양해졌다.

 

 

영국은 한달 간 비건으로 지내는 서약인 비거너리(Veganuary) 운동 활발히 이뤄지며, 2020년 1월에 이에 참여한 수는 12만 명으로 코로나 발생 전보다 10만 명이나 증가했다.

 

 

한편 세계 최대 돼지고기 소비국인 중국도 아프리카 돼지 열병, 코로나로 인한 육고기 수급 불안정으로 인해 대체육 시장이 성장했다. 중국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Dicos는 500개 매장에서 식물성 달걀 패티를 넣은 채식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식물성 대체육 관련 스타트업(Zhenmeat, StarField 등)이 등장했다.

 

 

네슬레는 자사 글로벌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인 하베스트 고메를 출시하고 텐진에 대체육 공장을 가동 중이다. 스타벅스는 비욘드미트와 협업해 채식 메뉴를 선보이고 상하이에서 전체 메뉴의 50%가 채식인 녹색 가게를 오픈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식품Biz] 식품진흥원, 세계로 도약할 글로벌 유망 식품 선정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하 식품진흥원)은 국내 식품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유망식품 선정평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원하는 ‘통합마케팅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K-Food의 세계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략적 자리로 마련됐다. 최근 K-Food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이번 선정평가회에서는 수출전문기관, 농식품 수출 전문가, 국내외 유통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평가단이 참여해 심층평가를 통해 해외시장진출 가능성이 높은 40여개 식품기업의 제품들이 선정됐다. 식품진흥원은 이번 평가회를 기반으로 오는 6월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국제 식품박람회 ‘Summer Fancy Food Show’에 국가식품클러스터 공동관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선정된 유망 식품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을 선보이고 해외 바이어들과 직접 상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식품진흥원은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운영하고,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전라북도 등 유관기관과 협업해 수출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덕호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서울 3대 ‘삼계탕&닭한마리칼국수’ 비법 전수과정 열려
맛집 창업의 꿈을 꾸는 예비창업자, 업종변경과 메뉴, 요리기술 등의 보완을 고민 중인 자영업자를 위한 솔루션 과정이 주목받고 있다. 30년 경력의 외식전문컨설팅기업 ㈜알지엠컨설팅 산하 교육기관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의 ‘외식창업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맛집 브랜딩 전략부터 메뉴개발, 비법전수 등 외식업 경영의 핵심 노하우를 전한다. 이번 교육에서는 진한 ‘들깨삼계탕’ 하나로 '서울 3대 문파' 오른 ‘삼계탕 비법’과 동대문 ‘닭한마리칼국수’로 서민갑부 반열에 오른 식당의 비결을 전수한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 삼계탕 전문점을 비교·분석해 현장에서 직접 시연·시식하고 교육생들에게 검증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일선 요리학원과 차별화 된 현장기술 전수 프로그램으로, 기술이전 비용만으로 메인 상품부터 각종 찬류 등 한상차림까지 사업현장에서 바로 적용가능토록 몸에 익을 때까지 충분한 반복 연습을 지원한다. 2025년 복날 성수기 전, '삼계탕'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4월 17일, 전문식당 메뉴개발 전수과정, 식당 게시 바로 가능 이번 삼계탕&닭한마리칼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