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환경문제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 수준이 올라가며 친환경적인 제품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재활용 편리성과 쓰레기 배출량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한 무라벨 용기가 최근 각광받는 이유다. 일본의 음료업계도 기존 상품의 라벨을 제거 후 묶음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아시히 음료는 지난 6월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자사의 제품 ‘아사히 16차’를 홍보하는 ‘시작하자! 에코활동(始めよう!エコ活)’이란 주제의 판매대를 전국 매장에 배포했다. 아시히 16차 브랜드는 친환경 소재(PET 재생 수지, 바이오 소재 수지)를 사용한 용기를 채택했으며, 부착된 라벨에는 바이오매스 잉크를 사용했다. 올해 3월 친환경 소재로 리뉴얼을 단행한 이후 3~4월 매출은 전년 대비 15% 증가했다. 또한, 아사히음료는 2018년부터 묶음 상품의 경우 ‘아시히 맛있는 물’ 생수 페트병에 라벨을 붙이지 않고 출시하고 있으며, 2019년 이후 관련 카테고리를 늘리고 상품 라인업을 확충해왔다. 2020년 식별 표시에 관한 제도가 변경됨에 따라 올해 4월부터는 단품 상품의 롤 라벨을 필요한 표시 내용만 기재된 소면적의 ‘단순 에코 라벨’로 부착하기 시작했다. 에코 라벨을 사
한류 콘텐츠의 인기가 한식으로 이어지며 치킨, 삼겹살, 치즈핫도그 등 대중적인 메뉴들이 일본 2030세대를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그중 한국의 포장마차는 한류 문화의 발신지인 도쿄 신오쿠보 코리아타운에서 가장 인기를 끄는 매장이다. 코로나 탓으로 한국 여행을 올 수 없는 상황이고, 한류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즐기던 회식 문화를 체험해 보려는 수요에 부흥하고자 포장마차 콘셉트의 매장은 지금도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지난 몇년간 등장한 일본내 한식 포장마차를 보면 완전한 한국식을 표방한다. 간판은 물론 매장에 비친된 홍보물에 일본어 대신 한글 단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메뉴는 삼겹살, 순두부찌개, 떡볶이, 치킨 등 젊은 세대가 좋아하는 한국 음식은 거의 다 판매한다. 저도수의 레몬사와가 현지에서 인기를 끄는 것과 대조적으로 포장마차에서 만큼은 우리나라 소주, 막걸리에 대한 선호도도 높다. 도쿄도 주오구의 바쿠로요코야마역 근처에는 ‘돼지 대문 시장’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한국 전통시장 냄새가 물씬 풍기는 포장마차가 문을 열었다. 2011년부터 바쿠로초에 1호점을 운영했으며 4차 한류 열풍이 일며 올해 요코하마, 시부야에 2,3호점을 차례로 오픈했다. 상호는 일본인이
지난 6월 18일 중국 상반기 최대의 쇼핑 축제인 ‘618 쇼핑축제’를 맞아 수많은 차 음료 브랜드가 각종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신제품 판촉 행사를 진행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행사 기간 동안 차브랜드 헤이티(喜茶)의 온라인 거래 총액은 2,000만 위안(한화 약 35억 원), 차옌위에서(茶颜悦色)가 출시한 신제품 ‘쉐이킹 버블티’는 출시 1시간 30여 분 만에 2만 개의 상품이 완판됐다. 차 음료 시장의 소비연령이 낮아지며 기업에서는 젊은 소비층을 겨낭해 독특함과 창의성이 있는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중국 <2020년 신(新)차 음료 백서>에 따르면 신개념 차 음료의 주요 소비자는 90년대생과 00년대생으로, 전체 소비자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27%가 매달 차 음료에 400위안(한화 약 7만 원)을 지출하고, 31%가 매달 200-400위안(한화 약 35,000원-7만 원)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개념 차 음료 브랜드들은 온라인 및 차별화된 마케팅을 통해 기존 고객의 유지와 새로운 고객의 유입을 모색하고 있다. 나이쉐더차(奈雪的茶)는 새로운 마케팅과 고객 유지 전략으로 온·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차 음
중국 과일주스 시장에서 프리미엄급의 NFC(비농축주스) 제품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 정보에 따르면 중국 국민의 소비력이 높아지며 첨가물을 혼합하지 않은 100% 과일 생착즙주스를 찾는 수요가 늘기 시작했다. 중국 전망산업연구원의 데이터에 의하면 2015~2019년 중국 과일주스 시장은 비교적 불안정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19년 기준 시장 규모 약 1,219.7억 위안(한화 약 21조 2,2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2020년에는 1,272억 위안(한화 약 22조 1,300억 원)을 기록하며 최근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과일주스의 영양과 맛, 그리고 과일함유량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저농도 과일주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낮아졌다. 현재 중국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과일주스 상품은 과일 농도와 유통기한 등 차이에 따라 일반 과일주스, 100% 착즙 과일주스(FC, NFC)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NFC 과일주스의 판매량 및 시장 규모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갈수록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가 더 건강하고 영양가 있는 식품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
미국 시장조사기관 코사트 리서치(Coresight Research)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현재 미국 소비자의 약 60%가 식료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객의 59.8%는 “코로나19 펜데믹 진정된 후에도 비슷한 빈도로 온라인채널을 이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4월 여론조사에 참석한 미국 성인 1,652명 중 59%가 지난 12개월 동안 “온라인으로 의료품을 구매한 적 있다”라고 답했다. 이는 2019년 36.8%에서 2020년 52%로 증가한 수치다. 코사트 리서치의 CEO인 데보라 웨인위그(Deborah Weinswig)는 “건강 위기는 2020년과 2021년을 거치며 온라인 식료품 채널을 통한 구매를 가속화 하는데 주요한 촉매제가 됐다.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자들 오프라인 상점과 레스토랑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동안 미국의 식음료 전자상거래 매출 증가(2020년 55.5억 달러, 전년 대비 81% 성장)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으로 식품을 더 구매했거나 온라인식품구매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온라인식품 구매비율은 지난 몇 년간 두 배 상승했다.
태국 최대 식품기업인 CPF(Charoen Pokphand Foods PLC)는 PLANT-TEC 기술혁신을 통해 실제 육류와 같은 맛과 모양을 갖춘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인 ‘미트 제로(MEAT ZERO)’를 지난 5월 출시했다. 미트 제로를 2022년까지 아시아 최고의 대체육 브랜드로 성장시키고, 2026년에는 세계 3위의 브랜드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태국 전역의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과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CPF는 태국을 비롯한 전 세계 농업 및 식품산업을 선도할 대체육류 연구개발을 위해 총 2년를 투자했다. CPF 연구개발센터는 미국, 일본, 대만의 유명한 전문가와 태국 두 대학교(Chulalongkorn, Mae Fah Luang)의 식품 분야 과학자들과 협력해 고기와 유사한 식감, 맛, 향을 만들고자 공을 들였다. 미트 제로는 장에 유익한 고섬유질 식물성 단백질과 콜레스테롤을 낮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육류 소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삶을 추구하며 식물성 식품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늘고 있다. 향후 5년간 중국과 태국의 식물성 고기에 대한 수
최근 중국에서는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망고말랭이, 냉동건조 딸기 등 과일스낵이 점점 많은 소비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가 중국 과일스낵 시장 전망을 전했다. 시장연구 및 컨설팅업체 ‘팩트.미스터(Fact.MR)’의 글로벌시장 인사이트에 따르면 2025년까지 아시아태평양지역 과일스낵의 시장가치는 9.5억달러(약 1.1조원)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 인구 순위 1위 국가인 중국과 인도(2위) 등에서 국가주도로 식품영양 성분에 대한 소비자의 건강 인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과일 스낵 제조업체에서는 까다로운 저장조건과 짧은 유통기한 등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식품 공정의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고, 시장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소비트렌드에 부합하고자 저당, 첨가제 무첨가를 내세운 과일스낵을 개발한다. 산즈송수, 량핀푸즈, 바이차오웨이 등 중국의 대표적인 간식 브랜드는 끊임없이 신제품을 출시하며 과일 스낵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바이차오웨이의 왕홍 망고말랭이, 궈위엔라오농의 프룬말랭이 등 제품이 인기를 끈다. 코로나 시기 과일스낵이 인기를 끄는 요인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베트남은 K-Pop과 박항서 감독의 인기로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하며 떡볶이, 김밥, 삼겹살 등과 같은 한식 프랜차이즈 매장이 연이어 생겨났다. 특히 현지 MZ세대의 입맛에 맞춘 ‘한국식 매운맛’의 대표주자 떡볶이의 인기가 가장 뜨겁다. 베트남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한국 기업으로는 무한리필 떡볶이 프랜차이즈 ‘두끼 떡볶이’가 대표적이다. ‘두끼 떡볶이’는 139,000동(한화 7,5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무한리필로 떡볶이를 먹을 수 있다는 점과 뷔페식으로 구성돼 모음을 즐기는 현지인들의 수요를 충족시켰다. 예약을 하지 않으면 2~3시간을 대기할 정도로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끌고 있었다. 2018년 호치민 1호점을 시작으로 현재 베트남 전 지역에서 약 50여개의 매장이 운영 중이다. 라이스페이퍼 떡볶이는 최근 SNS에서 단연 화제를 끌고 있는 레시피이다. 쌀가루로 만든 얇은 쌈 종이인 라이스페이퍼는 베트남의 여러 음식(월남쌈, 샤브샤브, 튀김류 등) 재료로 사용된다. 라이스페이퍼를 돌돌 말아 기다란 떡볶이 떡처럼 만들어 양념, 어묵, 야채 등을 넣고 조리한다. 20,000동/300g(한화 1,000원)이라는 저렴한 비용을 들여 집에서 그럴싸한
Kati농식품수출정보가 한국 드라마의 영향으로 캄보디아에서 2020년을 기점으로 수출량이 급격히 증가한 고추장 등 ‘K-Sauce’의 소식을 전했다. 2020년 캄보디아 소스류 수입 규모는 2,973만 달러에 달한다. 국가별 순위를 보면 태국이 2,166만 달러로 압도적으로 많다. 1위를 차지한 것은 티파로스(Tiparos) 피쉬소스와 헬시보이(Healthy Boy) 간장 같은 글로벌 소스 브랜드의 제조공장이 태국에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그 뒤로 중국 281만 달러, 베트남 271만 달러, 싱가포르 66만 달러이며, 한국의 경우 캄보디아 소스류 수입국가 비중 중 8위를 차지했다. 2016년부터 5년 동안 한국의 대(對)캄보디아 소스류 수출액 성장률은 연평균 15.5%를 보였으며, 고추장이 연평균 68.1%, 고추장 외 장류가 3.4% 그리고 기타 소스류가 21.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나 고추장 수출액은 2020년 442천달러(약 5억원)로 2019년보다 143% 증가했다. 최근 한국 드라마가 현지에서 인기를 끌며, 떡볶이 및 비빔밥의 주재료인 고추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또한, 수요가 늘어난 이유로는 태국내 분식점 수 증가와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유형에 따라 분해되기까지 500년이 넘는 시간이 걸리기도 하며, 5mm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은 결국 음식을 통해 우리 몸속으로 다시 들어온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일본의 기린 맥주 주식회사와 기린 주식회사 및 주식회사 로손은 7월 15일부터 양사의 인프라를 활용해 자체 개발한 페트병 회수기를 현장에 도입하고 있다. 로손 요코하마 신코야스점을 시작으로 페트병 회수기 설치를 본격화한다. 두 기업은 사회적책임(CSR)을 다하고자 ‘플라스틱이 계속 순환되는 사회’ 실현을 목표로 페트병 재사용을 촉진 시킬 계획이다. 기린 그룹이 제작한 페트병 회수기를 전국에 매장을 보유한 로손의 인프라를 이용해 빠르게 늘려나간다. 고객이 매장에 방문할 때 집에서 다 쓴 페트병 용기를 가져와 회수기에 넣으면 간단히 끝난다. 매장에서 모아진 페트병은 기린의 자회사인 도쿄 기린 서비스의 자판기 운영망을 통해 수집·운반돼 효율적으로 재활용 공장에 반입된다. 페트병 회수에 참여하는 고객에게는 즉각적인 보상이 이루어진다. 회수된 페트병 5병당 폰타포인트 1점을 모을 수 잇다. 적립된 포인트는 로손을 포함해 JAL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