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소비를 중요시하는 Z세대(90년대 중반 이후 출생)가 환경문제, 동물 윤리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식물성 식품 소비를 선택하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식품 시스템은 현재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특히 축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5%를 차지한다. 즉 식품 시스템 내에 축산업을 줄이면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다. 지난해 Food for Thought의 보고서에 의하면 2035년까지 대체 단백질, 즉 식물기반 식품의 점유율을 11% 유지한다면, 항공산업의 95%를 탈탄소화하는 데 충분한 탄소가 상쇄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사회생활을 하며 Z세대의 구매력이 올라감에 따라 식물성 식품 시장도 더 큰 성장이 예상된다. 현재 Z세대의 79%는 일주일에 하루는 고기를 먹지 않기로 선택하고, 65%는 식물성 식단을 원한다고 응답했다. Z세대에게 최근의 트렌드는 ‘비건’(Vegan)도 ‘채식주의자’(Vegetarian)도 아닌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이다. 이들은 비건보다 유연한 채식 식습관을 가치고 동물성 제품을 의도적으로 적게 소비하는데 더 중점을 둔다. 식물성 식품을 주식으로 하며, 일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높은 성장을 보인 HMR(가정간편식) 식품이 어린이 시장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중국에서 어린이용 HMR 식품은 특히 2·30대 맞벌이 가정에 있어 자녀의 식사를 간편하게 해결할 뿐만 아니라 균형적인 영양을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부모들의 신뢰와 인정을 받고 있다. 어린이 HMR 식품 전문브랜드 이야(怡芽)는 3~12세 아동을 위한 HMR 식품을 생산하며 현재까지 5가지(파스타, 중국식 국수, 어린이용 양념 소스, 김자반, 소세지) 시리즈를 출시했다. 설립 1년 만에 월 매출액 1,000만 위안(한화 약 20억 원)을 돌파하며 어린이 HMR 식품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증명했다. 딩망(町芒) 연구원이 발표한 <아동 간식 산업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70.9%의 어린이는 간식을 고를 때 유일한 선택 기준으로 포장 디자인을 꼽았다. 이에 어린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HMR 식품 역시 미학적인 면을 중시하여 제품 포장 시 다양한 색을 사용하고, 귀여운 동물이나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사용해 디자인하고 있다. 징동(京东)이 공개한 <2022 즉석식품 소비 트렌드 보고서>를 보면 건강
미국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전반적인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도 불구하고, 쿠키는 지속적으로 판매량을 늘려가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프라이빗 라벨 상품 및 소규모 브랜드가 미국 쿠키시장에 등장하며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미국 내 많은 식품업체들이 잠재적인 경기침체를 준비하고 있는 와중에 쿠키 카테고리는 눈에 띄는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요 브랜드들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 낙관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모습이다. IRI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월까지 미국 쿠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86억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의 대표 스낵 브랜드인 몬델레즈 인터네셔널사(Mondelēz International)는 보고서를 통해 연간 매출이 40억 4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연간 2.5%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쿠키 제품의 총 매출은 9억 달러 이상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16.1% 상승했다. 몬델레즈사가 소유한 프라이빗 브랜드인 ‘테이트 베이크 샵’(Tate's Bake Shop)의 쿠키는 지난해 총 1억 8,000만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 대비 31.5% 급증했다. 몬델레즈사는 가장 최근 분기별 실
무알코올 시장의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젊은층 중심으로 음주를 의도적으로 멀리하는 소버 큐리어스 등 음주를 의도적으로 멀리하는 현상도 확산되는 추세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한국의 무알코올 맥주 시장은 2020년 284억원에서 2026이면 644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일본은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과 이코노믹스를 합친 ‘게코노미쿠스’라는 신조어가 등장했으며 무알코올 시장의 가치는 3,000억엔(약 3조원)으로 평가된다. 건강을 이유로 술을 기피하는 사람은 갈수록 늘고 있어 대안으로 무알코올 음료를 찾는 이들은 갈수록 늘고 있다. 일본 무알코올 음료 시장 규모 일본 시장 조사회사 인테이지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 논알코올시장의 지난해(2021년) 판매금액은 800억엔을 넘어 5년 전(2017년)과 비교하면 150억엔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일본 시장에서 주력으로 팔리고 있는 주류 맥주의 소비량은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이런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술은 마실 수 있지만 "일부러 무알코올을 선택한다"고 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어 일본 내 알코올의 소비감소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이를
COVID-19 팬데믹 기간 중 소비자들이 편의성이 높은 인스턴트 라면을 지속적으로 구매하면서 라면 매출은 급증세를 보였다. 시장 조사 기관인 포춘비지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라면 시장은 2022년~2029년까지 세계적으로 6%에 가까운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이라 밝혔다. aT 뉴욕지사는 일본 라면브랜드 닛신은 미국에서 2021년 14억 8,000만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며 라면 시장 급성장의 가장 큰 수혜를 입은 기업이라 전했다. 닛신은 일반 라면 제품으로 소비자와 대학생들에게 브랜드를 널리 알림으로써 대중들에게 친숙한 브랜드로 자리 잡음과 동시에 최근 프리미엄 제품을 통한 시장 공략을 새로운 성공 전략으로 삼고 있다. 닛신 식품(Nissin Foods)은 프리미엄 제품과 매운맛 컵라면 제품을 통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22.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컵라면 볶음밥, 핫&스파이시 파이어웍 컵볶음밥 등의 제품 매출이 호조를 보인데 힘입어 닛신의 프리미엄 라면 제품의 순 매출은 32% 증가했다. 라면과 같이 빠르고 편리한 식사 솔루션에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닛신은 이와 같은 소비자
아주 매운 음식을 먹으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격신(激辛)요리’ 문화가 일본에 정착한 모양새다. 일본의 마케팅 업체인 구루나비의 앙케이트 조사결과에 따르면 아주 매운 요리를 좋아한다고 답한 사람의 비율은 전년 대비 3.7% 상승한 46%를 차지했다. 한국요리, 중국요리 등 다양한 해외의 매운 요리를 일본 내에서 접할 기회가 늘어나면서 매운 요리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있다. 올 여름 먹고 싶은 음식의 맛을 묻는 질문에서는 1~5위 모두 매운맛 관련 키워드가 포함됐다. 매운맛을 즐기는 이들이 늘면서 단순히 맵기만 한 것이 아니라 ‘감칠맛 속에 포인트가 되어 주는 매운맛’(49.7%), ‘매운맛과 발효식품 등을 조합해서 감칠맛이 뛰어난 맛’(27.6%) 등을 원했다. 즉 ‘매콤하다(ピリ辛)’, ‘맛있게 맵다(うま辛)’가 매운 음식의 주요 키워드였다. 최근 주목하는 매운요리에 대한 질문에선 중국요리(44.1%), 한국요리(42.3%), 라면(35.0%) 순으로 수요를 보였다. 하지만 20대 여성의 응답 비율을 보면 한국요리가 60.9%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한국 콘텐츠에 대한 팬심이 음식으로까지 이어진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 KFC는 2004년부터
코로나19 팬데믹과 전쟁, 그리고 사상 초유의 물가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위기 등으로 미국 식품업계는 운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높은 식품 가격과 생활 방식의 변화로 인한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FMI(Food Industry Association)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소비자들의 식습관 패턴, 먹는 음식, 음식을 구매하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aT LA지사는 ‘미래 전망(Future Outlook)’이라고 불리는 FMI가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현지 식료품 구매 트렌드를 전했다. 식료품의 온라인 쇼핑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온라인 쇼핑 이용은 지속되고 있다. 지난 2월 조사 대상 중 응답자의 64%가 지난 한 해 동 안 식료품 구매를 위해 적어도 가끔 온라인 쇼핑을 했다고 답 하였다. 앞서 FMI는 식품 판매업자들이 매장 방문을 비롯해 온라인 소비자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조사하면서 옴니 채널과 하이브리드 쇼핑이 추진력을 가질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자상거래는 쇼핑객들이 슈퍼마켓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영향을 끼쳤다고 언급했다. FMI는 유통업체들이
2022년 하반기 중국 식품업계의 주목을 받는 기업은 단연 식품회사 ‘바오리식품(宝立食品)’이다. 바오리식품은 상하이 증권거래소 상장하자마자 10점상(주식시장이 열리자 상한가에 도달하고 상한가로 장 마감)를 기록했다. 거래일 11일 만에 최초 상장가격 10.05위안에서 30.73위안으로 300%의 상승률을 보여줬다. aT 다렌지사에서 중국 식품업계의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바오리식품의 성장 과정을 전했다. 바오리식품은 주상품이 조미료인 전형적인 식자재 공급 업체이다. KFC, 맥도날드, 스타벅스, 헤이티(喜茶), 피자헛, 디코스(德克士) 등 중국의 대형 프랜차이즈에서 취급하는 햄버거나 샐러드 소스를 대부분 담당하고 있다. 바오리식품은 그 조미료로 한 해에 15억 위안(한화 약 2,974억 원)의 이익을 올린다. 비오리식품의 성장은 KFC와 함께 했다. 1987년, KFC는 중국에 상륙했고 베이징에 1호점을 냈고 2004년 1,000호점을 돌파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고자 공급망을 현지화할 필요성 느낀 KFC는 성심식품(圣 心食品), 타이슨식품(泰森食品), 원성식품(元盛食品) 등 현지 식품공급업체 식자재 공급을 맡겼다. 2001년에 설립된 바오
지연 컨설팅(智妍咨询)이 발표한 <2020-2026 중국 설탕 산업 발전 현황 조사 및 발전 전략 컨설팅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까지 중국 설탕 수입량은 339만 톤으로 전년 대비 21.07%가 증가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점점 더 많은 중국 소비자들이 설탕 섭취는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0칼로리 대체당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일당천하(壹糖天下)의 창시자 류펑(刘丰)의 인터뷰에 따르면 0칼로리 대체당의 판매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일당천하의 0칼로리 대체당 판매량은 이미 작년 전체 판매량을 초과했다. 설탕 업계의 대부분 브랜드는 0칼로리 대체당 신제품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5월 초 징동(京东) 소비 및 산업발전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Z세대 소비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는 음료를 선택할 때 41%가 무당 음료, 38%가 저당 음료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Z세대의 금년도 저당류 제품 구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배 이상으로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저당 소비 트렌드는 설탕에 대한 연구 및 생산 변혁을 촉진하면서 저당, 0칼로리 대체당 제품은
최근 식습관 개선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간식 소비에 있어 더 나은 제품을 고르기 위한 기준도 다양해지고 있다. 소비자는 칼로리, 설탕 함유량, 비타민 등 기능성 성분 함유 여부, 동물성 재료를 대체하는 식물성 재료 사용 여부 등 점점 다양한 기준으로 제품을 선택 한다. 시장조사 기관인 민텔(Mintel)에 따르면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있어 라벨 및 성분 표시가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의 절반 이상(53%)이 새로운 음식이나 음료를 선택함에 있어 총 설탕 함유량 표시를 확인하고, 48%가 총열량을 확인하고, 초콜릿이나 사탕을 먹는 이들도 설탕 함량을 따지며 제품을 고른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지난 5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스위츠 앤 스낵 엑스포에 참가한 민텔 식음료 담당 이사 마르시아 모겔론스키는 “소비자들은 다양한 기준을 가지고 식단을 자신에게 맞춤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단지 ‘더 나은 (better)’ 식품을 찾는 것뿐만 아니라 식품을 소비하는 ‘개인(you)’의 만족도에도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엑스포에서 선보인 신제품들 역시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공략했다. 시카고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 업체인 기능성