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오카야마현에 가면 셀프서비스의 원조격인 우동집 ‘수제우동 메이겐(名玄)'이 있다. 이곳은 1976년에 개업하면서부터 완전 셀프 서비스 방식을 고수해오고 있다. 우동 1그릇 100엔! 파격으로 승부보다 ‘수제우동 메이겐(名玄)'을 창업하며 당시 히라이 요시카즈 대표는 고민해 빠졌다. ‘수제우동 메이겐(名玄)'이 위치한 오카야마현의 오카야마시는 우동으로 유명한 도시가 아니었다. 더욱이 인접한 곳에 일본 우동의 성지라 불리는 사누키우동의 가가와현이 버티고 있었다. 요시카즈 대표는 후발주자로서 이목을 끌고자 파격을 선택했다. ‘수제우동 메이겐(名玄)'은 가격을 무기로 하고자 우동 한그릇 가격을 100엔으로 정했다. ‘우동 한그릇 100엔’을 실현하기 위해선 음식 외에 다른 곳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요시카즈 대표가 생각한 것이 손님이 직접 우동을 만드는 셀프 방식이었다. “가격을 싸게 하며 가게 살림을 꾸리려니 운영 비용을 최소화해야 했다. 고깃집에서 손님들이 직접 고기를 구워먹는 것처럼 우동집에도 적용해보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떠올랐다. 물론 당시는 ‘셀프’라는 단어를 쓰지도 않을 때였다.” 생소했던 셀프 방식 이해시키려 고생해 처음에는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
일본의 역동적인 식품 수출 산업이 주목받는 가운데 RX Japan이 주최하는 ‘일본 식품 무역 전시회 WINTER 2025(JAPAN’S FOOD EXPORT FAIR WINTER 2025)’가 12월 3일부터 5일까지 마쿠하리 멧세(Makuhari Messe)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11회를 맞이한 이번 전시는 글로벌 식음료(F&B) 산업의 소싱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확장을 촉진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전시회는 수출 준비가 완료된 일본 식품 공급업체와 글로벌 바이어들을 연결함으로써 무역 활성화를 가속화하고, 일본의 최고급 식품 및 음료 제품(한정 및 희귀 품목 포함)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글로벌 식품 무역을 위한 매칭 허브 일본 식품 무역 전시회 WINTER 2025에는 약 500개 사 전시업체와 20개 국/지역에서 약 1만5000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가할 예정이다. 수입업자, 도매업체, 리테일러, 외식업체, 무역회사 등 일본 식품 라인업을 확장하고자 하는 업계 관계자에게 최적의 장이 될 것이다. 사전 등록 방문객은 전시 전 비즈니스 매칭 시스템을 통해 미팅 일정을 조율하고, 전시업체 프로필을 확인하며, 사전에 미
일본 시즈오카현이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1일까지 , 4일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Food Week Korea2025)에 참가한다. 시즈오카현 서울사무소는 이번 식품산업전 참가를 통해 우수한 품질의 시즈오카현산 특산품을 국내에 알리고 수입을 희망하는 바이어를 생산자와 연결해 판로 확보를 지원한다. 시즈오카현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와사비는 후지산의 깨끗한 물에서 자라 맑은 향기와 맛있는 매운맛으로 유명하며, 국내 유명 일식당 셰프들도 즐겨 사용한다. 또한, 시즈오카현은 일본 내 녹차 생산량, 출하액으로 약 40%를 차지하는 일본 대표적인 녹차 생산지로써 일본의 차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따뜻한 햇볕, 깨끗한 물, 해안에서 불어오는 바람 등의 차 재배에 적합한 기후 조건과 오랜 차 재배 전통이 만나 최고급 녹차를 만들어낸다. 본전시회에서는 시즈오카산 말차를 사용하여 다양한 음식에 활용할 수 있는 말차 페이스트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시즈오카현 내 식품기업 5개사의 우수한 가공식품 약 20여종이 출전을 예정하고 있으며, 일부는 판매 및 시식도 가능하다. 특히 올해는 시즈오카현의 녹차를 사용한 말차 페이스트와 젊은이들에게 인기 있
업장명 오사카부를 상징하는 새, ‘때까치’를 뜻한다. 오픈을 위해 협력한 <이치마츠>와 <토리키조쿠> 모두 오사카에 거점을 둔 곳으로, 그 정체성을 세계로 확장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인물 윤성호 점장은 일본 츠지 조리사 전문학교에서 수학한 후 오사카의 미쉐린 1스타 야키토리 <이치마츠>에서 수련하던 중, 이번 글로벌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됐다. 현재 주방에는 김근태 수셰프, 츠지 동문인 김원 매니저, 박준혁, 김호균 사원이 팀으로 함께 근무 중이다. 계기 <이치마츠>와 일본의 유명 야키토리 체인 <토리키조쿠>의 협업으로 시작된 글로벌 프로젝트. 일식 대표 요리로 언급되는 스시, 라멘처럼 야키토리 또한 그 중심에 올려놓기 위한 첫걸음으로 서울에 업장을 열었다. 장르 야키토리 오마카세 다이닝. 충주와 파주 지역에서 자란 토종닭 ‘한엽3호’ 품종을 사용하며, 닭 벼슬과 내장까지 버리는 부분 없이 닭 한 마리의 모든 요소를 요리한다. 한국의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수프, 식사, 디저트를 곁들인 총 17-18 코스로 즐길 수 있다. 대표메뉴 ‘네기마’는 닭다리 살을 껍질로 감싸고 대파와 함께 꼬치에 꿰어 닭의 지방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